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살이

2013.07.03 12:06

김학 조회 수:315 추천:1

하루살이

                                  김 학


하루살이(mayfly)는 진짜로 하루만 사는 곤충일까? 또 하루살이도 나이를 셀까? 하루살이는 성충(成蟲)의 경우 2시간 정도의 수명밖에 누리지 못한다는 이야기도 있고, 한두 주일 산다고도 한다. 깨끗한 물속에서 1년 동안 살다가 성충이 된다니 하루살이는 1년가량 산다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닐 것 같다. 그런데 왜 ‘하루살이’라고 이름을 붙였을까? 그 하루살이도 잠을 자고 꿈을 꿀까? 사람 같으면 잠을 자야 꿈을 꿀 수 있고, 오래 살 수 있어야 크고 작은 꿈(희망)을 지닐 텐데…….
나이가 불어나면서 궁금한 일도 참 많다. 하루는 24시간이다. 그런데 하루살이의 수명이 2시간이라면 하루의 1/12밖에 되지 않는다. 그 짧은 수명의 곤충에게 슬기로운 우리 조상님들이 ‘하루살이’란 과장된(?) 이름을 붙여 준 것은 무슨 까닭일까? 제대로 하려면 ‘시간살이’라 표현하는 게 옳은 텐데…….
동물이나 식물의 수명은 천차만별이다. 조물주는 골치 아프게 왜 그렇게 동식물의 수명을 들쭉날쭉 멋대로 정했을까? 일률적으로 정해버렸으면 아주 편했을 텐데, 조물주의 셈법은 알다가도 모르겠다. 하늘나라에는 이 지구에서 사는 동식물들의 수명을 관장하는 벼슬아치가 따로 있지 않을까?
만물의 영장이라는 사람은 100세 시대를 목표로 자꾸 수명이 늘고 있다. 사람들의 노력으로 그리 된 것이다. 그래서 9988234란 말까지 나왔다. 남자의 평균수명 50세 벽(壁)이 깨진 게 1947년 이후라고 하니, 그리 오래되지는 않았다. 불과 60여 년 만에 사람의 평균수명은 엄청나게 늘었다. 또 그게 종착역도 아니다. 세월이 갈수록 사람의 수명은 더 늘어날 테니까.
파리의 수명은 8일이고, 송사리는 1~2년, 지렁이는 10년 정도란다. 토끼는 8년이고, 개는 12년, 고양이는 18년, 그리고 곰과 염소, 원숭이는 20년 정도라고 한다. 동물의 왕인 사자는 25년인데 소와 돼지는 30년, 비둘기와 참새, 하마는 40년, 말은 60년이란다. 뱀장어는 90년이며, 악어와 독수리는 100년, 황소거북은 200년이라 한다. 그러고 보면 힘이 세거나 덩치가 크다고 수명이 긴 것도 아니다.
