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희, 박영희, 박시교, 정찬열, 이조년

2005.12.21 06:47

김동찬 조회 수:440 추천:3

*** 56

꽃가루와 같이 부드러운 고양의 털에
고운 봄의 향기가 어리우도다

금방울과 같은 호동그란 고양이의 눈에
미친 봄의 향기가 흐르도다

고요히 다물은 고양이의 입술에
포근한 봄 졸음이 떠돌아라

날카롭게 쭉 뻗은 고양이의 수염에
푸른 봄의 생기가 뛰놀아라

     이장희 (1900 - 1929) 「봄은 고양이로다」전문

  1924년 《금성》지에 발표된 이장희 시인의 작품이다. 80년 전에 시인이 보았던 봄날은 부드러운 털, 호동그란 눈, 고요히 다문 입, 날카롭게 쭉 뻗은 수염을 가진 고양이로 우리의 눈앞에 아직도 생생하게 앉아 있다. 이 시인은 28세의 젊은 나이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시인이 겪었을 극심한 좌절과 고통은 오래 전에 잊혀지고 생기 넘치는 고양이만 그의 시에 남아, 시에 있어서 이미지가 얼마나 유용한 도구인지를 보여주고 있다.

*** 57

누구나 한번쯤/브래지어 호크 풀어보았겠지/그래, 사랑을 해본 놈이라면/풀었던 호크 채워도 봤겠지/하지만 그녀의 브래지어 빨아본 사람/몇이나 될까, 나 오늘 아침에/아내의 브래지어 빨면서 이런 생각해보았다/한 남자만을 위해/처지는 가슴 일으켜 세우고자 애썼을/아내 생각하자니 왈칵,/눈물이 쏟아져나왔다/산다는 것은 이런 것일까/남자도 때로는 눈물로 아내의 슬픔을 빠는 것이다/이처럼 아내는 오직 나 하나만을 위해/동굴처럼 웅크리고 산 것을/그 시간 나는 어디에 있었는가/어떤 꿈을 꾸고 있었던가/반성하는 마음으로 나 오늘 아침에/피죤 두 방울 떨어뜨렸다/그렇게라도 향기 전하고 싶었던 것이다

        박영희 (1962 - ) 「아내의 브래지어」전문

내 친구 정문석 시인이 박영희 시인에 대해 이메일을 보내왔다.
   "<열린시학> 시상식 때 소개한 고향 후배 박영희 시인은 1985년 등단하였다. 시집으로 <팽이는 서고 싶다>(창비) 등 다수가 있음. 국민학교를 나온 후 상경하여 신문을 팔고 사북 탄광의 막장에서 광원으로 일하면서도 홀로 학업에 열중한 사람이야. 그리고 부산대학에서 '도강'으로 학문에 대한 열정을 달래고 신문기자로 일하다 입북하여 취재하고 보안법 위반으로 7년 넘게 영어의 몸이 된 적 있었지. 그렇다고 공산주의를 추종하는 사람은 아니다."
그의 깨끗하고 훤한 외모만 보고 상상도 못했던 박 시인의 경력을 다시 옮겨보는 이유는 위의 시에서 "눈물로 아내의 슬픔을" 빨면서 "그 시간 나는 어디에 있었는가" 자책하는 남편의 심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아서이다.

*** 58

나무도 아름드리쯤 되면 사람이다
안으로 생각의 결 다진 것도 그렇고
거느린 그늘이며 바람 그 넉넉한 품 또한.
격으로 치자면 소나무가 되어야 한다
곧고 푸르른 혼 천년을 받치고 서 있는
의연한 조선 선비 닮은 저 산비탈 소나무
함부로 뻗지 않는 가지 끝 소슬한 하늘
무슨 말로 그 깊이 헤아려 섬길 것인가
나무도 아름드리쯤 되면 고고한 사람이다

     박시교 (1945 - ) 「나무에 대하여」전문

볼 것 못 볼 것 다 보고 천년을 산 저 소나무가 사람이 아닐 리 없다. 다만 사람처럼 자신의 생각을 바로바로 내 뱉지 않고 안으로 다져왔을 뿐이다. 그늘과 바람을 거느린 넉넉한 품, 곧고 푸르른 혼으로 소슬한 하늘을 받치고 서있는 그 모습은 의연한 조선의 선비같다. 사람이 얼만큼 성숙하면 아름드리 나무가 될까.


