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천/천상병

2009.01.14 15:03

박영숙 조회 수:418 추천:116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새벽빛 와 닿으면 스러지는

이슬 더불어 손에 손을 잡고,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노을빛 함께 단 둘이서

기슭에서 놀다가 구름 손짓하며는,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

가서, 아름다웠더라고 말하리라

***

영화 '박하사탕'에서, 돌아갈 곳 없는 설경구는 철교 위에서 하늘을 향해 절규한다. "나 다시 돌아갈래." 그러나, 돌아갈 곳이 있는 사람은 '빽'이 있는 사람이다. 그 '빽'이 하늘이라면 그는 천하무적으로 세상을 주유하는 사람이다. 하늘을 믿으니 이 땅에서는 깨끗한 빈손일 것이다. 하늘을 믿는데 들고 달고 품고 다닐 리 없다. 그러니 새벽빛에 스러지는 이슬이나, 저물녘 한때의 노을이나, 흘러가고 흘러가는 구름의 손짓 등속과 한패일밖에.

"막걸리를 좋아하는데/ 아내가 다 사주니 무슨 불평이 있겠는가. / 더구나 하나님을 굳게 믿으니/ 이 우주에서 가장 강력한 분이 나의 빽이시니/ 무슨 불행이 온단 말인가"라며 스스로를 '세계에서 제일 행복한 사나이'(시 '행복')라 일컬었던, 왼쪽 얼굴로는 늘 울고 있던 시인, 천상병!(1930~1993) '귀천'은 1970년 발표 당시에는 '주일(主日)'이라는 부제가 달려 있었다.

그의 시는 생(生)의 바닥을 쳐본 사람들이 갖는 순도 높은 미덕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그의 언어는 힘주지 않고, 장식하지 않고, 다듬지 않는다. '단순성으로 하여 더 성숙한 시'라 했던가. 이 시에서도 그는 인생이니 삶이니 사랑이니 죽음이니 하는 말을 쓰지 않는다. 그러니 우리도 무욕이니 초월이니 달관이니 관조니 하는 말로 설명하지 말자. 이슬이랑 노을이랑 구름이랑 손잡고 가는 잠깐 동안의 소풍이 아름답지 않을 이유가 있겠는가. 그런 소풍을 마치고 돌아가는 길이 가볍지 않을 이유가 있겠는가. 그러니 소풍처럼 살다갈 뿐.

