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냉정한 평가 ㅡ박정희

2012.03.14 21:45

박영숙영 조회 수:866 추천:86

박정희가 없었다면, 오늘날의 한국도 없다.
박정희는 헌신적이었고, 개인적으로 착복하지 않았으며,
열심히 일했다. 그는 국가에 일신을 바친 리더였다"
- 2006.11.11 에즈라 보겔 (하버드대학 교수)

" 박정희는 한국경제 발전의 유공자이다"
-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아시아에서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한 위대한 세 지도자로
일본의 요시다 시게루와 중국의 덩 샤오핑 그리고 한국의 박정희를
꼽고 싶다" "오직 일에만 집중하고 평가는 훗날의 역사에 맡겼던 지도자"
- 리콴유 (전 싱가포르 수상/현 싱가포르 고문장관)

"박정희 정권 18년 동안의 목표는
자립경제력을 갖춘 현대국가의 건설이었다.
박정희 대통령은 그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했다."
- 맨스로프 (러시아 안보연구소 교수)

"박정희 근대화 성공으로 중산층 창출이 되고 이것이
한국 민주주의 토대가 되었다.
박정희야 말로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가장 크게 기여하였다."
- 2005. 2.4 오버홀트 (美 카터 전 대통령 수석비서관)

"박정희는 비록 민주화운동을 억압하였으나
역설적으로 민주주의에 필수적인 중산층을 대폭 창출시켜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가장 크게 기여하였다."
- 1991.4.2 김상기 (충남대학 교수)

"민주화란 것은 산업화가 끝나야 가능한 것입니다.
자유라는 것은 그 나라의 수준에 맞게 제한되어야 합니다.
이를 가지고 독재라고 매도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
- 2001.6.7 앨빈 토플러 (미래학자/뉴욕대학 명예박사)

박정희는 조국근대화에 확고한 철학과 원대한 비전을 바탕으로
시의적절한 제도적 개혁을 단행했다. 매우 창의적이며 능률적이었다."
- 카터 에커트 (하버드대학 교수)"

"중국의 덩 샤오핑의 개혁은 박정희 모델을 모방한 것이다"
- 美, RAND 연구소 -

"매 회의마다 우리 농촌과 국토에 가졌던 뜨거운 애정,
빈곤했던 우리 역사에 대한 한에 가까운 처절한 심정,
그리고 빈곤을 극복하여 경제대국을 이룩하려는 치열한 집념에
숙연해지곤 했다"
- 고건 (대한민국 전 총리)

"세계 최빈국의 하나였던 한국이 박대통령의 새마을운동을 시작으로
불과 20년 만에 세계적인 무역국가가 되었음을 경이롭게 본다.
- 폴 케네디 (예일대학 교수)

"박정희 대통령은 나의 롤모델"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어렵던 시절, 한국을 이끌어 고도로 공업화된 민주국가로 변화시킨
역사적 역할을 담당한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해
깊은 존경심을 가지고 있다.
그는 후임 대통령들이 본보기로 삼을 만한 유산을 남긴
한국에서 가장 성공적이었던 지도자들 중 한 사람임에 틀림없다."
- 무샤라프 (파키스탄 대통령)

"1965년 필리핀의 1인당GNP가 270달러였을 때
한국의 1인당GNP는 102달러였지만
2005년 필리핀의 1인당 GNP가 1030달러였을 때
한국의 1인당GNP 16,500 달러로 변하였다
가난한 절대빈곤의 후진국에서
조국보다 잘살던 동남아 나라들을 따돌리고
산업화의 기틀을 마련한 박정희 대통령의 지도력이 존경스럽다"
- 아로요 (필리핀 대통령)

