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봉희 서재 DB

만남의 방

| 유봉희의 시감상방 | 만남의 방 | 작가갤러리 | 시문학포럼 | 제1시집 | 제2시집 | 제3시집 | 제4시집 |
| 나의 즐감시 | 나의 영상시 | 명상갤러리 | 음악갤러리 | 미술갤러리 |

염소 뿔도 녹는다 · 대서(大暑)

2010.07.22 12:56

유봉희 조회 수:808 추천:24




염소 뿔도 녹는다 · 대서(大暑)


































흙과 돌이 구조가 되는 시원스러운 자연, ‘흙집돌집’.






‘염소 뿔도 녹는다’





오늘은 ‘염소 뿔도 녹는다’ 는 대서(大暑).

소서(小署) 와 입추(立秋) 사이의 1년 중 열두 번째 절기(節氣)다.

이글거리는 태양(日)아래 사람(者)이 서있으니 더위 먹기[中暑·暑]

쉬울 때다. 사계절은 사립(四立, 입춘 · 입하 · 입추 · 입동)에서 시작한다.

사립 전(四立前) 18일간은 흙기운(土氣)이 왕성한 토왕지절(土旺之節)로

더위나 추위가 극에 달한 뒤 계절이 바뀐다.



대서부터 입추까지를 5일씩 끊어 삼후(三候)라 불렀다.

초후(初候)에는 썩은 풀에서 반딧불이 나오고(腐草爲),

차후(次候)에는 흙에 습기가 많고 무더우며(土潤暑),

말후(末候)에는 큰비가 때때로 온다(大雨時行)고 했다.

무더위는 삼복(三伏) 즈음이 최고다.

하지(夏至) 후 천간(天干)이 세 번째 경(庚)인 날을 초복,

그 다음 경일(庚日)이 중복, 입추 후 첫 경일(庚日)을 말복으로 계산한다.



옛 선인들은 그늘에서 시원함을 찾는 납량(納凉) · 승량(乘凉)이 주된 피서

(避暑) 법 이었다. 당(唐)나라 두목(杜牧)은 ‘초가을에(早秋)’ 라는 시에서

‘무더위는 혹독한 관리 떠나듯 물러가고(大暑去酷吏),
맑은 바람은 옛 친구 찾아오듯 불어오네(淸風來故人)’ 라며 지기(知己)를 닮은 청량한 바람을 찾았다.
시성(詩聖) 두보(杜甫)는 ‘남쪽을 바라보니 푸른 소나무가 골짜기에 걸쳐 있는데(南望靑松架短壑),
어찌하면 맨발로 두터운 얼음을 밟을 수 있을까(安得赤脚踏層氷)’ 라며 서늘한 상상으로 더위를 이겼다.



운치 있는 피서법으로는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선생이 으뜸이다.
그는
‘여덟 가지 피서법(消暑八事)’을 제시했다.
송단호시(松壇弧矢, 솔밭에서 활쏘기), 괴음추천(槐陰遷, 느티나무 아래에서 그네타기),
허각투호(虛閣投壺, 넓은 정각에서 투호하기), 청점혁기(淸奕棋, 대자리 깔고 바둑 두기),
서지상하(西池賞荷, 연못의 연꽃 구경하기), 동림청선(東林聽蟬, 숲속에서 매미 소리 듣기),
우일사운(雨日射韻, 비 오는 날 한시 짓기), 월야탁족(月夜濯足, 달밤에 탁족하기)이 바로 그것.



올여름은 유난히 덥다. 지난 6월 전국 최고기온이, 체계적인 기상관측이
시작된 이래 가장 높았다.
지구촌 평균기온도 최근 131년 이래 최고치였다고 한다. 원활한 전력 수급을 위해 냉방 온도까지 통제할 정도다.
지혜로운 친환경 더위 사냥이 필요할 때다. - 중앙일보, 신경진 중국연구소 연구원 2010.07.23













대서 (大暑)
 




24절기 중의 열두 번 째 절기이다.

"큰 더위" 인 대서(大暑)는 소서(小暑) 와 입추(立秋) 사이에 있는
음력 6월 중기(中氣)로 태양이 황경 120도에 도달하는 날이 입기일(立氣日)이고, 

양력으로는 7월 23일경이다. 대서는 일년 중 제일 더운 때(大暑)라서
붙여진 명칭으로,
대개 중복(中伏) 시기와 비슷해서 폭염의 더위가
심한 시기이면서도 장마로 인해 많은 비를 내리기도 한다.

옛 사람들은 대서 기간을 5일씩 끊어서 3후(候)로 하였는데,

제1후에는 썩은 풀이 화하여 반딧불이 되고(腐草爲),

제2후에는 흙이 습하고 무더워지며(土潤暑),

제3후에는 때때로 큰비가 내린다(大雨時行)고 하였다.. 

대서는 대개 중복(中伏)과 비슷한 시기이나 장마는 끝나며
더위가 가장 심해지는 때이다. 
그러나 때때로 장마전선이
늦게까지 한반도에 걸쳐 있으면 큰비가 내리기도 한다.









참외나 수박 등이 풍성하고 햇밀과 보리를 먹게 되고 채소가 풍족하며 녹음이 우거지는 시기로,
과일은 이때 가장 맛이 난다. 그러나 비가 너무 많이
오면
단물이 많이 없어지는 반면 가물었을 때는 과실 맛이 매우 달다.



