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3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우영 작가의 한국어 이야기 - 9

어린나무 말부터 흔들려

215E3836553FFF4C0FA437

이메일 siin7004@hanmail.net 2015.04.29(수)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2015.04.29 21면 | 지면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네이버 구글 msn
icon_p.gif

옛 말에 ‘될 성 싶은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본다’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는 속담이 있다. 어린나무는 애당초 싹이 좋아야 잘 자라고, 어린아이 때 버릇은 어른되기까지 간다는 얘기이다. 예전에 어른들이 자녀의 혼사시에는 꼭 상대의 가정환경부터 살폈다. 어릴 때 부터 자란 환경이 그 사람의 인성을 좌우하기에 그렇다.

한 참 커 나가는 아이들의 언행은 매우 중요하다. 말과 행동이 거칠고 다듬어지지 않은 아아들은 매사가 씨끄럽고 문제를 안고 다닌다. 그러나 어려서부터 바른 언어의 가정교육을 잘 받은 아이들은 고루하며 차분하게 행동한다.

지난달 공원을 조용히 거니는데 어린 청소년들이 깔깔대며 거침없이 대화를 한다. 이들의 언어는 ‘매우’, ‘아주’ ‘굉장히’의 뜻으로 ‘졸라’ 라는 말을 자연스럽게 하고 있다. ‘졸라’는 ‘남성의 성기(性器)’를 비유 한다. ‘o나게(o ← 나다)’가 결합하여 변화된 것으로 듣기 거북한 말. ‘시벌, 시펄, 스벌, 개에쉑’과 같은 비어와 속어를 예사로 하고 있었다. 저들이 우리나라를 이끌어 갈 꿈나무들이 아닌가?

어려서부터 좋은 부모님과 바른 언어환경에서 자라면서 바른 언행을 배운 아이들은 커서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위에서 말했듯이 이런 아이는 아무리 화나도 비어나 속어를 사용하지 않고 논리비약의 언성만 높을 뿐이다.

자라나는 어린나무의 말 부터 흔들리면 커서도 흔들린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우리는 오늘도 ‘바른 우리말 나들이’에 나서는 것이다. 세계적인 유우머 소유자 ‘버나드 쇼’의 말이다.

“인간이 호랑이를 죽일 때는 그것을 스포츠라고 하지만, 호랑이가 인간을 죽일 때는 사람들은 그것을 재난이라고 한다. ”

어려서 무분별하게 대하는 말이 처음엔 별것 아닌 것 같지만, 그것은 거친 언어와 행동으로 잡초처럼 자라 훗날 재난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어린새싹을 잘 키워야 미래가 밝다. 어려서의 말과 글을 매우 중요하다.

진채 가수의 아름다운 우리말


  1. 김우영 작가의 한국어 이야기-29

  2. 김우영 작가의 한국어 이야기-25

  3. 김우영 작가의 한국어 이야기-24

  4. 김우영 작가의 한국어 이야기 ] 글 고치기와 띄어쓰기

  5. 김우영 작가의 한국어 이야기 -18

  6. 김우영 작가의 한국어 이야기 - 9

  7. 김우영 작가의 한국어 이야기 - 15

  8. No Image 01Jun
    by 김우영
    2012/06/01 by 김우영
    Views 405 

    김우영 작가의 우리말 나들이 구조조정해야 할 ‘~적’과 ‘~ 내지

  9. 김우영 작가의 에세이/ 이 눔들이 대통령을 몰라보고

  10. No Image 14Jul
    by 김우영
    2012/07/14 by 김우영
    Views 74 

    김우영 작가의 수필/ 비 오는 날 추억의 팡세

  11. No Image 25Jun
    by 김우영
    2012/06/25 by 김우영
    Views 1219 

    김우영 작가의 산림교육원 연수기

  12. No Image 11Feb
    by 김우영
    2012/02/11 by 김우영
    Views 570 

    김우영 작가의 명품시리즈 '언니의 명품'

  13. No Image 03Oct
    by 김우영
    2013/10/03 by 김우영
    Views 713 

    김우영 작가의 거대한 자유 물결 현장, 미국, 캐나다 여행기

  14. 김우영 작가의 (문화산책]물길 막는 낙엽은 되지 말아야

  15. No Image 15Nov
    by 김우영
    2011/11/15 by 김우영
    Views 792 

    김우영 작가가 만난 사람들

  16. No Image 27Nov
    by 김우영
    2011/11/27 by 김우영
    Views 638 

    김우영 작가 만나 사람들 출판회 성료l

  17. No Image 24Oct
    by 김우영
    2011/10/24 by 김우영
    Views 836 

    김우영 작가 독서노트

  18. 김우영 김애경 부부작가 콘서트

  19. No Image 24Jul
    by 관리자
    2004/07/24 by 관리자
    Views 859 

    김신웅 시인의 시세계(문예운동) / 박영호

  20. No Image 24Jul
    by 관리자
    2004/07/24 by 관리자
    Views 404 

    김선일, 그대는 죽지 않았다 -오정방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