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4_1238122399.jpg



워싱턴 중앙일보 임창현의 시가 있는 벤치 404


내가 시인이라서
-안경라


진실을 거짓처럼 쓰는 것이 역사이고
거짓을 진실처럼 쓰는 것이 시다


내가 시인이라서 그런지 이 말을 듣는 순간
아 맞아 그래 그래 맞장구를 쳤었어
시처럼 살 수 없어 시를 못 쓰겠다는 그대를
한 때는 이해할 수 없었지
바람이 하나 저만큼 간다든가
꽃의 말을 받아 적는 다든가
별들을 따서 그녀의 검은 머리에 꽂아 준다든가
이런 은유가 눈에 보일리 없지
손에 잡힐리 없지
내가 시인이라서 하는 말인데 우리 세계에
거짓은 처음부터 없는 것이야
이 세상이 지하경이 되고 저 세상에도 문학 모임이 있어
뿌리에 나뭇잎을 매다는 일
나의 눈물에 종이배 띄우는 일 그대도 할 수 있어
거짓이 아니니까
그러니까 그대도 다시 시를 써봐.


‘내가 시인이라서‘ 라고 당당하게 말해볼일 없는 나는 ’내가 시인이라서‘ 라고 당당하게 말하는 이 시인이 좋다. 좋다기보다는 부럽다. 안경라는 나성에 사는 시인이다. 내가 미주 안에서 열 손가락 안에 꼽고 이따금 톡톡 튀는 그의 시에 밑줄 쳐주며 읽어주는 시인이다.
그래, 시인은 더러 진실을 거짓처럼 쓰기도 하고, 진실을 아닌 것처럼 말하기도 한다. 그것은 반어지. 그러나 시인은 반어에서 더 자유롭고, 솔직한 겸손과 쾌감을 느끼지.

직선을 곡선으로 돌아가는 알레고리, 아이러니, 콜라쥬, 모순어법, 반어로 돌아가는 세상사. 길, 그렇게 돌아서 가지. 그러나 우리 세계에는 처음부터, 아니 바닥까지 거짓은 없어.
시가 갖는 상상적 진실의 힘을 충분히 인식하는 것, 삶을 진실하게 살아가려는 결의, 그래서 그대 시인들, 시를 쓰지 않을 이유 없지 않은가. 시 나라 거짓은 상상 혹은 창조되는 말과 다르지 않다. 진실을 말하기 위한 허구, 그것이 상상이다. 시가 만들어 내는 거짓은(=상상)은 역사가 만들어 낸 거짓을(=현실) 극복하게 해준다.

시처럼 살 수가 없어 시를 못 쓰겠다는 그대, 그래서 그대는 더 시를 써야하고, 쓸 수 있는 것 아닐까? 그래, 우리들 시인은 처음부터 거짓은 없는 것이야. 그렇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 정해정 아동분과위원장 외 5인 작품집 '참 좋다' 출간 미문이 2010.08.03 156
520 소설가 이문열 씨 강연회 미문이 2010.08.03 228
519 미주시문학회 년회지 file 미문이 2010.08.09 114
518 '무원문학상' 수상자 미문이 2010.08.20 137
517 홍영순 아동문학가 창작집 발간 미문이 2010.08.23 151
516 나희덕 시인, 도서 기증 미문이 2010.08.23 236
515 김미미 자전에세이 '미시간 호숫가에 핀 계수나무꽃' 출간 미문이 2010.09.10 446
514 제 6회 시문학지 출판기념회-9월 21일 미문이 2010.09.13 176
513 '참 좋다' 출간기념 북사인회-9월18일 미문이 2010.09.13 204
512 복영미 회원 재외동포문학상 대상 수상 미문이 2010.09.17 319
511 위진록 원로수필가 '클래식 초대석' 수필집 출판기념회 미문이 2010.09.22 129
510 이초혜 시인 제2시집 북싸인회 미문이 2010.09.22 208
509 한길수 부회장 첫시집 출판기념회 file 미문이 2010.09.22 379
508 이주희 회원 2시집 '소리비' 출간 미문이 2010.10.07 297
507 박영숙 회원 제3시집 출간 미문이 2010.10.07 245
506 배송이 회원 첫시집 '그 나무' 출판기념회 미문이 2010.10.07 176
505 홍승주 작가 문학강의 미문이 2010.10.10 155
504 이충렬 소설가 '간송 전형필' 펴내 미문이 2010.10.13 289
503 정옥희 수필가 에세이집 출간 미문이 2010.10.13 135
502 전지은 회원, 신동아 최우수상(논픽션) 수상 미문이 2010.10.20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