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꼭두각시

2010.01.03 15:13

최성철 조회 수:79

일본의 꼭두각시

우리나라 이름은 대한민국(大韓民國)이다.

안중근(安重根) 의사(義士)도 자신을 한국인(韓國人)이라 하지 않고 대한인(大韓人)이라고 했으며, 자유당 정부는 우리나라와 일본 규슈(九州) 사이에 있는 해협(海峽)의 명칭을 한국해협(韓國海峽)이라 하지 않고 대한해협(大韓海峽)이라고 하였다.

6.25 동란 때 나라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친 젊은 국군 용사들에게 우리는 대한(大韓)의 용사라는 찬사를 보냈다.

대한민국(大韓民國)이라는 나라 이름은 일본 제국주의자들과 독립 투쟁을 하던 상해 임시정부 시절부터 이어진 이름이다.

건국초기 리승만(李承晩) 자유당 정권은 일본과 단교를 하며 우리나라 정체(正體)를 올바르게 세웠다.

그러므로 건국 이래로부터 박정희(朴正熙) 공화당 정권 이전까지는 한국(韓國)이라는 호칭은 사용될 수가 없었으며, 한국(韓國)이라는 호칭으로 바뀌게 된 것은 박정희(朴正熙) 대통령 시절부터이다.

건국 초기부터 5.16 이전까지 우리는 일본의 꼭두각시는 아니었다.

  

대한민국(大韓民國) 혹은 줄여서 대한(大韓)이라는 호칭이 한국(韓國)이라는 호칭으로 바뀐 것은 공화당 정권이 일본과 수교를 하면서 박정희(朴正熙) 대통령이 이 땅에서 사용한 것이 효시이며, 한국인(韓國人), 한국어(韓國語), 국민(國民)이라는 일본말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이 바로 이 시기이다.

일본은 우리나라를 대한민국(大韓民國)이라고 부르지 않고 한국(韓國)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우리나라 사람을 대한인(大韓人)이라 부르지 않고 한국인(韓國人)라고 부른다.

또한 우리말을 대한어(大韓語)라고 하지 않고 한국어(韓國語)라고 하고 있다

  

대한민국(大韓民國)은 일본의 장단에 맞추어 춤을 추는 꼭두각시이다.

우리를 이처럼 일본의 꼭두각시로 만든 것은 박정희(朴正熙) 정권이다.

대통령을 비롯해서 정치인, 내로라하는 지도급 명사들도 일본의 장단에 맞추어 춤을 추고 있는 꼭두각시로 만들어 놓았다.

특히 이 사회를 선도해야할 언론 매체들도 앞을 다투며 모두 일본의 장단에 맞추어 춤을 추록 만들어 놓았다.

  

지금 이 나라 대통령을 비롯해서 사회 지도층에 있는 사람들과 모든 정치인들은 물론이고 언론 매체에서는 모두 이러한 일본식 호칭을 사용하고 있으니 과연 그들을 일본의 꼭두각시라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닐 것이다.

  

박정희(朴正熙) 대통령은 경제 정책에 있어서는 성공을 거두었으나 백성들의 언어문화와 정신문화 정책에서는 실패하였다.

그는 이희승(李熙昇)과 최현배(崔鉉培)와 같은 친일 학풍의 학자들을 중용함으로 인하여 우리 언어문화와 정신문화는 자연히 일본의 것을 모방하며 그로 인하여 우리 고유의 정체(正體)는 회색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이희승(李熙昇)으로 하여금 서울대학 출신을 기반으로 국립 국어 연구원이라는 기관을 세워 나랏말 발전을 기도하려 했으나 결과적으로는 일제 잔재 언어를 청산하지 못하고 오히려 이어받아 쓰는 꼴이 되고 말았다.

그 결과 지금 우리 언어는 “구두” “가마” 등등과 같은 일본말이 우리 토박이말로 둔갑하는 지경에 이르고 있으며, “빵” “빤쯔” “고무” 등등과 같은 일본말이 마치 우리말처럼 스스럼없이 사용하게 되었다.

