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02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세상에 사랑이 없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이 승 하



  한하운(1919∼1975)이 세상을 떠난 지도 어언 35년이 되었다. 그의 「전라도길」「손가락 한 마디」「죄」「파랑새」「보리피리」「나혼유한癩魂有恨」을 읽을 때면 심호흡을 하게 된다. 예순을 못 채우고 간 한 시인의 생애가 얼마나 많은 고통으로 점철되었는가, 상상해보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짓눌리는 느낌을 받기 때문이다. 그는 중학교(이리농림학교) 5학년 때 자신이 ‘문둥이’로 살아가야 함을 알게 된다. 불행 중 다행은 음성나환자였기에 겉으로 보기에 크게 표시가 나지 않았다는 것 정도일까. 하지만 궤양이 얼마나 심하게 온몸을 덮쳤는가는 회고록 『나의 슬픈 반생기』를 보면 알 수 있다.


  하루는 얼마나 되는가 궤양을 헤어보았다. 적어도 850군데에서 900군데나 헤아릴 수 있을 만큼 엄청나게 퍼져 있는 것이다. (당시부터 십여 년 후 나는 내가 살고 있는 인천시 간석동의 육백 환자 중에서 나같이 험한 궤양이 많은 환자는 하나도 볼 수 없었다.) 마치 밤하늘에 별이 무수하게 뿌려져 있는 것같이 나의 온 몸뚱이에는 궤양이 뿌려져 있었다.


  한하운은 회고록에서 어머니의 임종을 묘사한 뒤 이런 말을 한다. “장례를 치르기 위해서는 내가 없어져야 한다.”


  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맏상제이면서도 집에 있을 수 없었다. 이웃사람들과 친척들이 와 장례를 치르는데 나환자인 자기가 얼쩡거리면 그네들이 싫어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운은 집 근처 숲을 여러 날 울며 배회하는 동안 밥을 먹지 못해 정신을 잃었다가 밤이슬을 맞고 깨어난다.


  한태영(한하운의 본명)은 함경남도 한주군 동촌면에서 태어나 함흥 제일공립보통학교와 이리농림학교 수의축산과를 졸업하고 일본에 가 동경 성계고등학교를 수료한 뒤 중국으로 유학을 가 북경대학 농업원 축목학과를 졸업했으니 대단한 엘리트였다. 함경남도에서 19명이 이리농림학교에 응시하여 자기 혼자 합격했다는 말이 거짓일 리 없고, 북경대학 졸업시 주논문으로 「조선축산사」를, 부논문으로 「조선우의 지방적 체격 연구」와 몇 가지를 썼다는 말도 사실일 것이다. 총독부 도서관과 고서점을 샅샅이 돌아다니며 고서를 수집하여 논문의 뼈대를 추렸다는 대목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태영은 그 시대에 흔치 않은 농업학자였다.


  한태영에게 한센병(나병) 증세가 나타난 것은 축산과 졸업반에 다닐 때인 1936년이었다. 그는 성대부속병원에서 나병이라는 선고를 받고는 학교에 휴학계를 내고 금강산으로 들어갔다. 신계사 근처의 여관에 방을 하나 얻고는 날마다 온정리의 온천에 다니며 온천욕으로 병을 치료해보려 했던 것이다. 일본제와 독일제 나병 치료약도 갖고 들어갔지만 약물치료만으로는 안 될 것 같아서였다.


  열여덟 살 미소년이었던 태영에게는 ‘R’이라는 여자친구가 있었다. (한하운은 회고록에다 그녀의 이름을 밝히지 않고 이니셜로 표시한다.) 어릴 때부터 알고 있던 누이동생의 친구였다. 그녀는 태영이 한 마디 말도 없이 잠적하자 여름방학 때 금강산 신계사에 찾아간다. 학교에 잘 다니고 있던 남자친구가 느닷없이 금강산으로 들어갔다니 당혹해하며 찾아갔던 것이다.


  R 앞에서 태영은 큰 죄라도 지은 것처럼 고개를 수그렸다. 가슴이 찢어지는 고통이 엄습했지만 눈물을 보일 수는 없었다. 그럼 자신이 눈물을 보인 이유를 밝혀야 하니까. 태영은 R이 기왕 여기까지 왔으니 비로봉 구경이나 시켜주기로 한다. 내려오는 길에 마의태자 능이 있으니까 그것도 보여주기로 하고. 능 앞에서 자신이 나병에 걸린 것을 고백하려 했지만 능에 당도했을 때 R이 마의태자의 슬픈 운명에 대해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는 바람에 말할 기회를 놓치고 만다.


