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창 시절

2004.08.23 15:12

석정희 조회 수:592 추천:85

1-KakaoTalk_20210622_151628383.jpg

학창 시절/석정희

날마다 머리감고
나서는 조심스런 걸음이었지
해마다 피어나던 꽃에도
느낌이 다르게 자지러지던
속내는 모란에 담아
그려내던 겹겹이 쌓인 꿈
빛살 안은 이슬이었지
작은 새 이슬 물고
하늘 끝 향해 날던
뒤를 쫓는 애태움이었지


   갤러리 감상


  석 시인의 갤러리에 들렸다가 방문객이 너무 많아서
  혹 이곳에는 입장료라도 내야 하지 않는 건지 하고(笑)
  주위를 두리번거리다가(입장료 수집함 같은 것을 찾아서)(笑)
  그냥 가기가 뭐 해서(너무 너무 잘 쉬었다 가기에) 몇자 적고 갑니다.
  석 시인을 비롯해서 가족분들이 모두 미남 미녀이시고,
  화목한 모습이 너무 보기 좋지만,
  특히 덕수궁 뜰 속의 석 시인의 모습과 함께 그 분위기가 너무 좋아서,
  나도 그 곁에 앉아 잠시 옛 상념에 젖어 있다 갑니다.
  저도 학창시절엔 잠깐 그림 공부를 했었지요.
  그때 화판을 곁에 끼고 다니던 기억이 되살아납니다.
  그때 양 수아 화가(남도의 유명한 화가, 작고)에게 찾아가서
  지도를 받았는데, 석고 댓상을 공부하면서,
  석 시인이 그리고 있는 그 목단 꽃 뿌리로 댓상할 때 사용하는
  목탄을 만들어 쓴다는 이야기를 그분에게서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목단꽃은 아무곳에나 흔하게 피어 있지 않고,
  꽃나무에 비해 꽃이 크고 풍성하게 피는 꽃이어서 더욱 좋지요.
  그림이든 사진이든 화중시화(畵中詩話)라고 그림이나 사진 속에는
  한 편의 시가 담겨있을 수도 있고,
  꿈결 같은 한 조각의 단상(短想)을 떠올릴 수도 있고,
  그리고 더러는 한 편의 소설 같은 서사(敍辭)도 들어 있을 수도 있겠지요.
  무엇보다도 석 시인의 그 착해 보이시는 아름다운 모습이
  마치 학창시절에 제겐 없어서 내가 그렇게도 부러워하던
  내겐 없는 여동생 모습 같기도 해서 정말 좋았습니다.
  앞으로도 오늘처럼 종종 들어와서 쉬었다 가겠습니다.
  석 시인이나 부군(夫君)에게 누가 되는 글은 아닌지?
  아무튼 잘 쉬었다 갑니다. 감사합니다.

   박영호 선생님의 글 옮겨왔음 6/19/1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0 사랑하는 딸의 글 file 석정희 2012.02.03 1908
339 이선우 선생님과 함께 file 석정희 2012.05.06 1293
338 이송희 선생님과 함께 file 석정희 2012.05.10 1213
337 마주 앉아 file 석정희 2012.02.09 1072
336 한복 file 석정희 2004.08.12 851
335 서재에서 file 석정희 2005.09.28 847
334 감사패 증정 과 한우연 시인의 내가 아는 석정희 시인 file 석정희 2009.02.07 796
333 그리움의 강물 file 석정희 2010.05.01 718
332 새가 된다 해도 file 석정희 2010.05.01 705
331 보내온 화환과 축사 file 석정희 2009.02.01 692
330 채동선전도사님 file 석정희 2015.05.01 690
329 나 그리고 너 file 석정희 2011.06.13 689
328 시 낭송 하신분들 file 석정희 2009.02.01 654
327 백수연 잔치 file 석정희 2014.05.31 652
326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정원에서... file 석정희 2010.05.02 630
325 뒤 돌아보면 file 석정희 2004.09.29 627
324 우리 이쁜 아기 file 석정희 2010.05.01 626
323 뒷마당, 나무 시 file 석정희 2010.05.01 609
» 학창 시절 file 석정희 2004.08.23 592
321 아름다운 주부 6행시 file 석정희 2004.08.24 573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11
어제:
0
전체:
142,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