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오현, 문정희, 임보, 정일근, 김남조

2006.05.16 04:39

김동찬 조회 수:83 추천:8

*** 106

운명하실 때 나무껍질 같은 손으로 날 부둥켜안고 "시님들 말슴 잘 듣거라이. 배고프면 송기 벗겨 머그면 배부르다이."하고 갔니더. 시체를 가마니 뙈기에 돌돌 말아 다비장의 장작더미 속에 넣고 성냥을 드윽 그어 불을 지핀 주지시님이 "업아, 네 집에 불났다! 업아, 네 집에 불났다! 업아, 네 집에 불났다! 어서 나오너라."하고 고래고래 소리쳤을 때 불덩어리가 된 장작더미가 몇 번이나 꿈틀거렸니더. 암 꿈틀거리고 말고, 울아부지 울할아버지 닮아 힘이 천하장사였거든요. 밥 열 그릇으로도 배가 차지 않앗지만 행여 시님들이 밥 많이 먹는다고 쫓아낼까 싶어 언제나 물로 배를 채웠니더.

    조오현 (1932 -  ) 「절간 이야기 1」 부분

스님들은 좋겠다. 늘 화두를 붙잡고 씨름하면서 얻어지는 것들을 이야기하듯이 술술 적어놓으면 시가 될 테니까. 이런 생각이 들 정도로 조오현 시인의 시에는 원숙한 불자의 세계관이 자연스레 녹아있다. 물론 자기 성찰과 부정, 그리고 득도를 위한 각고의 수행 기간이 그런 경지로 이끌었으리라는 추측을 해보는 건 어렵지 않다. 위의 「절간 이야기」연작시의 일부만 보아도 금방 느껴지듯이 그의 시들은 풍부한 이야기와 깊은 사색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 107

다가서지 마라 
눈과 코는 벌써 돌아가고 
마지막 흔적만 남은 석불 한 분 
지금 막 완성을 꾀하고 있다 
부처를 버리고 
다시 돌이 되고 있다 
어느 인연의 시간이 
눈과 코를 새긴 후 
여기는 천년 인각사 뜨락 
부처의 감옥은 깊고 성스러웠다 
다시 한 송이 돌로 돌아가는 
자연 앞에 
시간은 아무 데도 없다 
부질없이 두 손 모으지 마라 
완성이라는 말도 
다만 저 멀리 비켜서거라 

      문정희 (1947 -   ) 「돌아가는 길」 전문

앞으로만 가느라 돌아가는 길엔 신경을 못 썼다. 이제는 돌아가야 할 때다. 누구나 자연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을 돌부처는 자신의 몸으로 보여주고 있다. 언젠가 한 덩이 돌이었을 때 돌은 부처를 꿈꾸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 다시 돌로 돌아가려 한다. 완성이란 말을 저 멀리 밀쳐두었을 때 비로소 한송이 돌로 다시 완성되고 있다.

*** 108

나로 하여금 이 망망한 세상의 짐을 지게 하고
내 생애의 일거수일투족에 평생 매달려 감시타가
이승을 떠나서도 내 멱살을 잡고 놓아주지 않는
나를 망친 한 여자, 아, 그립고 그리운 어머니여
    
* 작취미성의 몇 시인들이 이른 아침 우이동 골짝의 한 해장국집에서 
해장을 한다. 따끈한 술국으로 장을 달랜 다음 다시 소줏잔을 기울이면서 
누군가 중얼거린다.‘한 잔 술이 하루를 망치고, 한 여인이 일생을 망친
다’고…. 그 여인이 누구일까 각자 생각다가 눈시울을 붉히면서 떠나간 
어머니들에 목이 매인다.
 
    임보 (1940 -   ) 「나를 망친 여자」 전문

작가 스스로 붙힌 해설(*표 이하 부분)이 재미있어 그대로 옮겨 보았다. 어머니들은 왜 그렇게 자식들의 일생을 놓아주지 않고 망치게 만들어 이른 아침부터 눈시울을 붉히게 할까. 나이든 시인들께서도 어리광 섞인 술주정을 부리고 싶을 때는 한 여자, 어머니가 생각나나 보다.