  며칠 후 하운은 집선봉 기슭 우거진 숲가를 흐르는 시냇물을 보며 마침내 자신이 나병에 걸렸음을 고백한다. 천형을 짊어지고 살아가게 되었으니 나를 잊어달라고. R은 태영의 말을 말없이 듣기만 하면서 꽃가지의 잎사귀를 뜯어서 물에 띄워 보낸다. 비감에 찬 태영의 말에 희미한 웃음을 지으며 R이 대꾸한다.


  “무슨 말씀을 그렇게 하세요. 저를 그렇게 생각하다니 저는 슬퍼져요. 저는 하운 씨를 일생의 남편으로서 언약한 이상 하운 씨가 불운에 처했다고 버리고 가는 그런 값싼 여자가 아닙니다.”


  자살까지 생각하고 있던 하운의 마음을 R은 간곡한 설득으로 돌린다. R은 그날 이후 전국을 돌아다니며 병에 좋다는 약을 구해 하운에게 준다. R은 그 이후에도 한하운의 병을 고치고자 전심전력을 다한다.


  하운은 농림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동경 성계고등학교로 진학한다. R은 하운을 따라 일본에 갔고, 일본에 가서도 돌아다니며 약을 구해준다. 하지만 이국에서의 불규칙적인 생활은 병의 재발을 부추겨 3학년 때 급거 귀국하게 된다. 하운은 다시 금강산으로 들어가 몇 달 정양한 뒤 이번에는 중국으로 간다. 그는 북경대학에 입학하여 비로소 시에 눈을 뜬다. 하운은 중국 시절을 이렇게 회고한 바 있다.


  운명의 병마에 신음하면서 남은 여명을 문학에 귀의하지 않고는 나를 구원할 길이 없음을 나의 심혼에서 백열같이 내연하였다.


  하운의 중국 생활은 학업과 투병이 아니라 술과 문학의 나날이었다. 심신이 피폐해지자 병세가 다시 심해진다. 고국에 돌아와 다시금 금강산에서 몸을 추스른 하운은 함경남도 도청 축산과에 취직하여 일하다 도내 장진군으로, 다시 경기도 용인군으로 전근한다. 그때가 1945년, 또다시 병이 악화되어 직장을 그만두고 함흥 본가로 가서 치료하나 효과를 못 본다. 이 무렵부터 남은 생을 문학을 위해 바치기로 하고 시작에 몰두한다.


  하운에 대한 R의 사랑은 변함이 없었지만 이별의 순간이 다가오고 있었다. 1946년 하운은 함흥학생데모사건에 연루되어 함흥형무소에 수감되었으나 나병환자라는 이유로 풀려나온다. R과 하운이 이별을 하게 한 장본인은 하운의 남동생이었다. 동생은 형과 R의 필사적인 만류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김일성 암살을 모의하는 비밀결사를 조직했다가 거사 직전에 체포된다. 이때 R도 비밀결사의 일원으로 지목되어 체포되었으므로 6·25 발발 전에 처형되었을 것이다. 하운도 병자가 아니었다면 이들과 함께 처형되었을 것이므로 아이러니컬한 일이다.


  한하운은 1949년, 《신천지》 4월호에 시 「전라도 길」 외 12편을 발표하면서 문단에 정식으로 등단한다. 같은 해 5월에는 시 25편을 묶어 첫 시집 『한하운시초』를 발간하고 57세의 나이로 작고할 때까지 병마와 싸우는 한편 시를 쓴다. 시집 『보리피리』『한하운시전집』, 자작시 해설집 『황토길』, 회고록 『나의 슬픈 반생기』 등을 출간하고 장편소설 「사랑은 슬픈 것인가」를 발표하기도 한다. 아무튼 그는 육신의 고통과 세상의 질시를 감내해야 했고, 회한과 허무감에 젖어 시를 썼다.


  남으로 온 이후 사회활동도 활발히 한다. 1954년 대한한센총연맹 위원장에 취임하고 1958년에 청운보육원을 설립, 원장에 취임한다. 1959년에 한미제역회사를 설립, 회장에 취임한다. 1961년에 명동에 출판사 무화문화사를 설립한다.



  가도 가도 붉은 황톳길

  숨 막히는 더위뿐이더라.



  낯선 친구 만나면

  우리들 문둥이끼리 반갑다.



  천안 삼거리를 지나도

  수세미 같은 해는 서산에 남는데



  가도 가도 붉은 황톳길

  숨 막히는 더위 속으로 절름거리며

  가는 길.



  신을 벗으면

  버드나무 밑에서 지까다비를 벗으면

  발가락이 또 한 개 없어졌다.



  앞으로 남은 두 개의 발가락이 잘릴 때까지

  가도 가도 천리, 먼 전라도 길.



