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가 나를 살린다/이대흠

2007.01.08 03:47

미문이 조회 수:1445 추천:24

-60년만에 한번 핀다는 대나무꽃. 상처가 나를 살린다 / 이대흠 모서리를 돌아서다가 튀어 나온 돌멩이를 보지 못하고 무릎이 찍혔다 아직 손등의 상처가 다 아물지 않았는데 몇 방울 피 맺힌 것을 보고 아내는 칠칠맞다고 했다 나는 몸에 큰 흉터 있으면 오래 살 거라던 점쟁이의 말을 들어 다 내가 살아 남으려고 액땜한 거라 말했다 기억의 아슴한 산모롱이를 돌아 나올 때부터 지금까지 몸의 어디건 상처 하나는 가지고 살아왔다. 뒤돌아보면 상처의 길이 아득하다 지나간 희망이나 사랑은 모두 내 몸에 붉은 금을 그었다 아프다 내 오랜 사랑인 그대를 생각하면 세상을 다시 살고 싶어 진다 아픈 것이 어디 내 몸뿐이랴 내 발에 채인 돌은 느닷없는 발길질에 얼마나 놀랐을까 나와 만나 깨어 지거나 버려진 자들은 얼마나 많았던가 나와 만나면 모든 것이 망가졌다 타버린 폐차된 자동차 망가진, 그대 으스러지거나 커다란 흉터가 남은 게 아닌데 작은 상처에 아파했던 것은 죄스러운 일이다 혼자인 밤이면 상처 입은 짐승들이 주위를 가득 채운다 따듯하다 이대흠 - 1968년 전남 장흥 만손리 출생. 서울예전 문예 창작과 졸업. 1994년 「창작과 비평」 봄호에 「제암산을 본다」 등을 발표하면서 등단함. '시힘'동인. 시집'눈물 속에 고래가 산다', '상처가 나를 살린다'등. 이대흠의 시는 현실과 꿈, 집단과 개인, 좌와 우 사이의 터질 듯한 긴장 한가운데 있다. 그의 시만큼 언어의 뼈대와 살점이 고루 균형을 이루고 있는 시를 나는 근래에 만나보지 못하였다. 그의 시가 휘발유 같은 상상력을 드러낼 때 우리의 가슴은 뜨거워지고, 노련한 장인적 세공 기술을 보일 때 우리의 정신은 서늘해진다. 뭔가 큰일을 저지를 것 같은 시인 한 사람이 출현했다. ―안도현 시인 이대흠 시인은 객체인 대상들을 통해 주체인 나의 허구성을 밝혀 내려 한다. 그는 소외된 채 소멸해가는모든 사물들, 사람들, 시대의 고독과 상처를 냉철하게 읽어내고 거기에 자신의 의식을 투영시켜 뒤섞고는 살짝 비틀어놓는다. 이러한 시작 과정을 통해 그는 탄생과 죽음의 과정을 거쳐가는 세상 모든 것들의 존재가치와 비극성을 동시에 파헤치려 한다. ―함기석 시인 (Summer Time 연주곡-이생강,임동창) 째즈와 국악의만남! 피아노와 대금의 격렬한 사랑이야기...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2017 문학축제 김종회 교수 강의 원고 미주문협 2017.08.24 255
공지 미주문학 USC 데어터베이스 자료입니다. 미주문협 2017.08.14 234
54 허난설헌/ 스물일곱에 신선이 된 여자 미문이 2006.05.12 1596
53 올해의 좋은시/역삼동 안마사 미문이 2006.05.18 1067
52 공지영 "별들의 들판" 영상 다큐 미문이 2006.06.08 1066
51 민속문학작가회의 30주년 기념다큐 미문이 2006.06.29 828
50 [동영상]윤이상 영상 다큐-용의 귀환 미문이 2006.07.19 976
49 문학, 넌 책으로만 보니? 미문이 2006.07.19 1046
48 박완서, 그 큰나무 미문이 2006.08.21 1059
47 2006년문학과창작작품상 수상작 미문이 2006.09.15 1175
46 고진하//시인의 특강 중에서//박경리 토지문화관에서 미문이 2006.11.15 1137
45 YTN 방송국 '동포의'창 미문이 2006.12.02 956
44 우리가 만나면 알아볼수 있을까요? 미문이 2006.12.05 918
43 공지영 ((빗방울처럼 나는 혼자였다)) 中에서 미문이 2007.01.05 921
» 상처가 나를 살린다/이대흠 미문이 2007.01.08 1445
41 쉬운 시와 어려운 시/김진학 미문이 2007.01.30 1412
40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마광수 미문이 2007.02.12 1077
39 무차별 기형도 따라하기/김진학 미문이 2007.03.07 1110
38 ‘편지 쓰는 작가들의 모임’ 신선한 활동 미문이 2007.03.07 1132
37 순수문학과 대중 미문이 2007.03.21 1197
36 미당의 죽음을 통해서 본 '순수문학'의 허구성에 대한 단상(短想) 미문이 2007.03.21 1185
35 도대체 순수란 무엇인가? -한국 문학에서 순수의 의미 미문이 2007.03.21 10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