또 삼나무, 은행나무, 느티나무는 수백 년을 살고, ‘세콰이어(sequoia)’라는 나무는 수천 년을 산다니, 동물보다 식물의 수명이 훨씬 더 길다. 움직이는 동물보다 말뚝처럼 한 곳에 서있는 식물들이 더 오래 산다. 걸어야 건강해진다는 의사들의 처방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1년은 365일이다. 사람에게 1년이란 세월은 그리 긴 게 아니다. 그러나 하루살이에게 1년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긴 시간이다. 하루살이에게도 사람과 같은 희로애락(喜怒哀樂)의 감정이 있을까? 행여 그런 감정이 있다면 그걸 어떻게 표현할까? 하루살이는 입도 없다. 평생에 짝짓기를 한 번 하여 후손을 남긴다. 암컷은 한 번에 4천여 개의 알을 깐다. 그만큼 번식력이 강한 편이다.
하루살이는 외모가 작아서 잘 눈에 띄지 않는다. 여름밤에 시골길을 운전하고 나면 승용차의 헤드라이트에 헤아릴 수 없이 많은 하루살이들의 시체가 들어붙어 있다. 하루살이는 어둠을 밝히는 불빛을 찾아 뛰어들었다가 자신의 천수(天壽)를 누리지 못한다. 그 짧은 목숨마저 다 채우지 못하고 앞당겨 죽은 것이다. 얼마나 슬픈 일인가? 하루살이는 밤거리의 가로등 틈새로 들어가서 죽기도 한다. 밝은 빛이 그리워서 찾아갔다가 목숨을 잃은 것이다. 하루살이들이 그렇게 죽어가도 눈물을 흘리는 이는 아무도 없다.
지렁이의 죽음도 애잔하기는 마찬가지다. 비가 내린 뒤 흙속에 살던 지렁이가 길가로 나와서 꿈틀꿈틀 기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 지렁이는 날짐승의 먹이가 되거나 개미들에게 포박되어 끌려가기도 한다. 순하고 순한 지렁이 역시 제 수명을 다 누리지 못하고 죽음을 맞는다. 땅을 비옥하게 할 뿐 남을 해칠 줄 모르는 착한 지렁이가 왜 그렇게 일찍 죽어야 한단 말인가? 지렁이의 죽음은 날짐승이나 개미들에게 육보시(肉布施)를 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지렁이의 죽음 역시 눈물겹도록 안쓰러운 일이다.
동물이나 식물이나 목숨이 있는 존재는 언젠가는 죽기 마련이다. 그래서 생자필멸(生者必滅)이라 한 것이다. 수명이 길건 짧건 꼭 한 번은 죽어야 한다. 죽는다는 것은 슬픈 일이다. 이 지구상에 존재한 생물들의 죽음은 똑 같이 슬프다. 유(有)가 무(無)로 돌아간 것이니 말이다. 백년 천년을 살다 죽든 단 하루를 살다 죽든 그 죽음의 의미는 차이가 없다. 사람이 오래 살다 죽으면 호상(好喪)이라 덕담을 하지만 100년 200년을 살다 죽은 동식물에게는 그런 말을 하지 않는다. 하루살이의 죽음과 200년을 사는 황소거북의 죽음 그리고 수천 년을 살다 죽은 세콰이어의 죽음이 같은 의미로 평가되어도 좋은 것일까?
                            (2013. 6. 19.)