*** 59

비온 뒤 햇빛 따스한 오후
3월의 들판에 서면
귀 밝은 사람은 누구나  
초등학교 일 학년 선생님이 된다

여기 저기서 노오란 손을 흔들며
저요, 저요, 선생님 저두요, 소리치는
새싹들의 시새움으로
벌판은 온통 시끌벅쩍한
초등학교 일 학년 교실이다

어디 보자, 오올치 너 쑥 이로구나
가만있자 넌 누구더라
참, 너는 냉이 였지
  
       정찬열 (1947 - ) 「3월 들판에 서면」부분

  정찬열 시인은 미주 동포 2세들에게 한국말과 문화를 가르치는 '남부한국학교' 교장선생님이다. 거의 20년 동안 토요일을 뿌리교육에 바친 그에게는 3월의 비그친 들판에 돋아나는 새싹들도 다 귀여운 초등학교 일학년 어린이들로 보인다. 이 시를 읽으니 귀가 밝아져 새싹들의 "저요, 저요"하는 소리가 들린다.

*** 60

이화(梨花)에 월백(月白)하고 은한(銀漢)이 삼경(三更)인 제.
일지춘심(一枝春心)을 자규(子規)야 알냐마난.
다정(多情)도 병인 양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

    이조년 (1269 -1343) 「이화에 월백하고」전문

배꽃에 달빛이 희고 한 밤중에 은하수는 흐르는구나
나뭇가지에 서려있는 봄의 마음을 소쩍새는 알 리 없는데
정 많은 것도 병인가 잠 못 이루겠네.

고려때의 고시조 한 편을 요즘 말로 풀어놓고 감상한다. 봄의 마음이라고 간단하게 바꾸어서는 안 될 것 같은 '춘심(春心)'이 제일 해석하기 어렵다. 그 춘심을 소쩍새가 아는지 모르는지 서럽게 울어대는 통에 잠은 더욱 달아났다고 한다.
조지훈 시인에게서 온 시를 고쳐 답시로 보낸 것이 박목월 시인의 「나그네」다. 바로 그 「나그네」의 원전이 된 「완화삼」에서도 "다정하고 한 많음도 병인 양하여/ 달빛 아래 고요히 흔들리며 가노니..."란 비슷한 구절이 나온다. 이조년에서 조지훈까지 칠백 년이나 지났지만 달빛은 여전히 다정병 환자에게 심각한 불면증을 유발시키고 있다.
달뜨는 봄밤을 조심하시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539 세월 홍인숙(그레이스) 2004.08.04 278
10538 꽃길 그레이스 2004.08.04 195
10537 어느 여름날의 풍경 오연희 2004.08.05 151
10536 따땃한 방 오연희 2004.08.05 84
10535 갈대 소리 백선영 2004.08.05 118
10534 미완(未完)의 전선 백선영 2004.08.05 115
10533 뉴포트 비치 -*피어에서- 이성열 2004.08.06 154
10532 한쪽 날개가 없는 나비 문인귀 2004.08.06 119
10531 짐을 싸는 마음 노기제 2004.08.06 145
10530 내 할머니 세대의 표현법 노기제 2004.08.06 162
10529 붓꽃 정용진 2004.08.08 83
10528 조국 정용진 2004.08.08 45
10527 원색의 삶 오연희 2004.08.08 208
10526 떼낄라 소라리스 미미박 2004.08.09 142
10525 나 좀 살려줘요 노기제 2004.08.09 152
10524 수입상과 거짓서류 노기제 2004.08.09 118
10523 첫사랑처럼 오연희 2004.08.09 58
10522 멍청한 미국 샤핑몰 오연희 2004.08.09 273
10521 행복에게 박경숙 2004.08.10 60
10520 징검다리 정용진 2004.08.10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