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먹으니 편하구나

2004.08.18 02:13

윤추 조회 수:299 추천:12



윤추(尹推)
1632(인조10)~1707(숙종33)


* 내가 성격이 거칠고 말이 많아서
늘 이것을 고치려 했으나 못 고치고 있었는데
귀가 먹은 뒤로는
저절로 말없는 사람이 되었다.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다.
이에 시 두 수를 지어 자신을 조롱한다.


言寡方知自耳聾 내가 말이 왜 줄었지?
耳聾誠有寡言功 아하, 귀 먹어서 그렇구나.
人雖語大吾安聽 사람들의 큰 목소리 내 귀엔 작은 소리
我亦聲微彼不通 내 목소리 역시 작아 남들도 멀뚱멀뚱.
默默謙謙終日坐 입 닫고 말없이 온종일 앉아 있으니
廖廖寂寂一堂空 고요하고 한적하여 빈집인 듯 느껴지네.
平生駁雜多尤悔 성격이 박잡하여 평생 후회 많았는데
天奪其聰幸此翁 하늘이 이제서야 늙은이 귀를 막았구나.


人皆勸我使治聾 사람들이 너도나도 귀 치료를 권하지만
吾曰吾聾亦有功 귀머거리로 지내는 게 나에겐 더 좋은 거요.
衆口훤효聞亦厭 시끌시끌 많은 말들 안 들리니 너무 좋아
同心聲氣默猶通 마음 같은 사람끼린 말 없이도 통한다오.
旣難聽語還無語 들리지 않은 뒤로 나도 말이 줄었으니
非是逃空却喜空 말많던 늙은이가 적막함이 좋아졌네.
此理方知知者少 이런 이치 아는자 세상에 몇 안 될거야
競相提耳笑愚翁 사람들은 소곤소곤 이 늙은이 흉을 보네.

윤추는 자는 자서(子恕)이고,
호는 농은(農隱), 농와(農窩),
농와(聾窩), 청송재(靑松齋)이며,
본관은 파평(坡平)입니다.
윤선거(尹宣擧)의 아들이고 윤증(尹拯)의 아우입니다.

윤추는 74살 때(1705년, 숙종31)에 귀가 먹어
남들의 말이 잘 들리지 않게 되었습니다.
이 시는 1705년에 지은 것으로
그의 문집 <농은유고(農隱遺稿)> 실려 있습니다.


회원:
1
새 글:
0
등록일:
2015.06.19

오늘:
3
어제:
1
전체:
104,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