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집 속의 시 읽기      조옥동

  박남희 시집 「이불 속의 쥐」
  
                                                
天均 저울
                                      
                                            
이 땅의 모든 것들은 저울을 가지고 있다
어디론가 기우뚱거리는 것들의 무게를 재는 저울
서로 다른 무게와 무게 사이에 끼어
끊어진 것들을 이어주고 피 흐르게 하는 저울

숨 가쁜 생의 오르가즘을 느끼듯
거친 소리를 내며 급박하게 흘러가던 계곡물이
바다에 이르러서야 평온해지는 것은
물이 제 몸에 저울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아침에 뜨는 해와 저녁에 뜨는 달도
우주가 제 저울추를
빛과 어둠 사이에 매달아놓은 것이다
나는 저울추의 무게를 느끼며
밤하늘이 쏟아내는
무수한 별똥별의 방향을 읽는다

밤하늘의 찬란한 아픔과 무게로 반짝이던
별똥별이 쏟아져 내린 허방 쪽으로
세상의 모든 것들이 잠시 기우뚱거린다
그럴 때면 내 몸 속의 해와 달, 별들도
天均을 잃고 불안해진다

나는 종종 세상을 바라볼 때
내 몸의 저울을 느낀다
세상을 향해 자꾸 기울어지려는 나를
기울어지지 않게  안간힘을 쓰는 저울,

흐린 날, 우리네 어머니
신경통 저울의 주인이 어머니가 아니듯이
내 몸 속 저울의 주인도 내가 아니다
그래서 내 몸은 늘 불안하다      

♤ 현대는 마이크로 시대에서 나노시대로 진입했다. 실제로 나노의 백만 분의 일까지도 측정하는 일은 흔하다. 하나의 먼지도 육안으론 보이지 않는 공기도 무게가 있다. 이들의 무게중심은 어디에 있을까? 이러한 질문에 물리적 해답을 줄 수 있는 과학이 있지만 시인이 희구하는 모범 답은 아닌 듯 하다. 우주는 물론 우리의 생각과 마음이 고여서 만드는 형이상학적인 세계, 영혼까지도 측정할 수 있는 저울, 모든 것들의 무게중심이 합일하여 평형의 완성을 이루는 저울은 누가 만드는 것 일가?

무게중심을 가운데 두고 저울 양측 팔에 놓인 무게가 동일하여 평형을 이루는 순간 저울은 파르르 전율을 일으킨다. 생의 오르가즘을 느끼듯. 급한 계곡 물이 바다에 이르러서야 평온해짐은 평형을 이루려는 天均의 성품 때문이라고, 허나 바다는 쉼 없이 파도를 일으킨다. 온전한 평형이 존재할 수 있는지, 세상의 저울보다 비교될 수 없이 예민하고 감각적인 시인의 저울은 그가 간직한 해와 별 모든 우주까지 天均을 잃을 가 불안함을 고백한다.  끊어진 것들을 이어주고 피 흐르게 하는 저울, 天均에 이르는 일은 시인의 꿈이요 이상이며 우주의 본래 모습일 게다. 신경통 저울의 주인이 어머니가 아니 듯 저울의 본래 주인을 탐색해야 한다. 그의 저울 중심은 하늘 곧 우주중심에 닿아 있을 지 모른다. 온전한 것의 모습이 원이라면 그리고 사랑과 미움을 비롯한 생의 모든 요소와 형상이 이 원의 둘레를 이루고 있다면 그 무게중심과 등거리에 존재하므로 天均이 아닐는지.

시는 살과 뼈가 없어도 저울을 가지고 있다. 시는 시인의 내면 속에 있고 시인은 시가 그 속에 있어 시의 무게중심은 시인의 무게중심이 되고 시의 무게는 시인의 저울 눈금 위에서 빛이 나고 있지 않은가.  

빛과 어둠사이에 추를 매단 우주는 음과 양의 영원한 대립을 두 팔의 양측에 놓고 서로의 존재를 확인시켜주며 반사하는 거울이 아닌가 싶다.

세상의 모든 것엔 허방이 있어 쉬지 않고 기우뚱거림의 생은 어느 누구에게나 또한 어느 것 하나에도 예외일 수 없기에 시인과 우리 모두의 불안은 天均 저울을 얻기 위한 영원한 모습이며 순수의 본질 그 자체가 아닐까.

박남희 시인은 카르마타 신의 자녀들을 거느리고 있다. 그들 가운데 일년에 한 번 나타날지 확실치도 않은 흰쥐를 경배하기 위해 그의 머리카락까지도 잘라 바치려 기다리고 있는 지도 모른다. 그에게는 시가 있고 시는 쥐로 환생한 신의 자녀들처럼 귀하고 그의 저울 무게중심의 한 측을 잡고 있기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3 파리와 시를 읽다/[外地] 재미시인 작품집 2015 조옥동 2016.01.17 31
222 가족이란/ 재미서울대학신문 5월호-2016가정의 달에 조옥동 2016.11.03 49
221 계절의 강과 골프 황제의 추락/밸리코리언뉴스 2015년 10월호 조옥동 2016.01.17 51
220 틈(시조) /미주문학 2015 여름호 조옥동 2016.01.17 55
219 나의 수평선/[外地] 재미시인 작품집 2015 조옥동 2016.01.17 58
218 샌타애나 바람/ NOISE [시를 사랑하는 사람들 엔솔로지] 2015 조옥동 2016.01.17 97
217 행성에서 만나다/『시를 사랑하는 사람들』2016년1-2월호 조옥동 2016.02.28 110
216 Toscana-토스카나 오월/2016 「문학세계」미주 문학세계 발행 조옥동 2016.11.03 120
215 가을이 준 숙제를 풀며/한국 <에세이21> 겨울호 2014, 조만연.조옥동 2014.11.13 126
214 가난한 부자들 /재미수필가협회발행 <퓨전수필> 2015년 여름호 조옥동 2016.01.17 142
213 잃어버린 옛날이 그리운 /2014<문학세계> 조만연.조옥동 2014.11.28 149
212 어둠 한 입 베어 물고/『시를 사랑하는 사람들』2016년 1-2월호 조옥동 2016.02.28 152
211 매일 어루만지는 섬 /2014 <재미수필>15호 조만연.조옥동 2014.11.13 163
210 영원한 것을/에세이 21 겨울호-2016 [1] 조옥동 2016.11.19 165
209 멈추어 서서 간절히/한국「現代詩學」2013년 11월호 신작특집 조만연.조옥동 2013.11.15 185
208 깨어나기 원하는 골목/한국 <시사사>2013년 7-8월호 조만연.조옥동 2013.07.25 188
207 오래된 마음속 구경/ 한국"시사사(Poetry Lovers)"7-8월호,2014 조만연.조옥동 2014.09.11 209
206 환승역에서/ 한국 「現代詩學」2013년 11월호 조만연.조옥동 2013.11.15 210
205 새벽달 ---- 조옥동 [1] 조만연.조옥동 2015.03.08 213
204 꽃보다 아름다운 사람/유영기 목사님 「목회, 또 하나의 신앙여정」출간에 올리는 축시 조옥동 2016.11.03 216

회원:
0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1
어제:
1
전체:
97,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