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봉희 서재 DB

만남의 방

| 유봉희의 시감상방 | 만남의 방 | 작가갤러리 | 시문학포럼 | 제1시집 | 제2시집 | 제3시집 | 제4시집 |
| 나의 즐감시 | 나의 영상시 | 명상갤러리 | 음악갤러리 | 미술갤러리 |

암 전이의 중요 통로 · 경락 (經絡)

2011.10.10 18:22

유봉희 조회 수:442 추천:6




암 전이의 중요 통로 · 경락 · 經絡






























































토끼의 뇌에서 척수로 내려가는 부위에서 실처럼 가는 프리모관(바늘로 들어 보이는 것)을 발견했다.
프리모관은 투명하고 가늘어 염색하기 전에는 보기 어렵다.










 






국내 학자, 제3순환계 '경락' 관찰 … 공인땐 치료법 다시 써야

소광섭 서울대 명예교수 등 국내 연구자, 13일 대덕서 연구발표회




“40년 넘게 면역학을 연구해온 사람으로서 림프관에 또 다른 관(管)이 있다는
사실을 내 눈으로 확인한 뒤 너무나 놀랐어요.”



미국 인디애나 의대에서 세계적인 면역학 전문가로 이름을 떨치다 1999년 국내에 영입된 국립암센터 권병세(64) 박사의 말이다.
림프관은 그의 ‘연구 마당’ 이나
다름없었기에 그 놀라움이 더 컸다.
그가 본 것은 한의학에서 말하는 경락(經絡)의 실체였다. 그는 교육과학기술부가 선정한 ‘대한민국 국가석학’이기도 하다.






토끼의 뇌구조와 프리모 관찰 부위.

1년 전 국내 극소수 학자들이 경락을 관찰했다는 말을 듣고도 그는 믿지 않았다.
권 박사는 자신의 눈으로 직접 확인하기 위해 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



경락 연구를 10년째 해오고 있는 서울대
소광섭(융합기술원 수석연구원) 명예교수 등 국내 연구자들은
경락을 ‘프리모(Primo)’라고 다시 이름을 짓고, 국제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해 오고 있었다.







프리모 관에 있는 초소형 세포 ‘산알(왼쪽)’. 두 개로 분열하는 과정(오른쪽). 일반 세포와는 전혀 다른 특성을 갖고 있다.

권 박사는 “국내 경락 연구자들이 그렇게
대단한 연구 성과를 올려놓고도
이름이 덜 알려진 국제 학술지에 발표하는 바람에 제대로 조명을 못 받은 것 같다”고 말했다.



현재 인체에는 혈액이 도는 혈액순환계와
면역세포의 순환계인 림프계가 있다.
경락의 실체가 국제적으로 공인되면 제3의 순환계가 된다. 그러면 세계 의학교과서와 질병치료 방법을 다시 써야 한다.



권 박사를 비롯한 국내 경락 연구자들은 13일 대덕연구단지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
소광섭 명예교수, 삼성서울병원 박정의 교수, 성균관대 서민아 교수, 이병천 KAIST 초빙교수, 한국한의학연구원 류연희 박사 등이 발표에 나선다.



◆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경락=



60년 대 초 전 세계 과학계는 북한에서 나온 획기적인 연구 성과에 발칵 뒤집혔다.

당시 북한 경락연구소 김봉한(평양의대 교수) 소장이 1961~65년 혈액순환계와 림프계에 이어
제3의 순환계 ‘경락계(經絡系)’가 있다는 논문 5편을 잇따라 발표했다.
AFP통신은 62년 2월 13일 “영국의 윌리엄 하비(W. Harvey)가 17세기 초 혈액순환계(혈관계)를
처음 발견한 것에 비견할 만한 엄청난 연구 성과”라고 전 세계에 타전했다.



그러나 과학자들이 그 논문을 받아 들고 확인 작업을 벌였으나 실패했다.

김봉한 교수가 그 방법을 기술해 놓지 않았기 때문이다. 더구나 김 교수는 정치적인 이유로 숙청돼 버렸다.



그 이후 2002년 당시 서울대 물리학과 소광섭(현재 66세) 교수가 경락 연구를 시작하기 전까지 40년 가까이 관련 논문은 한 편도 발표되지 않았다.
소 교수가 2008년까지 잇따라 연구 성과를 발표해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믿으려 하지 않았다.
‘물리학을 하던 과학자가 왠 경락이냐’며 시큰둥했다.



