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보(杜甫)의 곡강시(曲江詩)

2009.07.24 07:33

두보 조회 수:1931 추천:66

人 : 사람 인
生 : 살 생
七 : 일곱 칠
十 : 열 십
古 : 옛 고
來 : 올 래
稀 : 드물 희

당(唐)나라의 시성(詩聖) 두보(杜甫)의 〈곡강시(曲江詩)〉 일절이다.

조정에서 돌아와 하루하루 춘의를 잡혀[朝回日日典春衣],
매일 강두에서 취하여 돌아오네[每日江頭盡醉歸].
술빚이야 가는 곳마다 흔히 있지만[酒債尋常行處有],
인생 칠십은 고래로 드물도다[人生七十古來稀].

젊은 날의 두보는 각지를 방랑하였다. 그러다 나이 30세가 넘어 장안(長安)으로 돌아와 벼슬길에 나서기를 희망하였다. 그러나, 뜻대로 일이 잘 풀리지 않아 허탈한 나날을 보내던 중, 안녹산(安祿山)의 난이 일어났다. 황제 현종(玄宗)이 난을 피해 쓰촨[四川]으로 가는 등 나라가 온통 뒤흔들렸다. 두보도 난을 피하여 새로 즉위한 숙종(肅宗)이 있는 영무(靈武)의 행재소(行在所)로 가려다가 반군에게 붙잡혔다. 9개월 동안 갇혀 있다가 탈출하여 봉상(鳳翔)의 행재소로 갔는데, 그 공으로 좌습유(左拾遺)에 임명되었다. 관군이 장안을 탈환하자 숙종을 따라 환도하였다. 이때 그의 나이 47세쯤 되었다. 수도 장안의 동남쪽에는 곡강이라는 못이 있었고, 그 못의 남쪽에 부용원(芙蓉苑)이라는 궁원(宮苑)이 있어 경치가 아름다웠다고 한다. 〈곡강시〉는 이곳을 배경으로 하여 지은 것이다. 두보는 59세에 죽었는데, 그의 말처럼 70세까지 살지는 못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0 정용진 시인 '산중춘우. 정용진 2010.02.15 626
139 고고춤이나 춥시다 정용주 시인 2008.12.29 575
138 북한기행문 월천 2005.05.26 563
137 내고향 여주(驪州)가 낳은 인물들...(8명의 왕비. 2 명의 왕모) 정용진 2005.02.21 558
136 시 창작과 그 이해 <나의 시 창작론> 정용진 2006.05.07 556
135 호랑이의 기백으로 (경인년 신년시) 정용진 2009.12.30 555
134 고 송상옥 선생을 추모함 (미주 중앙일보 10.2.10) 정용진 2010.02.10 554
133 샌디에고 '문장교실' 송년파티 정용진 2009.12.16 550
132 ' 문장의 향기'/샌디에고 문장교실/정용진 시인 운영(1) 수봉 2013.04.27 549
131 알라스카의 만년 빙하의 모습 file Kiyoon Lee 2010.08.23 543
130 에덴 장미농장 전경 file 정용진 2003.03.22 531
129 심산에서 5년째 홀로사는 정용주 시인 정용진 2007.09.17 529
128 정용진 에세이 <시인과 농부>... 교보문고. Daum 정용진 2008.09.04 525
127 哀悼 故 宋相玉 先生 (추모시) 정용진 2010.02.10 514
126 秀峯居士 鄭用眞 詩人의 詩에 관한 語錄 정용진 2010.06.04 514
125 <남가주 한인 농민열전.1> (남가주 녹색 농민신문 . 케빈 리 기자) 케빈 리 기자 2008.12.12 514
124 나는 숲속의 게으름뱅이<김영사>정용진의 막내동생 정용주의 에세이 정용진 2007.08.31 513
123 해질 무렵 여강에 배를 대다 (서산대사 : 1520-1604) 정용진 2009.12.02 512
122 정용주 시집 "인디언의 여자" 실천문학사 <정용진의 남동생> 실전문학사 2007.09.24 503
121 월간 스토리문학 <11월호 해외문학 특집> 월간 스토리문학 2007.11.28 502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2.14

오늘:
0
어제:
5
전체:
291,5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