  

한국(韓國), 한국인(韓國人), 한국어(韓國語), 국민(國民) 등과 같은 언어는 모두 일본에서 사용하는 일본말이다.

특히 국민(國民)이라는 말은 일본과 같은 전제군주국가에서 자기네 백성들을 일컫는 말이다.

리승만 대통령은 동포(同胞) 또는 백성이라는 용어를 즐겨 사용했었으며, 공화당 정권 이전까지 모든 정치가들이나 지식인들은 물론 모든 언론 매체에서도 동포(同胞) 또는 겨레라는 말을 즐겨 사용했었다.

그런데 박정희(朴正熙) 대통령으로부터 시작하여 오늘날까지 국민(國民)이라는 용어가 우리 생활에 스며들기 시작하면서 오늘날에는 마치 우리말처럼 인식되어지고 있다.

  

북측 사람들을 보면 그들이 우리보다 얼마나 주체성 있는 언어생활을 하는가를 짐작할 수 있다.

그들은 자기네 나라이름을 반드시 조선(朝鮮)이라고 명백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를 가리켜 남조선(南朝鮮)이라고 하지 남한(南韓)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또한 그들은 백성들을 일러 “인민(人民)”이라는 용어를 쓰고 있으나 이 “인민(人民)”이라는 용어는 세종대왕도 쓴 적이 있다.

  

우리 국문학자들은 전형적인 일본의 꼭두각시이다.

용어 하나라도 우리 얼이 담긴 것을 개발할 생각은 않고 오로지 일본이 그렇게 하니까 우리도 그렇게 하면 된다는 식으로 안이하게 생각하고 있다.

일본이 “뉴스”라고 하니까 우리도 “뉴스”라고 하면 되고, 일본이 “오렌지”라고 하니까 우리도 “오렌지”라고 하면 된다는 안이한 사고방식이 이 나라 나랏말을 그르치고 있다.

일본이 아무리 우리를 한국(韓國)이라고 부르더라도 우리는 대한(大韓)이라고 떳떳이 말하는 주체성을 가진 민족으로 키우는 것이 국문학자들이 해야 할 책무인 것이다.

  

우리는 우리 자신을 비하하여 일본이 하는 대로 따라하는 꼭두각시가 되어서는 안 된다.

우리나라 이름은 한국(韓國)이 아니라 대한민국(大韓民國)이요, 줄여서 대한(大韓)이다.

우리는 한국인(韓國人)이 아니라 대한인(大韓人)이요, 우리말은 한국어(韓國語)가 아니라 대한어(大韓語)이며, 우리는 황국 신민(臣民)인 국민(國民)이 아니라 민주주의 공화국 백성이요 겨레이다.

  