*김학 약력
1980년『월간문학』등단/『나는 행복합니다』등 수필집 12권,『수필의 길 수필가의 길』등 수필평론집 2권/ 한국수필상, 펜문학상, 영호남수필문학상 대상, 연암문학상 대상, 신곡문학상 대상, 전주시예술상, 전라북도문화상, 목정문화상 등 다수 수상/ 전북수필문학회 회장, 대표에세이문학회 회장, 전북문인협회 회장, 전북펜클럽 회장,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부이사장 역임/ 전북대학교 평생교육원 수필창작 전담교수/ e-mail: crane43@hanmail.net http://crane43.kll.co.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허경옥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3.09.17 566
공지 '차덕선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2.05.21 632
공지 김준철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2] 미주문협 2021.03.18 40721
공지 정종환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3.17 15909
공지 민유자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2.24 911
공지 박하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2.24 52540
공지 ZOOM 줌 사용법 미주문협 2021.01.04 811
공지 줌 사용법 초간단 메뉴얼 미주문협 2021.01.04 817
공지 안규복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9.10 930
공지 박복수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6.26 1364
공지 김원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2.26 1018
공지 하정아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9.01.21 1282
공지 안서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9.01.21 1042
공지 '전희진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9.01.09 1112
공지 김하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8.09.26 1033
공지 신현숙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8.09.26 1021
공지 최은희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8.06.16 1199
공지 '이신우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8.04.27 963
공지 이효섭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14 1232
공지 이만구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7.12.14 1844
공지 양상훈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04 1056
공지 라만섭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04 1003
공지 김태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7.08.01 1209
공지 '조형숙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7.07.07 1168
공지 '조춘자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7.07.07 1137
공지 '이일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5.08 1096
공지 '이산해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4.10 1100
공지 강화식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2.24 1130
공지 최선호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11.30 1636
공지 강신용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7.21 1073
공지 정문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6.23 1053
공지 강창오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4.04 1204
공지 '이원택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9.08 1215
공지 '장선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9.08 1071
공지 '강성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8.07 1111
공지 '김영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8.07 1048
공지 '박무일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21 1095
공지 '임혜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8 1065
공지 '백남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8 1016
공지 '최익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47
공지 '오영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38
공지 '이기윤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1014
공지 '윤금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73
공지 '구자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59
공지 '신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976
공지 '박정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05
공지 '박경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18
공지 '김혜령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57
공지 '조정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34
공지 '김사빈의 문학서재' 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25
공지 '배송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45
공지 '지희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42
공지 '정어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024
공지 '권태성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052
공지 '김동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114
공지 '서용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089
공지 '이상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63
공지 '백선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55
공지 '최향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72
공지 '김인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71
공지 '정해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65
공지 '이영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3 1133
공지 '안선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3 1011
공지 '박효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040
공지 '장정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027
공지 '미미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030
공지 '최영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1038
공지 '이성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998
공지 '정찬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1015
공지 '장효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9 1068
공지 '손용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9 1070
공지 '오연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6 1128
공지 '이윤홍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5 1076
공지 '차신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5 1016
공지 '윤혜석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1 1079
공지 '김명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073
공지 '고대진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080
공지 '최상준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057
공지 '전지은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036
공지 '박봉진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149
공지 '홍인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194
공지 '기영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0 1058
공지 '최문항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5 1040
공지 '김현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4 1067
공지 '연규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2 1093
공지 '홍영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2 17151
공지 '이용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8 1030
공지 '김태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7 1067
공지 '김수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5 1097
공지 '김영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5 1045
공지 '김희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4 1058
공지 '박인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4 1061
공지 '노기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078
공지 '김학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095
공지 '이용우의 문학서재'가 개설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061
공지 '최미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9 1044
공지 '김영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9 1112
공지 '조옥동, 조만연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8 1601
공지 '성민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072
공지 '전상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055
공지 '한길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077
공지 '박영숙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4 1125
공지 '채영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3 1352
공지 '강학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3 1088
공지 '정국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2 1086
공지 '성영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2]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7 1128
공지 '안경라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7 1192
공지 '고현혜(타냐고)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4 36342
공지 "김영교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5 1123
공지 "석정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4 1187
공지 "장태숙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3 1084
공지 "이월란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4]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2 1151
공지 '문인귀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1 22619
공지 '정용진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0 1085
공지 '이주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19 1216
공지 "유봉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18 1209
1434 제10회 기후변화대응관련 대학(원)생 에세이 공모전 씽굿 2013.07.23 91
1433 [김학 행복통장(7)] 김학 2013.07.21 98
1432 노인처세 명심보감 12개 항 김학 2013.07.20 71
1431 미국의 최남단 키웨스트/윤철 김학 2013.07.18 231
1430 세계에서 가장 큰 칼스베드 동굴/윤철 김학 2013.07.18 375
1429 2013년 나의 경기도 이야기 공모전 씽굿 2013.07.17 92
1428 제32회 대학(원)생 통일논문 현상공모전 씽굿 2013.07.15 32
1427 정용진시인의 사랑의 시 모음/강학희 시인 정용진 2013.07.12 1005
1426 제7회 해양문학상 씽굿 2013.07.11 56
1425 조선은 어떻게 500년이나 갔을까 김학 2013.07.10 28
1424 우리는 여전히 속고 있다! 최성철 2013.07.09 239
1423 창작스토리 기획개발 공모전 씽굿 2013.07.08 85
1422 애프터서비스/김현준 김학 2013.07.05 219
1421 백만불짜리 건강 정보 김학 2013.07.04 330
» 하루살이 김학 2013.07.03 315
1419 장인장모님과 선배 문우님들/김득수 김학 2013.07.03 345
1418 과일은 식전에 먹어야 하고 식후에 냉수는 금물 김학 2013.06.29 564
1417 위안부 기림 비를 한인 타운에/정용진 시인/한국일보 정용진 2013.06.27 203
1416 부부가 함께 자야하는 이유 김학 2013.06.26 380
1415 제5회 목포문학상 작품 공모 김학 2013.06.25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