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
2015.05.15 23:14

찍소 아줌마

조회 수 6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찍소 아줌마

NaCl


"Have a good day~!" (좋은 하루 되세요) 이 말은 결코 가게 주인의 인사말이 아니었다. 우리 가게, **옷수선과 거래하는 **세탁소 주인 아줌마는 입이 무겁기로 소문난 분이다. 오늘도 옷을 찾으러 갔다가 어떤 손님이 그 아줌마에게 정다운 인사를 건냈는데 그 아줌마는 꿀 먹은 벙어리 마냥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

반면 주인 아저씨는 애교도 있고 수다가 좀 있으신 분이다. 여수랑은 살아도 찍소랑은 못 산다는 말이 있는데 그렇게 말 많은 아저씨가 찍소인 그 아줌마와 어떻게 살까 궁금했다. 상대방이 뭐라고 말하면 도통 반응이 없으셔서 아마도 아저씨가 답답증에 걸릴 거라 생각했다.

어느날 컴맹인 아저씨가 인터넷이 안 된다며 나를 집으로 호출을 했다. 그날 저녁 나는 그 아줌마의 다른 얼굴을 보았다. 가게에서는 손님에게 말 한마디 안 하던 아줌마가 집에선 아저씨에게 말풍선을 마구 터뜨렸기 때문이다. 아저씨는 제대로 대꾸도 못하고 일방적으로 당하고 있었다.

그렇게 말을 안하고 답답해서 어찌 살까 했는데 낮 동안 입에 지퍼로 채워 스트래스, 짜증 같은 것들을 차곡차곡 쌓아 놓았다가 집에 돌아와서 남편에게 다 쏟아 부으시는 것이다. 아줌마는 말 보다 행동으로 보여 주시는 분이다. 그 스타일이 통했을까? 그 곳 단골들은 아줌마가 반응이 없어도 그러려니하고 깨끗하게 잘 세탁이 된 결과물을 통해 아줌마를 신뢰하는 것 같다.

표정도 없고 대꾸도 안 하지만 항상 변함없고 성실한 삶의 내용을 알아 챈 손님들은 아줌마의 침묵 속에서 다정한 인사 못지 않은 묵직한 인사를 느끼는 것은 아닐까. 서구사회의 영향으로 마음은 꼭 표현해야 안다고들 말하지만 굳이 표현하지 않아도 느낄 수 있는 촉이 있음을 안다. 육감이라고도 하고 촉이라고도 하는 그런 감각이 필요한 시대가 도래할지 모른다.  

-->

  1. 사목(死木)에는

    Date2009.06.19 By성백군 Views611
    Read More
  2. 동그라미

    Date2009.07.07 By성백군 Views611
    Read More
  3. 나는 너를 너무 힘들게 한다 -홍해리

    Date2004.07.24 By관리자 Views612
    Read More
  4. 찍소 아줌마

    Date2015.05.15 Category수필 By박성춘 Views612
    Read More
  5. 박영숙영 " 어제의 사랑은 죽지를 않고 ㅡ작품해설(2)

    Date2011.07.04 By박영숙영 Views617
    Read More
  6. 참 좋은 인연을 위하여

    Date2015.12.20 Category수필 Byson,yongsang Views620
    Read More
  7. 중년의 가슴에 2월이 오면-이채

    Date2016.02.01 Category By오연희 Views623
    Read More
  8. 조국땅을 그리며

    Date2009.08.02 By박성춘 Views630
    Read More
  9. 언어의 그림 그릭기와 시의 생동성에 대하여 (2)

    Date2008.11.12 By박영호 Views633
    Read More
  10. 세계의 명 연설을 찾아서

    Date2004.08.30 By이승하 Views636
    Read More
  11. 버릴 수 없는 것이 눈물 겹다.

    Date2005.08.03 By강숙려 Views636
    Read More
  12. 피아노 치는 여자*에게

    Date2005.06.22 By서 량 Views637
    Read More
  13. 김우영 작가 만나 사람들 출판회 성료l

    Date2011.11.27 By김우영 Views638
    Read More
  14. 품위 유지비

    Date2005.12.05 By김사빈 Views640
    Read More
  15. 두 세상의 차이

    Date2009.07.05 By박성춘 Views640
    Read More
  16. 자연과 인간의 원형적 모습에 대한 향수

    Date2008.03.03 By박영호 Views647
    Read More
  17. 시인 구상 선생님 2주기를 맞아

    Date2006.05.14 By이승하 Views649
    Read More
  18. 빛이 되고픈 소망에

    Date2009.08.03 By강민경 Views653
    Read More
  19. 어디에도 붉은 꽃을 심지 마라

    Date2008.05.21 By신 영 Views656
    Read More
  20. 학우와의 대화 - 한국교육학과 김우영 작가(50대 萬年學徒)

    Date2014.03.27 Category기타 By김우영 Views65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