한글 연구회

최 성철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허경옥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3.09.17 566
공지 '차덕선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2.05.21 632
공지 김준철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2] 미주문협 2021.03.18 40719
공지 정종환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3.17 15909
공지 민유자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2.24 911
공지 박하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2.24 52537
공지 ZOOM 줌 사용법 미주문협 2021.01.04 811
공지 줌 사용법 초간단 메뉴얼 미주문협 2021.01.04 817
공지 안규복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9.10 930
공지 박복수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6.26 1364
공지 김원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2.26 1018
공지 하정아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9.01.21 1282
공지 안서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9.01.21 1042
공지 '전희진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9.01.09 1112
공지 김하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8.09.26 1033
공지 신현숙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8.09.26 1021
공지 최은희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8.06.16 1199
공지 '이신우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8.04.27 963
공지 이효섭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14 1232
공지 이만구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7.12.14 1844
공지 양상훈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04 1056
공지 라만섭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04 1003
공지 김태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7.08.01 1209
공지 '조형숙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7.07.07 1168
공지 '조춘자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7.07.07 1137
공지 '이일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5.08 1096
공지 '이산해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4.10 1100
공지 강화식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2.24 1130
공지 최선호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11.30 1636
공지 강신용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7.21 1073
공지 정문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6.23 1053
공지 강창오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4.04 1204
공지 '이원택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9.08 1215
공지 '장선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9.08 1071
공지 '강성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8.07 1111
공지 '김영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8.07 1048
공지 '박무일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21 1095
공지 '임혜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8 1065
공지 '백남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8 1016
공지 '최익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47
공지 '오영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38
공지 '이기윤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1014
공지 '윤금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73
공지 '구자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59
공지 '신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976
공지 '박정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05
공지 '박경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18
공지 '김혜령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57
공지 '조정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34
공지 '김사빈의 문학서재' 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25
공지 '배송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45
공지 '지희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42
공지 '정어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024
공지 '권태성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052
공지 '김동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114
공지 '서용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089
공지 '이상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63
공지 '백선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55
공지 '최향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72
공지 '김인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71
공지 '정해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65
공지 '이영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3 1133
공지 '안선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3 1011
공지 '박효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040
공지 '장정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027
공지 '미미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030
공지 '최영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1038
공지 '이성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998
공지 '정찬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1015
공지 '장효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9 1068
공지 '손용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9 1070
공지 '오연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6 1128
공지 '이윤홍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5 1076
공지 '차신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5 1016
공지 '윤혜석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1 1079
공지 '김명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073
공지 '고대진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080
공지 '최상준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057
공지 '전지은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036
공지 '박봉진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149
공지 '홍인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194
공지 '기영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0 1058
공지 '최문항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5 1040
공지 '김현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4 1067
공지 '연규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2 1093
공지 '홍영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2 17150
공지 '이용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8 1030
공지 '김태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7 1067
공지 '김수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5 1097
공지 '김영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5 1045
공지 '김희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4 1058
공지 '박인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4 1061
공지 '노기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078
공지 '김학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095
공지 '이용우의 문학서재'가 개설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061
공지 '최미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9 1044
공지 '김영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9 1112
공지 '조옥동, 조만연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8 1601
공지 '성민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072
공지 '전상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055
공지 '한길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077
공지 '박영숙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4 1125
공지 '채영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3 1352
공지 '강학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3 1088
공지 '정국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2 1086
공지 '성영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2]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7 1128
공지 '안경라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7 1192
공지 '고현혜(타냐고)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4 36342
공지 "김영교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5 1123
공지 "석정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4 1187
공지 "장태숙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3 1084
공지 "이월란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4]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2 1151
공지 '문인귀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1 22619
공지 '정용진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0 1085
공지 '이주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19 1216
공지 "유봉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18 1209
1634 유아 흡연예방교육 우수사례 공모전 씽굿 2016.10.26 76
1633 '열린문학 교실' 3월 강론안내/정용진 시인 정용진 2015.03.08 76
1632 제10회 대학(원)생 저작권 우수논문 공모전 씽굿 2015.06.10 76
1631 哀悼 故 宋相玉 先生 정용진 2010.02.06 77
1630 최익철 입니다 (koamwriters.com) raphaelchoi 2012.11.20 77
1629 제34회 대학(원)생 통일논문 및 통일홍보CF 현상공모 씽굿 2015.08.23 77
1628 해로운 음식 석류나무 2007.11.29 78
1627 뱅크오브 아메리카, 아까워라 promotion 2008.05.01 78
1626 성급한 문인들이 타는차 문인 2007.12.23 78
1625 샌디에고 "문장교실" 창립 2주년 기념강연 안내 정용진 2010.03.02 78
1624 칭찬, 그 아름다운 마음/박인영 김학 2012.11.14 78
1623 제8회복숭아문학상공모 최보경 2013.05.03 78
1622 제 33회 대학(원)생 통일논문 현상공모 씽굿 2014.07.02 78
1621 대한민국! 그대는 어디로 표류하고 있는가? 뿌리깊은나무 2008.03.09 79
» 일본의 꼭두각시 최성철 2010.01.03 79
1619 빌린 말 다듬기 -고무- 최성철 2010.01.17 79
1618 2014년 가을 <온드림 독서클럽> 모집 씽굿 2014.10.15 79
1617 질문에 답합니다. 정용진 2007.10.12 80
1616 알림!! 알림이 2007.10.14 80
1615 문학 속의 빌린 말 뿌리깊은나무 2008.04.29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