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수의 창작실
| 김태수의 창작실 | 독자창착터 | 목로주점 | 몽당연필 | 작가갤러리 | 문학자료실 | 일반자료실 |
시조 신춘문예[17년 문학의 봄 봄호]
2017.01.25 04:53
댓글 3
-
Chuck
2017.01.25 10:32
-
동아줄 김태수
2017.01.27 03:53
이루고 못 이루고를 뛰어넘어 거기까지 자신이 다달하고 웃을 수 있는 여유!
과정(노력)은 자신의 일이나 결과(성공)는 하늘의 뜻이라 여기는 마음이겠지요.
신춘문예는 하나의 목표로 문학의 꽃을 피우는 일인데 지난한 과정을 겪어야만 피울 수 있는 봄의 꽃눈이기도 하고요. 지금은 눈꽃이지만 꽃눈의 자리이기도 하다는... -
Chuck
2017.01.27 04:39
梅 花매화 향기로운 밤 달은 방금 돋았는데 梅香良夜月方登
비단 옷 입은 여인 빈 방에 홀로 있어 錦衣幽人在空室
흰 이슬 달빛 창에 수정 발 드리웠네. 白露月窓水晶簾
초생달 눈섶 아래 호수같이 맑은 눈 曲眉之下淸眼湖
그대는 이 분이 누구신지 아시겠는가 公知此位是誰呀50년 전 매화가 부끄러워한 분이네. 五十年前梅花恥
이詩에서 꽃하나를 보아도 지나치지않는
옛 우리 선인들의 운치가 엿보이네요
"https://www.youtube.com/embed/YHZaxk3lawk"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김태수 약력 | 동아줄 김태수 | 2016.11.11 | 671 |
128 | 연[17년 5/26 토론토 중앙일보] | taesookim | 2017.06.06 | 100 |
127 | 우륵샘 | 동아줄 김태수 | 2017.05.26 | 81 |
126 | 바둑으로 본 19대 대선 [2] | 동아줄 김태수 | 2017.05.07 | 128 |
125 | '장학의 날'을 맞아 | 동아줄 김태수 | 2017.05.04 | 106 |
124 | 대통령 선거 | 동아줄 김태수 | 2017.05.01 | 69 |
123 | 해바라기 | 동아줄 김태수 | 2017.04.12 | 91 |
122 | 눈들의 모습[2017년 외지] | 동아줄 김태수 | 2017.03.20 | 86 |
121 | 명예혁명[17년 문학의 봄 봄호] | 동아줄 김태수 | 2017.03.01 | 53 |
120 | 저녁놀은[미당문학 17년 상반기, 미주문학 17년 여름호] [1] | 동아줄 김태수 | 2017.02.11 | 144 |
119 | 얼터레이션, 삶을 마름질하다[미당문학 17년 상반기, 미주문학 17년 봄호] [4] | 동아줄 김태수 | 2017.02.01 | 220 |
» | 신춘문예[17년 문학의 봄 봄호] [3] | 동아줄 김태수 | 2017.01.25 | 162 |
117 | 삶의 육하원칙[문학의 봄 2016년 봄호] [2] | 동아줄 김태수 | 2017.01.07 | 197 |
116 | 겸손[17년 문학의 봄 봄호, 2016년 향촌문학] [2] | 동아줄 김태수 | 2017.01.03 | 186 |
115 | 간판을 바꾼다고 | 동아줄 김태수 | 2016.12.19 | 53 |
114 | 제1회 미당문학 신인작품상 당선작 | 동아줄 김태수 | 2016.10.25 | 318 |
113 | 2016년 11월 샘터시조[구두/김대식, 엄마둥이/김태수] | 동아줄 김태수 | 2016.10.14 | 257 |
112 | 함께하는 한인사회 표어 공모전 심사평 | 동아줄 김태수 | 2016.09.28 | 108 |
111 | 숲에는 푸른 마음이 산다[2016년 재미수필, 맑은누리 2017년 신년호] | 동아줄 김태수 | 2016.08.20 | 46 |
110 | 엄마둥이[현대문학사조 2016 가을호] | 동아줄 김태수 | 2016.08.12 | 51 |
나 홀로 웃는 것(獨笑) - 茶山丁若鏞
조선 정조시대 실학자 정약용(1762~1836) 선생께서
250여 년 전의 사회풍자 내용이지만
有粟無人食 (유속무인식)
양식 많은 집은 자식이 귀하고
多男必患飢 (다남필환기)
아들 많은 집엔 굶주림이 있으며,
達官必準愚 (달관필준우)
높은 벼슬아치는 꼭 멍청하고
才者無所施 (재자무소시)
재주 있는 인재는 재주 펼 길 없다.
완전한 복을 갖춘 집 드물고,
至道常陵遲 (지도상릉지)
지극한 도는 늘상 쇠퇴하기 마련이며,
翁嗇子每蕩 (옹색자매탕)
아비가 절약하면 아들은 방탕하고,
婦慧郞必癡 (부혜랑필치)
아내가 지혜로우면 남편은 바보이다.
보름달 뜨면 구름 자주 끼고
花開風誤之 (화개풍오지)
꽃이 활짝 피면 바람이 불어대지.
物物盡如此 (물물진여차)
세상일이란 모두 이런 거야.
獨笑無人知 (독소무인지)
나 홀로 웃는 까닭 아는 이 없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