   이 시 「전라도 길」은 한센병을 앓는 모든 사람의 아픔과 슬픔을 대변하고 있다. 시적 화자는 한여름 더위 속에 전라도를 향해 걸어가고 있다. 발가락이 떨어져나가는 고통을 그 누가 알까. 이 시를 지배하고 있는 정조는 소외감과 절망감이다. 한센병은 사람들이 보면 징그럽다고 외면하는 살이 썩어 문드러지는 병이며 혈액을 통해 전염이 되는 병이며 한 번 걸리면 회복이 불가능한 불치병이다. 그래서 이 병을 천형이라고 한다. 이남에서 사회사업가와 제약회사 사장으로 살아간 한하운은 북에 두고 온 애인 R을 못 잊어하며 이런 글을 쓴 바 있다.


  나는 R의 빛나는 눈동자에서 사랑의 시를 느끼고 그 사랑의 시는 나에게 ‘생명의 노래’를 주었던 것이다. 또 나는 생각에 잠긴다. 이 세상에 사랑이란 것이 없다면 사람은 어떻게 될 것인가? 더욱이 나 같은 경우에는 R의 사랑이 없었다면 이 심연을 어떻게 할 것인가.


  이북에 두고 온 R이란 여인이 한센병 환자인 자신을 사랑해준 그 사랑의 힘으로 절망하지 않았다는 한하운. 그는 죽는 날까지 전라도 길을 땀을 비 오듯이 흘리며 걸어간 시인이다. 숨 막히는 더위 속으로 절름거리며, R을 생각하면서. 고통의 극점에서도 첫사랑을 잊지 않았던 시인이기에 나는 그의 시를 읽을 때마다 전율한다.

  ㅡ『빠져들다』(좋은생각사)에서


  1. No Image 26Jul
    by 박동수
    2010/07/26 by 박동수
    Views 1047 

    잊혀지지 않은 사람들

  2. No Image 23Aug
    by 이승하
    2011/08/23 by 이승하
    Views 1020 

    시인 한하운의 시와 사랑

  3. No Image 23Sep
    by 이승하
    2004/09/23 by 이승하
    Views 1018 

    그대의 사랑으로 나는 지금까지 행복하였소

  4. No Image 25Jan
    by 정진관
    2005/01/25 by 정진관
    Views 1012 

    <도청> 의원 외유

  5. No Image 06Jul
    by 강민경
    2010/07/06 by 강민경
    Views 980 

    땅과 하늘이 마주 보는 비밀을

  6. No Image 22Aug
    by 성백군
    2010/08/22 by 성백군
    Views 974 

    연이어 터지는 바람

  7. No Image 21May
    by 김우영
    2010/05/21 by 김우영
    Views 969 

    007

  8. No Image 24Jul
    by 관리자
    2004/07/24 by 관리자
    Views 967 

    문단권력 또는 공해

  9. No Image 27Nov
    by 이승하
    2004/11/27 by 이승하
    Views 960 

    '신춘문예'를 준비하고 계십니까?

  10. No Image 26May
    by 황숙진
    2009/05/26 by 황숙진
    Views 953 

    참 바보처럼 살다 갔네.

  11. No Image 19Aug
    by 유성룡
    2007/08/19 by 유성룡
    Views 949 

    천년 그리움이 흐르는 강

  12. No Image 07Mar
    by 김우영
    2013/03/07 by 김우영
    Views 944 

    중국 바로알기

  13. No Image 17Feb
    by 박성춘
    2010/02/17 by 박성춘
    Views 939 

    아빠의 젖꼭지 (동시)

  14. No Image 24Jul
    by 관리자
    2004/07/24 by 관리자
    Views 936 

    동화 당선작/ 착한 갱 아가씨....신정순

  15. No Image 18Aug
    by 황숙진
    2009/08/18 by 황숙진
    Views 923 

    김대중 선생님을 추모하며

  16. No Image 06Oct
    by 강민경
    2010/10/06 by 강민경
    Views 919 

    밤하늘의 별이었는가

  17. No Image 12Feb
    by 황숙진
    2011/02/12 by 황숙진
    Views 919 

    무상성(無償性)에 굴하지 않는 문학-이숭자 선생님을 추모하며

  18. No Image 27Aug
    by 박동수
    2010/08/27 by 박동수
    Views 915 

    디베랴 해변

  19. No Image 22Jan
    by 박영호
    2007/01/22 by 박영호
    Views 914 

    바다 건너에서도 피는 모국어의 꽃

  20. No Image 24Apr
    by son,yongsang
    2010/04/24 by son,yongsang
    Views 904 

    근작시조 3수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