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우리는 우리글로 수필을 쓴다

_이승훈, 정확성과 속도에서 교정 달인을 꿈꾸다!

  

*. 보조용언을 붙여 쓸 수 있은 예외적 규정

(제가 잘못 알고 있을 수 있습니다. 정확하게 아는 분은 의견을 댓글로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예문) 그것이 아닌가 하다.

연결어미 ‘-아/-어/-여’ 뒤에 나오는 보조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지만, 붙여 씀도 허용한다.

그러나 ‘-아/-어/-여’ 이외의 어미 뒤에 보조용언이 나오거나 본용언이 올 때는 띄어 써야 한다.

  

: 여기서 말하는 ‘-아/-어/-여’ 는 단순히 모음 ‘–ㅏ, -ㅓ, -ㅕ’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아/-어/-여’ 라는 ‘어미 자체’를 말하는 것이다.

  

이는 그렇다면 아주 명쾌한 일이다.

막아버리다/이끌어가다/먹여주다/흘려버리다, 돌려보내다(이 두 낱말은 사전에 등재됨)/다해버리다, 거절해버리다(여기의 ‘해’는 ‘하여’ 준말).

  

-여기서처럼 본용언의 ‘-아/-어/-여’ 라는 ‘어미 자체’일 때만 보조용언을 붙여 쓸 수 있고, 아래처럼 모음 ‘–ㅏ, -ㅓ, -ㅕ 다음의 보조용언은 원칙대로 띄어 쓴다.

  

.입혀 주다.

.넘겨 버리다.

.약속 시간에 조금 늦게 갔더니 친구들은 모두 가 버리고 없었다.

.던져 버리다 .

.고개를 돌려 버리다

.그는 회의 중에 나가 버렸다.

.김 부장은 서류들을 모두 태워 버렸다.

.날려 버리다/돌려 보다/날려 주다/올려 보다

.빌려 오다/지나쳐 보다/견뎌 보다/다녀 보다/굴려 보다/입혀 보다/입혀 주다

  

* 명심할 것 하나 더

: ‘-아/-어/-여’ 어미 뒤에 보조용언이 아닌 본용언이 올 때는 띄어 써야 한다는 것.

  

*다음과 같은 것은 무조건 띄어 써야 한다.

1)(잘/보려면/)서서/봐! _<본용언+본용언>은 띄어 쓴다.

2))(그걸/)먹어도/봤니? _본용언에 조사가 붙으면 띄어 쓴다.

3)(그걸/)밀어내/봐! _본용언이 복합동사면 띄어 쓴다.

  

* 조마조마해지다/조마조마해하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8 수필 - 서른 세 개의 추모석과 서른 두 개의 하얀 풍선(수정) 지희선 2008.01.07 663
827 소낙비 1 지희선 2008.01.15 594
826 소낙비 2 지희선 2008.01.15 534
825 은행잎 지희선 2008.01.15 592
824 IMF 이후 지희선 2008.01.15 536
823 안으로 흐르는 강 지희선 2008.01.15 611
822 바둑두기 지희선 2008.01.15 663
821 바닷속으로 떠난 여인 지희선 2008.01.15 688
820 고독 지희선 2008.01.16 690
819 수필 - 구리 풍경(수정) 지희선 2008.01.23 1069
818 수필로 쓴 당선 소감* 지희선 2008.01.25 610
817 대지의 조각가 지희선 2008.01.27 605
816 짧은 봄날의 엽서 지희선 2008.01.29 905
815 안나를 위한 조시 지희선 2008.02.02 632
814 해바라기 지희선 2008.02.02 627
813 염소의 모정 지희선 2008.02.17 864
812 '영원' 속에 사는 분 지희선 2008.02.24 616
811 바다가 있는 풍경 지희선 2008.02.24 1086
810 유월의 플라타너스 지희선 2008.04.09 1100
809 인연설과 나의 본명 지희선 2008.06.14 857

회원:
4
새 글:
0
등록일:
2015.06.19

오늘:
0
어제:
4
전체:
1,317,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