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
2021.07.23 14:18

독도-문패 /천숙녀

조회 수 7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민족독도사관 연구소에서 (201357) 세우다

대한제국칙령 제41호 순수비(巡狩碑)와 유허비(遺墟碑)

 

untitled8.png

 

우)40208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추산길211 (나리 414번지)


‘대한제국칙령 제41호’ (광무4년, 1900년 10월 24일 의정부 각의, 25일 황제 제가, 27일 관보게제)를 반포한 역사적 사실로 인해, 그 동안 일본이 주장해온 무주지 선점이라는 도발이 허구로 드러나게 되었다. 구한말 쇄도정책을 철폐하면서 울릉도로 이주한 태백산맥 화전민과, 전남 여수 등 남해와 서해안 어민들이 근대 울릉도의 대다수 주민을 이루었다. 그 중 절대다수를 차지한 남서해안지역 주민들이 사용하던 ‘돌’을 가리켜 사투리 ‘독’(‘돌’을 가리켜 ‘독’)으로 표현해온 문화가 그대로 이주되어 사용되었다. 울릉도로 이주한 주민들은 ‘돌섬’으로 보였던 당시의 ‘독도’를 남서해안지역 방언 그대로 ‘독섬’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관계로 당시의 공문서상에는 석(石)으로 음차하여 기록하였으며, 자갈을 ‘독자갈’이라고 부르던 사투리 ‘독’은 ‘독(獨)’으로 한자 훈으로 전이 표기되었다. 오늘에 ‘독도(獨島)’로 유래 된지 120년이 훨씬 넘었기에 이러한 역사관과 한국문화에 사실을 돌에 서각(書刻)하여 보전한다.

 

독도-문패 /천숙녀

 

문패를 건다
해돋이로 다가온 너


심연에서 올라오는 뜨거움을 맛보아


밝은 꿈
드넓은 내일 위해
신명나게 걸어보자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6 수필 참 좋은 인연을 위하여 2 son,yongsang 2015.12.20 597
145 박영숙영 " 어제의 사랑은 죽지를 않고 ㅡ작품해설(2) 박영숙영 2011.07.04 601
144 사목(死木)에는 성백군 2009.06.19 602
143 동그라미 성백군 2009.07.07 603
142 중년의 가슴에 2월이 오면-이채 오연희 2016.02.01 605
141 품위 유지비 김사빈 2005.12.05 606
140 버릴 수 없는 것이 눈물 겹다. 강숙려 2005.08.03 612
139 세계의 명 연설을 찾아서 이승하 2004.08.30 620
138 김우영 작가 만나 사람들 출판회 성료l 김우영 2011.11.27 622
137 조국땅을 그리며 박성춘 2009.08.02 623
136 언어의 그림 그릭기와 시의 생동성에 대하여 (2) 박영호 2008.11.12 626
135 기타 학우와의 대화 - 한국교육학과 김우영 작가(50대 萬年學徒) 김우영 2014.03.27 630
134 두 세상의 차이 박성춘 2009.07.05 636
133 시인 구상 선생님 2주기를 맞아 이승하 2006.05.14 640
132 자연과 인간의 원형적 모습에 대한 향수 박영호 2008.03.03 643
131 빛이 되고픈 소망에 강민경 2009.08.03 644
130 백제의 미소 임성규 2004.08.02 649
129 위기의 문학, 어떻게 할 것인가 이승하 2005.02.14 650
128 어디에도 붉은 꽃을 심지 마라 신 영 2008.05.21 651
127 수필 나의 뫼(山) 사랑 김우영 2014.04.27 651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