*** 109

꽃은 허공 가지에서 지고
슬픔은 땅속 뿌리로 맺혔느니
여름날 자주색 감자를 캐면서
뿌리에 맺힌 자주색 슬픔을 본다
로에게 답장을 쓸 것인가에 대해
여름 내내 생각했다, 그 사이
자주색 감자꽃은 피었다 지고
자주색 감자는 굵어졌다
감자를 캐느라 종일 웅크린
늑간이 아프다, 웅크린 채 누군가를
기다렸던 나도 한 알의 아픈 감자였다
사람의 사랑도 자주색 감자 같아
누가 나의 뿌리를 쑥 뽑아 올리면
크고 작은 슬픔 자주색 감자알로
송알송알 맺혀 있을 것 같으니 

       정일근 (1958 -   ) 「자주색 감자를 캐면서」 전문

이 시를 읽다보니 늑간이 아프다. 하지만 이제는 그 아픔마저 내 몸의 일부인 양 여길 수 있을 것 같다. 기다림이 클수록, 웅크리고 앉아있는 시간이 길수록 감자는 알이 굵어지고 송알송알 맺힐 것이다. 사람들은 그 슬픔의 열매를 제 살 잘라먹듯 캐먹으며 살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 110

어쩌면 미소짓는 물여울처럼 
부는 바람일까 
보리가 익어가는 보리밭 언저리에 
고마운 햇빛은 기름인양 하고 

깊은 화평의 숨 쉬면서 
저만치 트인 청청한 하늘이 
성그런 물줄기 되어 
마음에 빗발쳐 온다 

보리가 익어가는 보리밭 또 보리밭은 
미움이 서로 없는 사랑의 고을이라 
바람도 미소하며 부는 것일까 

잔 물결 큰 물결의 
출렁이는 바닷가도 싶고 
은 물결 금 물결의 
강물인가도 싶어 

보리가 익어가는 푸른 밭 밭머리에서 
유월과 바람과 풋보리의 시를 쓰자 
맑고 푸르른 노래를 적자 

     김남조 (1927 -   ) 「6월의 시」 전문

내 고향은 농촌 마을이어서 보리가 익으면 초등학생들도 일손이 딸린 농가에 보리베기 봉사를 나가곤 했다. 그러면 꼭 한, 두 명쯤 뙤약볕 아래 창백해지는 아이들이 있었다. 선생님들은 그런 아이들을 부축해서 일찍 귀가시키는 일을 의사 아들이라고 나에게 맡기곤 하셨다. 환자 친구를 데리고 가는 길에 길섶에 앉아 쉬고 있노라면 먼 산에서 뻐꾸기 울음소리가 들렸다. 보리가 익어가는 보리밭, 또 보리밭, 어린 나이에도 서럽게 들리던 그 뻐꾸기 소리가 생생하게 떠오르는 6월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579 Feminism in Sylvia Plath’s "Daddy" 이월란 2014.05.28 17625
10578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이월란 2014.05.28 8236
10577 벌초 김희주 2015.01.25 7081
10576 세도나 백선영 2004.09.12 7030
10575 쁨바 쁨바 그 사이에 김영교 2005.01.31 6991
10574 미주 힌인 소설연구 6 박영호 2006.06.19 1647
10573 새롭지만은 않은 일곱 '신인'의 목소리 이승하 2005.12.19 1628
10572 Cajun or Creole? 이월란 2014.05.28 1411
10571 내가 죽는 꿈 오연희 2006.02.23 1120
10570 정현종의 시-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 조만연.조옥동 2005.01.12 1052
10569 채송화 차신재 2014.10.01 1021
10568 돈 언니 김영강 2006.02.23 980
10567 - 내 사랑 진희 - 이 상옥 2006.05.15 883
10566 미주 한인소설 연구 (5) 박영호 2006.02.27 865
10565 이런 날은 정국희 2015.01.12 777
10564 재외 동포 문학의 가치에 대한 새로운 인식 박영호 2004.08.23 761
10563 타인의 축제 김영문 2007.09.30 743
10562 김영교 2005.12.23 722
10561 파리 정해정 2006.02.10 692
10560 알래스카 여행 이야기 정찬열 2005.11.23 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