◆ 경락 염색법 개발로 대전환기 맞아=


2008년 소 교수와 연구원이었던 이병천 박사가
‘트라이판 블루’로 생체에서 경락만 염색하는 기법을 개발함으로써 경락 연구의 대전환기를 맞았다.
이 염색법과 극미세 형광입자를 이용해 보이지 않는 경락을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었고,
경락이 암의 중요한 전이 경로가 된다는 사실도 영상으로 관찰해 국제 학회에 발표했다.
기존 의학계는 암 전이 경로가 혈관과 림프관 두 곳밖에 없는 것으로 알았다.



이런 결과는 세계 의학계에 충격을 줄 일대 사건이지만 권병세 교수가 지적했듯이 잘 알려져 있지 않은 학술지에 발표했기 때문에
대대적인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래도 그 성과를 눈여겨본 한국과 미국·중국 과학자들이 경락 연구에 뛰어들었다.



미국에는 루이스빌 대학의 ‘제임스 그레이엄 브라운 암 센터’ 도널드 밀러 소장, 워싱턴 대학 의대 새뮤얼 아치레푸 교수,
어번 대학 비탈리 바드야노이 교수 등 3개 팀이, 중국에는 중의학연구원 등 두 개 팀이, 그리고 한국에는 8개 팀이 현재 경락을 연구 중이다.



◆ 투명하고 머리카락 굵기의 경락=


염색법과 극미세 형광입자를 이용해 확인한 경락은 머리카락 굵기이며 투명했다.
간·심장·척수·뇌·림프관·혈관 등 몸 전체에 퍼져 있다. 너무 가늘고 투명해 염색을 하지 않고는 확인하기가 어렵다.
그 속에는 아주 느리게 액체가 흐른다. 액체의 흐름은 림프액보다 훨씬 느리고, 혈액보다는 더더욱 느리다.
관 속에는 DNA를 가지고 있는 극미세 세포가 있다. 김봉한 교수는 이를 ‘산알’이라고 이름 붙였다.



소 명예교수는 “산알은 미국 루이스빌 대학의 줄기세포 전문가 마리우스 라타작 교수가 발견한
‘줄기세포와 유사한 아주 작은 배아(VSEL)’와 극히 비슷하다”고 말했다.
라타작 교수는 그 배아가 어디에서 나오고 어떻게 돌아다니는지 아직 밝히지 못했다.
그러나 산알은 프리모 관에 있고, 대량 채집이 가능하다. 산알과 줄기세포가 동일 세포라는 사실이 밝혀지면 줄기세포의 개념이 크게 바뀔 수도 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박정의 교수는 인간 태반에서 경락 관찰법을, 권 박사는 경락에만 작용하는 특이 항체를,
서울대 류판동 교수는 경락 세포의 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



◆ 전신 경락망 입증이 관건=


현재 경락 관찰은 신체 부위별로 부분부분 관찰되고 있다.
그러나 제3의 인체 순환계라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몸 전체를 순환하는 망을 찾아야 한다.
즉, 영상으로나 염색을 통해 경락망이 있다는 것을 밝혀야 한다.



소광섭 명예교수는 “아직 몸 전체 경락망을 들여다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지 못했다” 며
“그러나 항체, 새로운 염색법, 새로운 촬영법 등이 개발되면 입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더구나 세계적으로 연구자가 크게 늘어나고, 연구비가 투자되면 전신 경락망의 입증은 시간문제일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 중앙일보 박방주 과학전문기자 2011-10-10