그의 삶은 파란만장했다. 전도유망한 젊은이였으나 '동백림 사건'(1967)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르고 심한 고문을 받았다. 그 후유증은 음주벽과 영양실조로 나타났으며 급기야 행려병자로 쓰러져 정신병원에 수감되었다. 그가 죽었다고 판단한 친지들에 의해 유고시집 '새'(1968)가 발간되었는데, 그 후로도 천진난만하게 25년을 더 살다 갔다. "외롭게 살다 외롭게 죽을/ 내 영혼의 빈 터에/ 새날이 와, 새가 울고 꽃잎 필 때는, / 내가 죽는 날/ 그 다음날"이라고 노래했던 그는 분명 새가 되었을 것이다. 가난하고 외롭게 살다 갔으니, 자유롭고 가벼운 새의 영혼으로 다시 태어났을 것이다. "살아서/ 좋은 일도 있었다고/ 나쁜 일도 있었다고/ 그렇게 우는 한 마리 새"('새')! [정끝별 시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유튜브 박영숙영 영상'시 모음' 박영숙영 2020.01.10 85
공지 님들께 감사합니다 박영숙영 2014.02.14 190
공지 저작권 문제있음 알려주시면 곧 삭제하겠습니다. 박영숙영 2013.02.22 248
133 ♡*미주문학동네 입주 환영*♡ 잔물결(박봉진) 2008.10.05 345
132 문학서재 입주를 축하! 환영! 종파 이기윤 2008.11.30 356
131 성탄절 이주희 2008.12.20 339
130 아름다운 성탄절입니다. 장태숙 2008.12.24 295
129 '풀'/ 김수영 박영숙 2009.01.14 343
128 남해금산 /이성복 박영숙 2009.01.14 332
127 즐거운 편지/황동규/출처 다움고요이야기 박영숙 2009.01.14 321
126 김춘수 '꽃' /출처 다움고요 박영숙 2009.01.14 359
125 동천 /서정주/출처 다움 고요 박영숙 2009.01.14 335
124 사평역(沙平驛)에서 / 곽재구 박영숙 2009.01.14 332
123 묵화(墨畵)/김 종 삼/출처 다움고요 박영숙 2009.01.14 351
122 한 잎의 여자 /오규원 박영숙 2009.01.14 349
121 사슴/노 천 명 박영숙 2009.01.14 354
120 대설주의보/최승호 박영숙 2009.01.14 517
119 저녁눈 /박 용 래 박영숙 2009.01.14 336
118 빈집/기형도 박영숙 2009.01.14 410
117 한계령을 위한 연가/ 문정희 박영숙 2009.01.14 334
116 목마와 숙녀/박인환 박영숙 2009.01.14 356
115 우리가 물이 되어/강은교 박영숙 2009.01.14 569
114 별들은 따뜻하다 / 정호승 박영숙 2009.01.14 406
113 님의친묵/한용운 박영숙 2009.01.14 717
112 겨울바다/김남조 박영숙 2009.01.14 652
» 귀천/천상병 박영숙 2009.01.14 418
110 푸른곰팡이 산책시 /이문재 박영숙 2009.01.14 514
109 산문(山門)에 기대어/송수권 박영숙 2009.01.14 612
108 잘익은사과/김혜순 박영숙 2009.01.14 532
107 산정묘지/조정권 박영숙 2009.01.14 473
106 광야/이육사 박영숙 2009.01.14 436
105 어느 95세 어른의 수기 / 펌글 박영숙 2009.03.11 368
104 스크랩] 어느 봄날의 기억 박영숙 2009.04.23 451
103 가을비/- 도종환 - 박영숙 2009.07.10 516
102 가난한 사랑 노래-신경림- 박영숙 2009.07.10 764
101 나의 침실로 - 이상화 - 박영숙 2009.07.10 588
100 들길에 서서 - 신석정 박영숙 2009.07.10 857
99 청 산 도(靑山道)- 박두진 - 박영숙 2009.07.10 456
98 초 혼 (招魂)- 김소월 - 박영숙 2009.07.10 753
97 봄은 간다- 김 억 - 박영숙 2009.07.10 597
96 그 날이 오면 - 심 훈 - 박영숙 2009.07.10 546
95 새벽 /설램과 희망을 줍는 기다림 박영숙 2009.08.13 608
94 시와 언어와 민중 의식 (한국문학(韓國文學) 소사 에서) 박영숙 2009.08.20 483
93 [ 스크랩]가끔은 애인같은 친구 박영숙 2009.08.27 356
92 [스크랩]삶속에 빈 공간을 만들어 놓아라 박영숙 2009.09.28 481
91 [스크랩}살아 있는 것은 흔들리면서 박영숙 2009.09.28 346
90 울긋불긋 단풍을 꿈꾸다 박영규 2009.10.25 695
89 가을에게 박영숙 2009.11.03 395
88 나뭇잎 하나가/ 안도현 박영숙 2009.11.03 437
87 낙 엽 송/황 동 규 박영숙 2009.11.03 527
86 [스크랩] 우정/이은심 박영숙 2009.11.13 397
85 [스크랩]인생의 그리운 벗 박영숙 2009.11.13 427
84 [스크랩] 안부 박영숙 2009.11.13 445
83 박노해/ "나 거기 서 있다" 박영숙 2009.11.13 609
82 도 종 환/시 창작 초기에 나타나는 고쳐야할 표현들 박영숙 2009.11.13 413
81 길 잃은 날의 지혜/박노혜 박영숙 2009.11.18 773
80 [스크립]이기는 사람과 지는 사람 박영숙 2009.12.09 437
79 [스크랩/인생은 자전거타기 박영숙 2009.12.09 444
78 직지사역/ 박해수 박영숙 2009.12.16 576
77 어머니의 손맛 박영숙 2009.12.23 532
76 동지 팥죽의 유래 박영숙 2009.12.23 779
75 {스크랩}봄비 같은 겨울비 박영숙 2010.02.17 432
74 석류의 말/ 이해인 박영숙 2010.02.25 439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13
어제:
133
전체:
888,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