세계 지도자들의 박대통령 평가. 출처 - 세계 위키디피아 사전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유튜브 박영숙영 영상'시모음' 박영숙영 2020.01.10 162
공지 박정희/ 외국학자들의 평가 박영숙영 2018.03.01 941
공지 AP종군기자의 사진을 통해 다시 보는 1950~53년 韓國戰爭 박영숙영 2015.07.26 2182
공지 박정희 대통령의 시 모음 박영숙영 2015.07.06 1673
공지 이순신 장군의 어록 박영숙영 2013.02.22 1600
» 세계의 냉정한 평가 ㅡ박정희 박영숙영 2012.03.14 866
공지 저작권 문제있음 알려주시면 곧 삭제하겠습니다. 박영숙영 2009.09.02 827
공지 슬픈역사 ,기억해야 할 자료들 박영숙 2009.01.26 963
공지 박정희 대통령의 명언 박영숙 2009.01.26 2729
공지 박정희와 맥도널드 더글라스사 중역의 증언 박영숙 2009.01.26 1298
37 "不變(불변)" /학명선사 박영숙영 2014.02.06 575
36 (이런들 어떠하며) - 이 황 박영숙영 2013.02.22 574
35 견우의 오래 /서정주 박영숙영 2012.03.12 573
34 고사(古寺)" /조지훈 박영숙영 2014.05.08 572
33 (강호에 봄이 드니) - 맹사성 박영숙영 2013.02.22 557
32 홍성란 /들길 따라서 박영숙영 2014.05.07 526
31 (한 손에 가시 쥐고)- 우 탁 박영숙영 2013.02.22 513
30 靜坐然後知平日之氣浮 고요히 앉아 본 뒤에야 평상시 박영숙영 2014.02.06 445
29 바다를 가르며(泛海 범해) _ 최치원 박영숙영 2015.05.12 440
28 낙서재(樂書齋) _ 고산 윤선도 박영숙영 2015.05.12 436
27 퇴계가 두향에게 보냈다고 전해진 시 박영숙영 2015.05.12 436
26 시조대상 수상작 모음/ 홍성란, 정수자 박영숙영 2014.05.07 435
25 冬夜(동야) - 金三宜堂(김삼의당) 박영숙영 2014.02.06 430
24 [전남 해남 '땅끝']/김지하 박영숙영 2012.01.21 426
23 잊을 수 없는 일곱 명의 미국인들 박영숙영 2011.07.17 425
22 이황의 풍물시/ 문경새재/ 한벽루/ 정약용/신경림 목계장터 박영숙영 2018.01.27 421
21 不疎亦不親(불소역불친) 박영숙영 2014.02.06 401
20 (녹이상제 살찌게 먹여) - 최 영 박영숙영 2013.02.22 390
19 짚신신고 이렇게도 못살았는데 박영숙영 2015.08.04 378
18 꽃등/ 류시화 박영숙영 2015.06.14 377
17 족보의 의의 박영숙영 2011.11.08 376
16 신부/ 서정주 박영숙영 2014.05.08 360
15 옛날 옛적의 귀한 이미지 자료 박영숙영 2016.04.09 329
14 따뜻한 슬픔 ...홍성란 박영숙영 2014.05.07 325
13 그날이 오면 (심훈) 박영숙영 2019.04.04 289
12 遣憂(견우) - 丁若鏞(정약용) 박영숙영 2014.02.06 287
11 > 흰구름 걷히면 청산인 것을 < 박영숙영 2014.09.07 267
10 봄이 오면 산에 들에 /홍성란 박영숙영 2014.05.07 265
9 思齋 / <眞樂在閑居 金正國(1485~1541)> 박영숙영 2014.02.06 250
8 춘산에 / 우탁 박영숙영 2014.06.18 249
7 도연명 陶淵明, 중국 晉나라 시인 박영숙영 2014.06.18 249
6 홍성란 /바람불어 그리운 날 박영숙영 2014.05.07 241
5 집착하지 않는 삶 박영숙영 2014.09.07 237
4 나룻배와 행인 /한용운 박영숙영 2014.06.16 217
3 俊禪子(준선자) - 淸虛休靜(청허휴정) 박영숙영 2015.05.12 203
2 <'感興' 중 - 白居易> 박영숙영 2015.05.12 150
1 대상과인식과정 박영숙영 2019.06.06 69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25
어제:
72
전체:
887,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