시조
2021.06.17 14:56

가지화 可支花 / 천숙녀

조회 수 104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가지화 강치.jpg

 

 

가지화 可支花 / 천숙녀

수백 마리의 새끼와 어미 모두 어디로 갔을까

마구잡이 사륙 질에 숨 멎었다 전멸이다

내 살점 갈기로 찢겨 기름으로 비료 되고

무궁화 꽃 산천을 덮어 민족의 정기 지켜오듯

혼魂뺏긴 거죽으로 박물관에 박제지만

강치는 바위에 올라 목 쭉 빼고 손사래다

삼천리 칠보아사달 받들어온 하얀 나라

강토에 뿌려진 혈(血 )강치들의 혼(魂)이었다

검붉게 남은 한 방울도 이 땅위에 뿌렸다

첫 해맞이 일번지에 아사달 홑겹 탐방 왔다

짙푸른 물길 펼쳐 앉아 쉴 곳 가제바위

홑꽃을 겹겹이 포개 가지화로 환 하구나

저기보아 강치다 수년 만에 살아왔어

숲 우거진 독도에 술래 잡는 강치들

물골 앞 가제바위에 칠보아사달 만발이다

 

 

 

 

 

 

 

 

 

 

 

 

 

 

 

  • ?
    독도시인 2021.06.17 14:56
    '가지화(可支花)’로 명명한 사연

    지금의 독도는 ‘삼봉도(三峰島)’ ·’가지도(可支島)’· ‘우산도(于山島)’ 등으로도 일컬어졌다.

    실제로 독도에는 가제바위가 있는데 강치(바다사자 종류/Otaridae)가 많이 출현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나 일제의 무자비한 살육으로 멸종되었으며 복원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큰가제바위’는 부근에 강치가 더욱 많이 출현하였다. 경도 131-51-49, 위도 37-14-40에 위치하고 있다. 그 오른쪽에 ‘작은가제바위’가 있는데, 경도는 131-51-50, 위도는 37-14-38이다.

    독도를 ·’가지도(可支島)’·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된 사연은 강치들이 무리를 지어 살고 있었던 가제바위에서 유래된다. 경상, 강원 일부 해안가 지역 및 울릉도에서는 ‘강치’를 ‘가제’로 부르고 있다. 일본에서는 이러한 사연을 부정하고 독도가 ’가지도(可支島)’·였다 는 “증거가 어디 있느냐”는 등 생떼를 쓰고 있다.
  • ?
    독도시인 2021.06.17 14:57
    무궁화 ‘칠보아사달’을 ‘가지화(可支花)’로 정한 것은 우리민족 상징의 꽃 무궁화 칠보아사달이 지니고 있는 끈질긴 생명력과 평화를 사랑하는 백의 민족의 정신을 연결하여 보았다. 한민족의 혼(魂)이 스며든 독도와 서로 상통하는 이미지를 내포하고 있다. 일본에 의해 강탈당한 독도와 일본인들의 무자비한 살육으로 멸종 당한 강치는 ‘가지도’라는 지명을 남기고 있다. 그리고 일본은 한민족 정기를 멸살하려고 전국의 무궁화를 멸종시키려 했던 압제의 세월을 거슬러 올라가면 독도, 강치, 무궁화 3가지 모두 동질성을 지니고 있다. 일제에 의해 강탈당하고 멸종 당하고 베어져 버린 시간을 되살려 다시는 억울한 삶을 살지 말아야 하는 민족의 각성과 극일(克日)을 위한 단결을 갈망하면서 ‘가지화(可支花)’로 명명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8 시조 거울 앞에서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3.09 108
347 얼굴 주름살 / 성백군 1 하늘호수 2021.04.20 108
346 시조 깊은 잠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5.01 108
345 시조 메타버스 독도랜드 (Metabus DokdoLand)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2.01.18 108
344 시조 길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2.02.08 108
343 고목 속내 / 성백군 하늘호수 2023.03.14 108
342 주름살 영광 /성백군 하늘호수 2023.07.19 108
341 장대비와 싹 강민경 2006.03.14 107
340 바람아 유성룡 2008.02.28 107
339 거 참 좋다 1 file 유진왕 2021.07.19 107
338 탄탈로스 전망대 강민경 2018.03.02 107
337 엄마 마음 강민경 2018.06.08 107
336 “말” 한 마디 듣고 싶어 박영숙영 2018.08.22 107
335 밤, 강물 / 성백군 하늘호수 2018.11.30 107
334 복숭아 꽃/정용진 시인 정용진 2019.04.04 107
333 가는 봄이 하는 말 / 성백군 하늘호수 2019.05.28 107
332 5월에 피는 미스 김 라일락 (Lilac) / 필재 김원각 泌縡 2019.07.10 107
331 아내의 흰 머리카락 / 성백군 하늘호수 2020.03.04 107
330 옹이 / 성백군 하늘호수 2020.03.25 107
329 둘만을 위한 하루를 살자꾸나! / 김원각 泌縡 2020.06.03 107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