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우영 작가의 한국어 이야기 - 15

2464E84E55551F62024483

우리말의 애용론

충청신문 김우영 작가 siin7004@hanmail.net 2015.5.15(금)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2015.05.15 21면 | 지면보기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네이버 구글 msn
icon_p.gif

▲ KBS 라디오 방송국 ‘957 전망대 프로그램’에 출연한

김우영 작가와 박성준 아나운서.

월드컵 같은 국제적 스포츠 행사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대중매체인 매스 미디어의 역할은 중요하다. ‘포스트 월드컵’ ‘시너지 효과’ ‘인프라’ ‘세리머니’ 같은 단어들은 우리말로 옮겨 보려는 고민을 거칠 겨를도 없이 어느새 일상 생활속에 파고 들고 있다.
에어로빅, 디스코테크, 패션 쇼 등과 같이 마땅하게 사용할 언어가 없어 외국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차치하더라도 그러나 아직 정착하지 않은 외래어는 순수한 우리말로 바로 사용하는 것이 한국다운 주체성을 갖는 일이다.
예를 들면, A매치→국가간 경기, 골 세리머니→득점 뒤풀이, 글로벌 스탠다드→국제 표준, 내셔널 트러스트→국민 신탁, 내거티브→줄거리, 노블레스 오블리주→지도층의 의무, 멀티플렉스 극장→복합상영관, 모럴 헤저드→도덕적 해이, 서포터스→응원단 또는 후원자, 패널→토론자 등과 같이 우리말로 바꿔 써야 한다.
또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를 경영하는 기관, 단체에서도 예를 들면 ‘해태’ ‘이유’ ‘각하’같은 일본식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법조계는 이런 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래야만 권위가 더 서는 것일까?
이러한 폐단을 간파한 정부는 2005년 말 부터 다행스럽게도 전국의 각 지방자치단체에 ‘국어책임관’ 제도를 운영 아직도 덜 순화된 행정용어들을 바른 국어로 안내하고 있다. 국어책임관실에서는 각종 공문서 작성시 덜 순화된 외래어를 비롯하여 어색한 글이나 말 등 딱딱한 문자들을 순화하여 사용하도록 산하 관계기관, 단체에 알리고 있다.
각종 지면에 ‘한국어 이야기’ 글이 나가자 여러 사람들한테 연락이 온다. 대부분 격려의 말과 잘못된 부분을 친절하게 알려 주어 우리말 공부에 도움이 되곤한다고 전해온다.
나의 우리말 공부는 대략 1-3마당에 걸쳐 이루어진다. 첫 번째 마당은 1980년대 스무살 긴 머리칼 청바지 문학청년시절 서울에 살 때 이숭녕 국문학자를 몇 년 가까이 모시고 활동하면서 해박한 고담준론(高談峻論)과 쉬운 우리말 뜻풀이 마당에 반하였다.
두 번째 마당은 고향 충청권에 살면서 구인환 문학박사님과 최충식 언론인의 천의무봉(天衣無縫)과 말글 펼침에 옴팍 물이 들었다.
세 번째 마당은 첫 째와 둘 째의 멍석 위에서 스스로 우리말과 글의 굴레에 씌워 이젠 우리말의 풀물든 영창(映窓)이 되었다. 한글전용론자가 아닌 애용론자로써 이 기회에 일깨워주신 앞선님들께 감사드린다.

나의 아호는 ‘나은’ ‘길벗’ 이며 가시버시(아내)는 ‘구루터기’ 이다. 큰딸은 김바램이요, 둘째는 김나아 이다. 따라서 함께하는 모임의 직책중에 고문은 살핌이, 회장은 촌장, 총무는 살림이, 홍보는 알림이, 서기는 기록이, 회계는 돈셈이 등이다.
어떤 한글학자는 앞으로 수 백 년 후에는 우리말과 글이 지구상에서 사라질지 모른다고 예단하고 있다. 우리가 먹는 밥, 가정, 농촌에서 경작하는 농산물, 조상의 산소, 어릴 적 뛰놀던 뒷동산, 시냇물, 갯고랑, 아지랑이, 논과 밭, 소, 강아지, 돼지 등이 외래어로만 불린다면? 아, 생각만해도 삭막하다.

- 다음호에 이어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84 봄 그늘 하늘호수 2018.03.21 52
983 살만한 세상 강민경 2018.03.22 95
982 시작(始作 혹은 詩作) / 성백군 하늘호수 2018.03.27 123
981 옷을 빨다가 강민경 2018.03.27 195
980 바람의 말씀 / 성백군 2 하늘호수 2018.04.02 240
979 비와의 대화 강민경 2018.04.08 123
978 몸살 앓는 봄 / 성백군 하늘호수 2018.04.09 80
977 노숙자의 봄 바다 강민경 2018.04.11 216
976 봄 편지 / 성백군 하늘호수 2018.04.17 156
975 물웅덩이에 동전이 강민경 2018.04.19 236
974 배설 / 성백군 하늘호수 2018.04.23 120
973 나무 뿌리를 밟는데 강민경 2018.04.24 87
972 봄의 꽃을 바라보며 강민경 2018.05.02 187
971 어머니 / 성백군 하늘호수 2018.05.07 130
970 꽃 앞에 서면 강민경 2018.05.11 166
969 어느새 비 그치고 / 성백군 하늘호수 2018.05.14 166
968 졸업식은 오월의 함성 강민경 2018.05.18 183
967 사망보고서 / 성백군 하늘호수 2018.05.21 162
966 등대 사랑 강민경 2018.05.29 179
965 하와이 낙엽 / 성백군 하늘호수 2018.05.29 144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