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하에서 정림으로

2020.11.14 23:05

전용창 조회 수:6

'전하'에서 '정림'으로

꽃밭정이수필문학회

신아문예대학 수필창작 목요야간반 전 용 창

 

 

 부모님 산소에 시비를 세우려고 시창작교실에 나갔다시인들이 하는 것처럼 자작시를 발표하며 이름 앞에 호를 붙였다. 지도교수님은 내 아호를 보시고 깜짝 놀라셨다. 호가 ‘전하 殿下’이기 때문이다. 어떻게 ‘전하’라는 호를 지었냐고 물으시며 점잖게 말씀하셨다. “모든 문학가가 그러하듯이 시인도 겸손해야 하는데 ‘전하’는 자신을 높이는 ‘호’ 이기에 다시 지어야 한다.”고 하셨다. 그날 밤 나는 호를 짓는 방법을 공부하여 다시 호를 지었다. 그리고는 ‘전하’라는 호를 짓게 된 연유와 다시 지은 ‘호’의 의미를 시로 발표했다.

 

「전하 殿下에서 정림 停林으로」

 

 전하 殿下

 처음에는 호가 없었다 / 10여 년 전 독서동아리 / 모두 호를 부르네 /

 나에게 호를 물었지 / 없다하니 지으라고 해서 / 즉석에서 지었네 /

 

 양반집 마당 / 빗자루질 잘하는 / 마당쇠 좋게 보여 /

 ‘전하’ 殿下라고 지었는데 / 마당쇠가 아니고 / 임금님 되었네 /

 

 십 년 동안 전하로 대접받고 / 전하라 부르는 사람 / 아랫사람 다루듯  / 임금님 불렀으니 / 모두에게 / 기쁨을 주었네

 

 정림 停林

 부모님 산소 시비 세우려 / 시 창작교실 나갔더니 / 지도교수님 말씀 /

 시인은 겸손해야 한다며 / 다시 지으라 하시네 /

 

 오랜 세월 가슴속 / ‘다진 땅에 물이 괸다’ / 아버지 유훈

 머무를 정 그리고 / 호수 있는 숲속 살고파 / 정림 停林이라 지었네

 

 호를 짓고 보니 / 아버지 소지이호* 되었네

 하룻밤 작명가 / 하룻밤 시인 / 겸양지덕 갖추면 / 진짜 시인 되겠네

 

 임금님이란 호칭은 백성에게는 하늘이요, 무소불위의 상징으로 연상된다. 백성을 억울하게 죽일 수도 있고, 죽을 수밖에 없는 사람을 살릴 수도 있다. 지금은 다르다. 임금님이 구중심처에 사는 것도 아니고 하루하루 행적이 모두 다 노출되고 있다. 백성의 목소리가 10만 명이 넘으면 답변을 해주어야 한다. 그러니 임금님이 마당쇠가 되었다. 미꾸라지 한 마리가 온 방죽을 휘젓고 다녀도 그냥 바라볼 수밖에 없는 세상이 되었다. 공자도 노년에 깨달음을 얻어 ‘인과 예로 나라를 다스리라’고 하였다. 진정 마당쇠처럼 열심히 일하는 임금님이 ‘전하’였으면 좋겠다.

 

 한편, 머무를 정()은 내가 좋아하는 글자다. 장인어른께서는 큰딸 이름을 ‘희정(僖停)’이라 지으셨는데 장차 딸네 집에 가서 기쁘게 머무를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지었다고 하셨다. 내가 지은 큰아들 이름도 정()자가 들어있다. 항렬인 가()자를 조합하여 정기(停基)라고 지었다. 모두가 아버지의 ‘다진 땅에 물이 괸다.’라는 유훈이 들어있다. 그래서 나의 호에도 머무를 정()을 넣었고, 노년에 호수가 있는 숲속에 살고파 수풀 림()을 넣어서 정림(停林)으로 지었다. ‘추사 김정희’는 아호가 100개도 넘는다고 한다. 정녕 이름값에 걸맞은 인품이 갖추어져야 존경받지 않을까? 그러니 나의 인품도 향상된다면 ‘호’를 선물로도 받고, 여러 ‘호’ 로 불려지기도 하겠지.

                                                                   (2020. 11. 13.)

 

 

 

 

* 소지이호(所志以號) : 이루어진 뜻이나 이루고자 하는 뜻으로 호를 삼는 것

 

댓글 0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7 고향집 감나무 구연식 2020.11.11 9
206 나그네 인생 전용창 2020.11.12 3
205 늦가을의 서정 김재희 2020.11.12 22
204 건강 과보호에 빠져드는 한국인들 이인철 2020.11.12 3
203 간디의 재치와 지혜 김진태 2020.11.13 13
202 인구너이 존중받는 사회에서 살고 싶다 이인철 2020.11.13 1
201 캐나다에서 태어난 손자, 송윤이 신팔복 2020.11.13 1
200 그날이 있었기에 김순길 2020.11.14 6
199 시화전에 대하여 윤석순 2020.11.14 16
198 적선이 아니라 일할 수 있는 기회를 달라 이인철 2020.11.14 7
» 전하에서 정림으로 전용창 2020.11.14 6
196 세포 재생, 세포 파괴 고도원 2020.11.15 21
195 수필이 고마운 이유 김학 2020.11.15 11
194 공직자답게 사는 세상 이인철 2020.11.15 4
193 고군산군도 여행 파노라마 정석곤 2020.11.16 12
192 신판 효도잔치 김학 2020.11.16 14
191 나는 서울 광화문에서 악마를 보았다 이인철 2020.11.16 14
190 산책길에 만난 제비 두 쌍 김삼남 2020.11.16 12
189 굶주림을 해결해 준 고구마 고안상 2020.11.17 11
188 우리 마을의 '술 메기' 구연식 2020.11.17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