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로 여는 세상]




어둠이 나를 삼킨다





조옥동








어둠이 소리 지른다 노을을 벗으며 깊은 뿌리를 내린다 대지를 움켜잡고 진통을 한다


움츠린 그늘이 허리를 펴고 어둠의 꼭지를 틀면 핏물 쏟아지는 소리 가난이 배고픔을 몰아넣고 군불을 때던 아궁이 저 목젖이 뜨거운 초저녁 피고의 자리에 나를 앉히고 침묵의 변론을 펴는 시간 주저앉은 산 메워진 강 하늘을 끌어당긴 마천루도 빛의 한계 그 위에 들어 눕는다 혓바닥이 닿도록 엎드린 절대의 겸손이 한없이 편안하다 칙칙한 장삼을 걸치고 걸어가는 숲의 그림자 쫓는 우리의 뒷모습이 슬픈 계절 생명은 다가오는 저항의 연속인 것을 바람을 안고 몸부림치는 어둠을 먹자 어둠을 몸에 바르자 모든 빛이 하나가 된 깊은 빛 어둠을


대지와 하늘 사이 멀고 먼 밀폐처럼 마음과 마음, 존재와 존재, 낮과 밤사이 수없이 가로 선 벽을 허물어 내는 어둠이 나와 낯 선 나 사이 벽을 허물고 나를 삼킨다 나를 먹는 소리 내 귀에 들린다

-----------

이 시는 어둠 속을 환히 조명한다. 유일하게 자아를 반추하고 맞대면할 수 있는 시간인 어둠의 그늘, 추억과 상념의 무늬들이 슬라이드처럼 넘겨지며 빛을 뿜는다. 시인은 어둠속에서 피고가 되기도 하고 ‘혓바닥이 닿도록 엎드린 절대의 겸손’한 자아의 실루엣의 미세한 과정을 현미경을 보듯 꿰뚫고 있다. 세상 존재들의 경계가 벽을 허물어 버린 경지, 마침내 깊은 어둠과 혼연일체 되어버린 그 경지 아닌가.


조옥동 시인은 충남 부여 출생. 서울 사대 화학과, 미주리주 워싱턴대학교 수학. 1997년<미주한국일보>신춘문예,『시를 사랑하는 사람들』신인상. 시집으로<여름에 온 가을엽서><내 삶의 절정을 만지고 싶다>가 있으며, 부부공동수필집<부부>가 있다. 재외동포문학상, 현대시조 좋은시작품상등을 수상했다. 현재UCLA의과대학 생리학 연구실 재직 중.


                                                           신지혜<시인>



『뉴욕일보』<시로 여는 세상>2010년.1월 18일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 존재의 이유/미주한국일보-"이 아침의 시"-2012년5월31/김동찬 조만연.조옥동 2014.09.11 122
13 황혼-----조옥동/시인 윤석산 교수의 해설 조만연.조옥동 2012.11.01 378
12 인생과 자연 사랑의 인격적 승화/조만연수필집<새똥>을 읽고 ----최선호 (목사님) 평론가 조만연.조옥동 2011.10.04 777
» 어둠이 나를 삼킨다/[시로 여는 세상]/뉴욕일보----신지혜 조만연.조옥동 2010.11.15 703
10 조옥동의 "내 삶의 절정을 만지고 싶다" 를 읽고--유경환 조옥동 2007.08.29 470
9 제2시집 "내 삶의 절정을 만지고 싶다." 를 읽고 최선호 2007.08.21 838
8 임창현의" 시가 있는 벤치" (조옥동의 '약속')-중앙일보에서 조옥동 2007.08.09 590
7 한혜영의 "이 아침의 시"(조옥동의 '어느 귀거래')-한국일보에서 조옥동 2007.08.09 571
6 '시의 한 구절이 툭 영혼의 옆구리를 치고...." 홍승주 2007.07.07 716
5 꿈의ph 7.0 구역 (푸른사상사 발행 2007년 "오늘의 좋은 시" 에 선정)----조옥동 이승하 2007.05.22 704
4 "세월의 갈피 속에 접힌 아픔을 만나기 위하여"(제2시집 해설문) 이승하 2007.05.22 1161
3 조옥동의 <내 뼈 속에는 악기가> 뉴욕중앙일보[시와의 대화] 신지혜 2006.03.26 926
2 나는 당신의 리트머스 시험지를 믿습니다.-한국 <시를 사랑하는 사람들> 3-4월호,2006년- 나태주 2006.03.19 916
1 조옥동 시인의 시세계 <인생과 자연의 파수꾼>--한국' 창조문학 '54호 최선호 2005.04.12 1020

회원:
0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0
어제:
1
전체:
97,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