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석 줄 단상 - 빛살 은총

2022.04.21 00:34

서경 조회 수:11

1. 석 줄 단상 - 빛살 은총(04182022)+

부활 첫 주 월요일 아침.
창을 여니, 동녘 햇살이 눈부시다.
빛살 은총으로 다시 세례받는 기분이다.  


 
세 줄 문장 1.jpg

 

스몰 브랜더 박요철님이 ‘세 줄의 일기와 세 개의 감사’를 7년 째 쓰고 있다고 한다. 놀라운 끈기와 지구력이다. 아무리 적은 일이라 해도, 7년 째 매일매일 해 오고 있다는 건 예사롭지 않다. 오늘 아침, 나도 처음으로 흉내 내어 봤다. 매일매일을 약속할 수 없어, ‘일기’란 말은 잠시 접어 둔다. 대신, ‘문장’이란 말을 넣고 생각날 때마다 쓸 참이다. 무엇이든지, 21일만 계속하면 습관이 된단다. 즉, 몸이 익혀 ‘육화’시켜 준다는 이야기다. ‘세 개의 문장’이 내 이야기의 씨가 될 것을 믿는다. 죽은 듯 있던 겨울 꽃씨가 어느 봄날 새싹을 틔우고 꽃을 피운다. 세 줄의 문장이 그러하지 않을까. 언젠가, 스토리를 전개시켜 한 편의 수필이 되고 시가 되어 줄 마중물. 그 변모의 시간을 꿈꾸어 본다. 상상만으로도 즐겁다. ‘새로운 시작’의 기쁨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8 (포토 포엠) 보름달과 가로등- 사진/김동원 지희선 2011.12.15 534
127 죽은 아이들의 방 지희선 2011.12.01 432
126 (포토 에세이) 외줄기 담쟁이 - 사진/김동원 글/지희선 지희선 2011.11.23 481
125 67.우리말 바로 쓰기 - ‘해야 겠다.’인가 ‘해야겠다.’인가. 지희선 2011.11.16 472
124 합평에 대하여 - 소설가 '임영태' 지희선 2011.11.13 484
123 합평에 대하여 - 소설가 '임영태' 지희선 2011.11.13 436
122 62. 우리 글 바로 쓰기 - 작품집 또는 작품 표시 부호/이승훈 지희선 2011.11.13 381
121 글쓰기 공부 - 묘사 지희선 2011.11.13 722
120 60. 우리글 바로 쓰기 - 실무에서 익히다 지희선 2011.11.13 677
119 책 소개 - 임병식의 수필집 <<그리움>> 지희선 2011.11.13 610
118 64.우리 글 바로 쓰기- 잘난 체하다 한방 먹다! 지희선 2011.11.13 895
117 61.노루모액 아세요? 지희선 2011.11.13 712
116 63.종결, 보조용언 띄어쓰기-그렇다면 답은 명쾌하다 지희선 2011.11.13 1046
115 65. 고지게 다나가고 - 띄어쓰기 지희선 2011.11.13 745
114 66. 반드시 정복해야 할 낱말, ‘있다’ 지희선 2011.11.13 436
113 (명시 감상) 거지 - 투르게네프/ 지희선 2011.11.08 594
112 (명시 감상) 투르게네프의 언덕 - 윤동주 지희선 2011.11.08 876
111 이승에서의 마지막 성호 지희선 2011.09.29 588
110 어미의 사계 지희선 2011.09.25 409
109 (신앙 에세이) 그 분 목소리 지희선 2011.09.07 278

회원:
4
새 글:
0
등록일:
2015.06.19

오늘:
0
어제:
3
전체:
1,317,6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