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참여 광장
| 박봉진의 창작실 | 초대작가글 | 자유참여 광장 | 작가갤러리 | 공지사항 |
| 함께웃어요 | 프래쉬와 음악방 | 사진과 그림방 | 음악동영상방 |
<font color=blue>천둥과 번개
2007.04.04 15:04
천둥과 번개
전북대학교 평생교육원 수필창작과(중) 공순혜
오늘아침에 나는 벌벌 떨며 이불을 뒤집어쓰고 누워 있었다. 얼마의 시간이 흐르고 천둥번개가 갈아 앉을 때에야 겨우 일어나 넋 잃은 사람처럼 앉아 있었다. 나는 천둥번개가 치는 날이 제일 무섭다. 죄를 지은 것이 많은가 보다. 무서워 이불부터 뒤집어쓴다. 집안에 있으니 별일 없으련만 천둥만 치면 이런 상식도 아무 쓸모가 없다. 옛말대로 죄지은 사람은 벼락 맞아 죽을 지도 몰라서다.
평소 별 큰 잘못으로 여기지 않았던 일들이 떠오르며 하나님께 용서를 구하는 심정이 된다. 나이가 드니 이런 생각 저런 생각으로 너무 무서워진다. 오늘아침 비가 그치고 천둥번개가 사라진 뒤 열성적으로 백과사전과 국어사전을 훑어보았다. 내가 무서워하는 천둥번개의 실체를 좀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어서였다.
천둥은 뇌성과 번개를 동반하는 대기 중의 방전현상이다. 구름꼭대기의 온도가 -20°c 정도 이하로 내리고 그 부분이 어느 점으로 되어 있는 적란운(積亂雲)속 또는 적란운 사이에서 발생한다. 옛날에는 뇌신(雷神)또는 뇌수(雷獸)등에 의한 정령설(精靈說)이 있었다. 번개는 정전기적인 방전현상 극히 순간적인 현상으로 방전은 거의 1,000분의 몇 초라고 하는 짧은 시간에 일어남으로써 육안으로는 하나의 전광으로 보인다.
뇌성이 들리는 범위는 보통 약 20km이나 때에 따라서는 약 40km라는 먼 곳으로부터 들려오는 경우도 있다. 천둥은 고대 오리엔트 뇌신 아다드(adad)신앙에서 찾아볼 수가 있다. 자연 신화적으로는 뇌우를 지배하는 폭풍우의 신이며 풍요의 신이다. 유럽에서는 떡갈나무를 뇌신의 나무라 신성시했다. 스위스에서는 떡갈나무에 붙어 자라는 겨우살이를 (천둥의 빗자루)라고 하여 불에 태워 화재예방의 수단으로 사용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신의 노여움이라 생각해서 죄를 지은 사람은 벼락을 맞아 죽는다고 믿었다. 낙뢰에 희생되면 억울하게 죄인의 누명까지 썼다고 한다. 벼락은 구름과 땅위의 물건사이에 생기는 방전현상으로 호된 꾸지람과 갑작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을 형용하는 말로서 벼락감투, 벼락부자 등의 말이 있다는 둥 여러 가지 설이 적혀 있다. 번개는 구름을 가진 공중 전기가 방전할 때 생기는 불빛이라고 했다.
구름을 무척 좋아하는 나이건만 구름으로 인해 생기는 번개는 왜 그렇게 무섭고 싫은지. 여름이 오면 나는 항상 두렵다. 올해는 천둥번개 치는 날이 며칠이나 될까하고 올 여름도 또 얼마나 벌벌 떨며 지낼지 지금부터 걱정이 앞선다. 평상시에 선한 마음과 착한 일을 많이 했으면 이렇게 무서워 떨지 않으련만……. 올 여름이 되기 전부터 착한 일을 많이 해 보자고 다짐하고 있다. (2007. 3. 마지막 날)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77 | <font color=blue>컴퓨터를 향해 첫 발을 내딛으며 | 최은경 | 2007.04.05 | 74 |
76 | <font color=blue>구상나무 | 윤상기 | 2007.04.05 | 86 |
» | <font color=blue>천둥과 번개 | 공순혜 | 2007.04.04 | 133 |
74 | 안녕하시어요..~~ | 임성규 | 2007.04.03 | 76 |
73 | <font color=blue>디드로 효과 | 박정순 | 2007.04.02 | 74 |
72 | <font color=blue>멍멍이 할아버지 | 박주호 | 2007.03.30 | 87 |
71 | <font color=blue>유토피아를 꿈구며 | 박주호 | 2007.03.30 | 54 |
70 | <font color=blue>세월은 저 홀로 가지만 | 조내화 | 2007.03.30 | 118 |
69 | 07년 | 윤석훈 | 2007.03.30 | 70 |
68 | <font color=blue>핸드폰에도 예절이 있는 법인데 | 배윤숙 | 2007.03.28 | 118 |
67 | <font color=blue>사돈여학생 | 김세웅 | 2007.03.27 | 108 |
66 | <font color=blue>기막힌 오해 | 황만택 | 2007.03.26 | 60 |
65 | <font color=blue>어떤 아르바이트 | 신기정 | 2007.03.26 | 112 |
64 | <font color=blue>모후산을 다녀와서 | 임두환 | 2007.03.22 | 77 |
63 | 활발한 모습 | 오연희 | 2007.03.22 | 90 |
62 | <font color=blue>종소리가 듣고 싶다 | 정현창 | 2007.03.20 | 164 |
61 | <font color=blue>유모차 | 박정순 | 2007.03.20 | 275 |
60 | <font color=blue>배움의 길에 발간 신호등은 없다 | 이수홍 | 2007.03.19 | 99 |
59 | <font color=blue>10살자리 소녀가 겪은 6.25 | 이의 | 2007.03.17 | 90 |
58 | <font color=blue>아내의 일기 | 김병규 | 2007.03.12 | 1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