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구구탁 예설라(矩矩托 禮說羅)‘

 

2016년은 문자 그대로 나쁜 뜻의 한 해로 변해 온 나라가 들끓으며 꼬리를 내렸던 '병신년은' 갔고 다시 해가 밝은지 반달이 넘었다. 그리고 오는 1월28일은 우리 고유명절이며 '설'날인 명실공한 丁酉年이 시작된다. 생각해 보면, 날마다 일상적으로 해가 지고 다시 떠오르는 게 무슨 큰 의미가 있겠나만그래도 새해가 되면 한번쯤 그 해의 유래와 운세를 챙겨보는 것도 사람의 마음이다.


2017년은 정유년으로 붉은 닭(;)의 해라 한다정유(丁酉)는 육십 간지 중 34번째로 닭은 인간들에게 알과 고기로 보시(布施)를 하며수탉은 새벽이면 목을 길게 빼 울음으로 여명을 알리는 신통력을 지닌 서조(瑞鳥)로 여겨져 왔다닭 울음은 시보(時報)의 역할을 하였고 옛날 시계가 없던 시절엔 밤이나 흐린 날에는 닭의 울음소리로 시각을 알았다또한 닭의 울음소리는 벽사(辟邪)의 기능을 가진다고 하여 닭이 제때 울지 않으면 불길한 징조로 여겼다.


일테면닭이 초저녁에 울면 재수가 없다고 하고 밤중에 울면 불길하다고 생각했으며수탉이 해진 뒤에 울면 집안에 나쁜 일이 생긴다고 했다특히 제사를 지낼 때면 닭의 울음소리를 기준으로 하여 제사를 거행했다새벽 닭의 울음소리를 들으면 산에서 내려왔던 맹수들이 돌아가고잡귀들도 모습을 감춘다고 믿어 왔기 때문이다이런 닭은 선조들의 삶의 일부요온 가족이 함께하도록 돕는 덕금(德禽)으로 전해지고 있다.


시경(詩經)에 따르면닭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BC 1,400년대에 이미 중국에서 닭을 키웠다는 기록이 있다고 한다인도자바말레이 반도 등지에 서식한 꿩에 가까운 닭을 양계(養鷄)로 키운 데서 비롯되어 그것이 서방으로 전해지면서 바빌로니아와 페르시아를 거쳐서 여러 나라로 전해졌다는 것이 정설이다우리나라의 닭에 관련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서진시대에 작성된 중국의 정사 삼국지에서 전해진다정사(正史삼국지에 의하면 한나라에 꼬리가 가는 닭(細尾鷄)이 있었는데그 길이가 다섯 자로 지금으로 따지면 115cm 정도가 되었다고 전한다.남북조시대에 작성된 후한서에서 이것을 꼬리가 긴 닭(長尾鷄)으로 고쳐놓았다는데아마 이것은 전설의 새인 봉황(鳳凰새의 미화가 아닐까 싶다.


삼국유사에도 닭의 얘기가 빠지지 않는다그 4권에 따르면인도에서는 신라를 구구탁 예설라(矩矩托 禮說羅)’라고 불렀다고 한다. ‘구구탁은 닭이고 예설라는 귀하다는 말이라고 한다즉 닭을 귀히 여기는 나라’ 라는 뜻이다신라는 닭 신을 공경하여 높이기 때문에 관에 깃을 올려서 장식했다이것은 절풍(折風)에 새 깃을 꽂아 장식하는 조우관(鳥羽冠)이나 조미관(鳥尾冠)을 가리키는 것이었다


또한 우리나라 창세 신화 중에 전하는 무속(巫俗)모음인 천지왕본풀이‘ 서두에 보면태초 혼돈 속에서 천황 닭이 목을 들고지황 닭이 훼를 치고인황 닭이 꼬리를 치며 크게 우니 동방에서 해가 떠오르며 세상이 열렸다는 전설이 있다이는 아침에 우는 닭의 특성에서 기인한 일종의 토템 신앙으로우리나라에서도 역시 닭을 조류 숭배신앙에서 받들던 하늘 새(봉황)와 동일시 한 신앙적 유래라고 보기도 한다.

 

하지만이런 닭에 대한 옛 신화적 서술보다는실제적인 것은 중국 노()나라 애공(哀公)의 신하 권요가 쓴 계5(鷄五德)이 표상적으로 상당히 설득력이 있는 닭에 대한 풀이였다예컨대첫째는 문(-머리에 있는 붉은 볏은 관()으로 선비의 표상인 벼슬을 나타 냄). 둘째는 무(-날카로운 발톱은 싸움의 무기를 나타 냄). 셋째는 용(-적을 만나면 죽기 살기로 싸우는 기백을 나타 냄). 넷째는 신(-새 시간새 날새 세상이 밝아 옴을 알려주는 시의성). 다섯째는 인(먹이는 발견 모두를 불러 서로 나눠먹는 배려를 나타 냄)을 나타내고 있다고 풀이한다.


거두절미신화적이든 실제적이든 관계없이 다가오는 올 2017년 닭 해에는 제발 그 5덕이 온 나라에 골고루 퍼져 나가길 기대하며특히 그중에서도 신()과 인()의 덕목만큼은 꼭 지켜졌으면 좋겠다.

 

(:절풍 [折風]/고구려에서 쓰던 관()의 하나그 모양은 고깔)].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61 길(道) 김용빈 2009.09.23 704
2160 일본인 독서 김우영 2011.01.14 701
2159 김우영의 세상사는 이야기 대전 중구의 효(孝)문화 가치 증대 아젠다 김우영 2013.02.16 700
2158 <김우영의 세상사는 이야기>세계는 한류열풍, 김우영 2012.04.06 697
2157 '여성'에 대한 명상 이승하 2004.08.30 693
2156 강한 어머니 박성춘 2009.12.09 689
2155 박영숙영 "어제의 사랑은 죽지를 않고" ㅡ작품해설(1) 박영숙영 2011.07.04 689
2154 밤에 피는 꽃 서 량 2005.05.06 684
2153 이현실 수필집 /작품해설 / 김우영 2011.10.14 679
2152 기타 김우영 김애경 부부작가 콘서트 김우영 2015.05.18 679
2151 ,혼자 라는것 강민경 2009.05.26 677
2150 일곱 권의 책을 추천합니다 이승하 2007.04.07 674
2149 내 삶의 향기 박영숙영 2010.12.13 674
2148 나의 탈고법 김우영 2009.04.04 672
2147 어느 시인의 행적 유성룡 2009.09.17 672
2146 4월의 시-박목월 file 미주문협관리자 2016.04.02 666
2145 매지호수의 연가 오영근 2009.04.25 665
2144 6월 3일(화)필리핀 마닐라 문화탐방 떠나는 김우영(작가) 김애경(성악가) 예술부부작가의 6가지 예늘빛깔 이야기 김우영 2012.06.04 665
2143 내가 시를 쓰면서 살아갈 수 있게 해준 소녀가 있었습니다. 이승하 2006.04.17 659
2142 하얀 산과 호수가 보이는 집에서… 이승욱 2014.03.26 65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