  • 경락 · 經絡
  • : ‘기(qi)’와 ‘혈(blood)’이 흐르는 길이며, ‘장부(臟腑)’와 연결돼 있다.
    인체에서 기가 어떻게 전달되는지를 밝힌 연구들이 있지만 경락의 존재가 해부학·조직학으로 증명되지는 않았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말러 교향곡 5번 ‘아다지에토’ - 베니스의 미로를 흐르는 선율 arcadia 2015.06.22 10266
    공지 [한 컷의 과학] 지구는 또 있을까 ~ 노벨상 1 - 15 回 arcadia 2015.06.14 18375
    공지 음악, 나의 위안 · 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 arcadia 2015.06.03 1604
    공지 리스트 ‘두 개의 전설’ · 프란치스코의 기적을 소리로 arcadia 2015.06.03 8670
    공지 버클리문학회초청 문학캠프 특강의 소감 · 이용욱 교수 [1] 유봉희 2015.05.08 8456
    공지 용재 오닐의 슬픈노래 中 ‘장미와 버드나무’ arcadia 2015.05.03 3457
    공지 모차르트 ‘편지 이중창’ - 산들바람의 노래 arcadia 2015.04.28 3198
    공지 '음악이 있는 아침' - Alice Sara Ott plays Chopin arcadia 2015.03.29 1491
    공지 TV문학관 메밀꽃필무렵 - 이효석 arcadia 2015.03.26 2521
    공지 TV문학관 소나기 - 황순원 원작 arcadia 2015.03.25 6625
    공지 ‘봄비’… 김소월 유봉희 2015.03.19 11401
    공지 미당탄생100년 - '바이칼' 호숫가 돌칼 外 arcadia 2015.01.18 892
    공지 특집다큐 - 玆山魚譜 200주년 新자산어보 2부작 arcadia 2014.12.23 507
    공지 겨울왕국 - Frozen - Let It Go 유봉희 2014.05.01 511
    공지 버클리문학산행 ㆍ Mt.Tamalpais & Bear Valley 유봉희 2013.02.11 2399
    공지 2014'시인들이뽑는시인상'수상(유봉희·한기팔) [1] 유봉희 2014.09.25 880
    공지 2014 '시인들이뽑는시인상' 시상식장에서 - 유봉희 유봉희 2014.12.13 1869
    공지 슈만 - 여름날의 평화 (Sommerruh ) [1] ivoire 2011.06.03 2487
    공지 Steinbeck Center / Berkeley Literature [1] 유봉희 2010.07.23 3536
    공지 윤동주 문학의 밤 - 버클리 문인들 [1] 유봉희 2009.09.08 1686
    공지 Fine Art Exhibition · 유제경 展 [2] 유봉희 2009.06.17 9499
    공지 MOM's Paintings / 어머니의 오솔길 · 유봉희 [1] 유봉희 2009.04.20 2366
    공지 Wallnut's Spring / Ducks & Egg Hunting'09 [1] 유봉희 2009.04.15 1326
    공지 인생덕목 (人生德目) /김수환 추기경 말씀 [1] 양승희 2009.02.27 1457
    공지 Bear Creek Trail [1] 유봉희 2008.12.30 1717
    공지 Earth and Environment arcadia 2009.01.06 1526
    공지 산와킨강 · San Joaquin River-&-Wallnut [1] 유봉희 2008.10.25 1884
    공지 [KBS 시가 있는 음악세계] 소금화석 [1] Amellia 2007.06.07 1931
    공지 내 별에 가다 [1] 박영호 2006.09.30 1884
    458 남극 · Antarctic, Land of Future · 1 ~ 4부 arcadia 2011.06.05 419
    457 movie · 천녀유혼 (Chinese Fairy (Ghost) Tale… ) arcadia 2011.05.19 931
    456 들리브 / 라크메 中 鍾의 노래 & 꽃의 2중창 arcadia 2013.03.16 1276
    455 허블 3D (Hubble 3D) arcadia 2011.06.05 612
    454 movie · 굿바이, 평양 (Goodbye, Pyeongyang) arcadia 2011.05.11 1108
    453 봄비 단상 arcadia 2011.05.10 482
    452 대장경천년특집 · 다르마(진리) … 환생과빅뱅/천국 arcadia 2011.10.18 924
    451 투명3D컴퓨터개발 韓國人 ‘눈길′ · 이진하연구원 arcadia 2013.02.28 1498
    450 사랑한다! … ‘우리말’ arcadia 2011.10.14 750
    449 호우시절(好雨時節) · A Good Rain Knows … arcadia 2011.05.05 974
    448 movie · 울지마, 톤즈 · 극장판 arcadia 2011.05.01 849
    447 내혼백 (魂魄) · 남의 육신 (肉身) arcadia 2011.06.08 766
    446 천년의 바람 外 · 박재삼 arcadia 2011.06.08 483
    » 암 전이의 중요 통로 · 경락 (經絡) 유봉희 2011.10.10 442
    444 충무공 탄신 466주년 · 한산도대첩 arcadia 2011.04.27 1548
    443 사랑이 만든 판소리의 역사 - 동리 신재효 유봉희 2011.06.12 921
    442 또 하나의 지구를 찾아서 外 2 · 김희봉(수필가) 유봉희 2012.06.13 641
    441 남북최초 세계문화 답사 · 한반도의 고인돌 arcadia 2011.04.19 656
    440 Delibes - Flower Duo ivoire 2012.09.14 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