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 고지게 다나가고 - 띄어쓰기

2011.11.13 16:38

지희선 조회 수:745 추천:92









  

65. 우리는 우리글로 수필을 쓴다

_이승훈, 정확성과 속도에서 교정 달인을 꿈꾸다!

  

보조용언에서 ‘고지게 다가고’만 정리한다. 중요하니까.

  

1. 본용언의 어간에 연걸 어미 ‘-고’, ‘-지’, ‘-게’가 오는 경우 이때는 보조 용언을 본용언과 띄어 적어야 한다.

예)가지고싶다.(X) 가지고 싶다.(O)

예)하지마라.(X) 하지 마라.(O)

예)그녀를 사랑하게되었다.(X) 그녀를 사랑하게 되었다.(O)

  

2. 보조동사 '보다'가 앞 단어와 연결 어미로 이어지는 '-다 보다', '-가 보다', '-고 보다' 의 구성으로 쓰이면 앞말과 띄어 쓴다.

예)오래 살다 보니 이런 좋은 일도 있네.

  

예)일을 하다가 보면 요령이 생겨서 작업 속도가 빨라진다.

예)살다 보면 별의별 일을 다 겪는다.예문보기

예)포도주를 번갈아 마시다 보니 얼근하게 취했다.

예)창업 계획을 짜다 보니 아무래도 자금이 부족하다.

예)윤태는 입맛을 다시다가 보니 몹시 조갈이 났다.출처 : 유주현, 하오의 연가

예)자기 자리에 훈이를 눕히다가 보니 머리맡에 네모난 것이 있었다.

  

cf: ‘~나 보다’: 동사 어간이나 어미 ‘-으시-’, ‘-었-’, ‘-겠-’ 뒤에는 ‘-나’가 붙는다.

  

그래서 ‘고지게 다나가고’

  

  

덤)

  

1)꽁지처럼 묶은 머리를 뜻하는 ‘꽁지 머리’는 띄어 쓴다.

‘도래나 물레 따위의 손잡이같이 한쪽 끝이 북채처럼 생긴 조그마한 나뭇조각’을 뜻하는 ‘꽁지머리’는 한 낱말. 그래서 붙여 쓴다.

  

2)끝 간 데 없다: 관용구이다.



  

*우리말 바로쓰기 책 '반딧불 반딧불이'(장석영 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8 (포토 포엠) 보름달과 가로등- 사진/김동원 지희선 2011.12.15 534
127 죽은 아이들의 방 지희선 2011.12.01 432
126 (포토 에세이) 외줄기 담쟁이 - 사진/김동원 글/지희선 지희선 2011.11.23 481
125 67.우리말 바로 쓰기 - ‘해야 겠다.’인가 ‘해야겠다.’인가. 지희선 2011.11.16 472
124 합평에 대하여 - 소설가 '임영태' 지희선 2011.11.13 484
123 합평에 대하여 - 소설가 '임영태' 지희선 2011.11.13 436
122 62. 우리 글 바로 쓰기 - 작품집 또는 작품 표시 부호/이승훈 지희선 2011.11.13 381
121 글쓰기 공부 - 묘사 지희선 2011.11.13 722
120 60. 우리글 바로 쓰기 - 실무에서 익히다 지희선 2011.11.13 677
119 책 소개 - 임병식의 수필집 <<그리움>> 지희선 2011.11.13 610
118 64.우리 글 바로 쓰기- 잘난 체하다 한방 먹다! 지희선 2011.11.13 895
117 61.노루모액 아세요? 지희선 2011.11.13 712
116 63.종결, 보조용언 띄어쓰기-그렇다면 답은 명쾌하다 지희선 2011.11.13 1046
» 65. 고지게 다나가고 - 띄어쓰기 지희선 2011.11.13 745
114 66. 반드시 정복해야 할 낱말, ‘있다’ 지희선 2011.11.13 436
113 (명시 감상) 거지 - 투르게네프/ 지희선 2011.11.08 594
112 (명시 감상) 투르게네프의 언덕 - 윤동주 지희선 2011.11.08 876
111 이승에서의 마지막 성호 지희선 2011.09.29 588
110 어미의 사계 지희선 2011.09.25 409
109 (신앙 에세이) 그 분 목소리 지희선 2011.09.07 278

회원:
4
새 글:
0
등록일:
2015.06.19

오늘:
3
어제:
1
전체:
1,317,6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