'큰 더위' 인 대서는 겨울인 대한으로부터 꼭 6개월이 되는 날이다.

일년중 가장 더운 시기로 특히 대서 이후 20여일이 일년중 가장 무더운 시기이다.
'불볕더위', '찜통더위' 도 이때에 해당된다. 밤에도 열대야 현상이 일어나며
더위 때문에  "염소뿔이 녹는다" 고 할 정도다. 특히 무더위를 초 ㆍ 중 ㆍ 말
삼복으로 나누어 소서 ㆍ 대서라는 큰 명칭으로 한것도 무더위의 경종을 농민들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말러 교향곡 5번 ‘아다지에토’ - 베니스의 미로를 흐르는 선율 arcadia 2015.06.22 10273
공지 [한 컷의 과학] 지구는 또 있을까 ~ 노벨상 1 - 15 回 arcadia 2015.06.14 18385
공지 음악, 나의 위안 · 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 arcadia 2015.06.03 1614
공지 리스트 ‘두 개의 전설’ · 프란치스코의 기적을 소리로 arcadia 2015.06.03 8677
공지 버클리문학회초청 문학캠프 특강의 소감 · 이용욱 교수 [1] 유봉희 2015.05.08 8461
공지 용재 오닐의 슬픈노래 中 ‘장미와 버드나무’ arcadia 2015.05.03 3461
공지 모차르트 ‘편지 이중창’ - 산들바람의 노래 arcadia 2015.04.28 3208
공지 '음악이 있는 아침' - Alice Sara Ott plays Chopin arcadia 2015.03.29 1501
공지 TV문학관 메밀꽃필무렵 - 이효석 arcadia 2015.03.26 2526
공지 TV문학관 소나기 - 황순원 원작 arcadia 2015.03.25 6637
공지 ‘봄비’… 김소월 유봉희 2015.03.19 11404
공지 미당탄생100년 - '바이칼' 호숫가 돌칼 外 arcadia 2015.01.18 897
공지 특집다큐 - 玆山魚譜 200주년 新자산어보 2부작 arcadia 2014.12.23 515
공지 겨울왕국 - Frozen - Let It Go 유봉희 2014.05.01 516
공지 버클리문학산행 ㆍ Mt.Tamalpais & Bear Valley 유봉희 2013.02.11 2401
공지 2014'시인들이뽑는시인상'수상(유봉희·한기팔) [1] 유봉희 2014.09.25 886
공지 2014 '시인들이뽑는시인상' 시상식장에서 - 유봉희 유봉희 2014.12.13 1875
공지 슈만 - 여름날의 평화 (Sommerruh ) [1] ivoire 2011.06.03 2493
공지 Steinbeck Center / Berkeley Literature [1] 유봉희 2010.07.23 3543
공지 윤동주 문학의 밤 - 버클리 문인들 [1] 유봉희 2009.09.08 1688
공지 Fine Art Exhibition · 유제경 展 [2] 유봉희 2009.06.17 9509
공지 MOM's Paintings / 어머니의 오솔길 · 유봉희 [1] 유봉희 2009.04.20 2372
공지 Wallnut's Spring / Ducks & Egg Hunting'09 [1] 유봉희 2009.04.15 1333
공지 인생덕목 (人生德目) /김수환 추기경 말씀 [1] 양승희 2009.02.27 1463
공지 Bear Creek Trail [1] 유봉희 2008.12.30 1724
공지 Earth and Environment arcadia 2009.01.06 1532
공지 산와킨강 · San Joaquin River-&-Wallnut [1] 유봉희 2008.10.25 1894
공지 [KBS 시가 있는 음악세계] 소금화석 [1] Amellia 2007.06.07 1935
공지 내 별에 가다 [1] 박영호 2006.09.30 1892
378 BBC 선정 · ‘죽기 전 가봐야 할 50 景’ 유봉희 2010.09.28 324
377 <b>가을사랑</b> … 유봉희 2010.09.22 628
376 夜思何 … 밤에는 무슨 생각하나요 유봉희 2010.10.01 783
375 넉넉하고 … 풍성한 <b>한가위</b> 유봉희 2010.09.18 340
374 가을바다 오연희 2010.09.08 451
373 욥의 여행… 유봉희 2010.09.05 691
372 Mother and daughter / 어머니 arcadia 2010.08.27 3469
371 movie · The Experiment · 엑스페리먼트 arcadia 2010.08.22 714
370 Big Wall Challenge · 아름다운 도전 arcadia 2010.08.21 710
369 가장 이상한 세 단어 -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arcadia 2010.08.18 7902
368 movie · 시(poetry) · 윤정희 arcadia 2010.08.14 2042
367 바닷가에서 arcadia 2010.08.13 815
366 빛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워프(warp) 항법 arcadia 2010.08.10 3788
365 인터넷 사교의 장 · 페이스북 (FaceBook) arcadia 2010.08.10 629
364 아름다운 우리말! 유봉희 2010.08.10 494
363 World Heritage · 안동 하회 · 경주 양동 마을 유봉희 2010.08.06 2147
362 조상들의 피서법, ‘탁족 (濯足)’ 유봉희 2010.08.05 992
361 荒蕪地 | T.S. 엘리어트 arcadia 2010.07.22 881
» 염소 뿔도 녹는다 · 대서(大暑) 유봉희 2010.07.22 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