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설이(리)의 진정한 의미를 아십니까?

  

1. 각설이 타령은 거지들이 밥 한술 얻어먹기 위한 노래가 아닙니다.覺說理(깨달을 각, 말씀 설, 이치 리) 각설이의 본 뜻은 말 그대로 깨달음을 전하는 말로서


그 이치를 알려 준다는 것입니다.옛 성현들이 깨달음을 얻고 그것을 민중화시키기 위해서 만들어 낸 노래, 아니 설법인 것입니다.

민중에게 쉽게 전해지기 위해 쉬운 노래 가사로 그 의미를 전달하였죠.


혼자만의 깨달음은 무의미합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깨달음의 길을알려 주는 것이성현들의 할 일인 것입니다.그러기 위해서는 민중에 파고들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각설이 타령을 듣고 이해하는 사람은 감사의 뜻으로 공양(供養)을 올렸던 것입니다.

이러한 것이 행위만 남아서 구걸을 하는 행동만 남아 있으니 실로 가관이라 하겠습니다.


각설이 타령의 내용을 알아보면 진실을 알수 있습니다.각설리는 얼씨구로 시작됩니다.

여기서 얼씨구는 "얼의 씨"를 구하라는 의미입니다.


노래 가사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얼씨구씨구 들어간다. ☞ 얼의 씨가 몸 안에들어간다라는 뜻.저얼씨구씨구 들어간다.


☞ 네 얼의 씨도 몸안에 들어간다라는뜻.

작년에 왔던 각설이 죽지도 않고 또 왔네 ☞전생에 깨달았던 영은 죽지 않고 이생에 다시 태어난다라는 뜻.이놈의 자식이 이래봐도 정승판서의 자제로서


☞ 이생에는 이 모양 이꼴이지만 전생에는 정승판서의 아들 이었다라는 전생론을 말하고 있음...........

영의 윤회를 멀리하거나 미신이라고 치부하지 말고, 알고 보면 영은 돌고 돌면서계속 태어나는데 살아생전에 영을 잘 가꾸지 않으면 다음 생에 이 꼬라지가  되기쉬우니

이 사실을 잘 알아라! 그리고 생을 바로 알아 자신의 영적인 성장에 기여하는 참다운 사람으로 살아 가거라! 라는 내용으로 끝을 맺습니다.


각설이는 영의윤회를 노래한 선각자들의 민중문화 운동이었습니다.




2. 정확히 알 길이 없어나 일설에 의하면,백제가 나당 연합군에 의하여 망하자 당시지배 계층들은 떠돌이 나그네가 되어 거지로 변장하거나 혹은 정신병자나


불구로 위장하여 걸인 행각을,문인 계통은 광대로,무인 계통은 백정,줄타기 등등의 材人으로 전략하여 각설이 타령을 부르기 시작 하였다고 한다.


그리하여 이러한 음지에 사는 인간들이 속악한 世上에 대하여 던지는 야유,풍자,해학,무심,허무,영탄들은 웃음을 자아내게 하면서도 어쩔수 없는 비애감을

맛보게 하는 독특한 민족 문학적 채취를 풍긴다.


허나 구전되어 오던 타령이 문자로 정확한 것은 이조시대에 이르러서이다.朝鮮 말기의 판소리 작가 신재효(1812-1884)의 변강쇠가에서 품바의 뜻이"입장고"라


기록 되었고,송순(1493-1583)이 지었다는 타령과,작자는 알수없어나 이조시대에 과거에 낙방한 선비들이 낙향하면서 걸인 행각중 불렀다는 천자풀이 등이있다.


그러나 각설이 타령이 가장 활발히 불리어지고 알려진 시대는 해방 직후로 부터 6.25와-자유당시절-로서 전국적으로 퍼져 불리워졌어나 공화당 때인1968년,

법으로 걸인 행각을 금지 시키면서 부터 전국에서는 각설이 타령이 사라지기 시작하였다.

  

3. 품바란 각설이타령의 후렴구에 사용되는 일종의 장단 구실을 하는 의성어로 전해왔으나 현재는 각설이나 걸인의 대명사로 일반화 되었다.


품바란 낱말이 처음 기록된 문헌은 신재효의 한국판소리 전집중 "변강쇠歌"이다.

여기에서 보면 품바란,타령의 장단을 맞추고 흥을 돋우는 소리라 하여"입장고"라 불렀음을 알수 있는데이조 말기까지는 이런 의미로 통했을 것이다.


그후 일제,해방,자유당,공화당 시절에 이르기까지는"입방귀"라는 말이 널리 일반화 되었는데 그것은'입으로 뀌는방귀 '라는 뜻이다.


고금을 막론하고 피지배 계급(가난한者,역모에 몰린者,관을 피하여 다니는者,지배계급에 불만을 품고 다니는者,

소외된 者등)에 있는者들이 걸인 행세를 많이 하였는데 그들은 부정으로 치부한자,아부 아첨하여 관직에 오른者,기회주의者,매국노들의 문전에서"방귀나 처먹어라

이 더러운 놈들아"라는 의미로 입방귀를 뀌어 말로는 표현할수 없는 현실에 대한 恨과 울분을 표출 했다한다.

  

또한 품바란 가진게 없는 허(虛),텅 빈 상태인 공(空),그것도 득도의 상태에서의겸허함을 의미 한다고 전하며 구걸할때"품바"라는 소리를 내어"예 왔슴니다.


한푼보태주시오.타령 들어 갑니다"등의 쑥스러운 말 대신 썼다고 한다.또 품바란 한자의 '품'(稟)자에서 연유되어'주다' '받다'의 의미도 있다.

또 달리 품이란 품(일하는데 드는 수고나 힘),품앗이,품삯 등에서 연유 했다고도 한다.

  

허나,전해 내려오면서 명칭의 변화는 있었지만 거기에 함축된 의미가"사랑을 베푼자 만이 희망을 가진다"라는 말로 변해왔어며,


이 노래(타령)만은 처음 시작할때 와 끝났을때 반드시"품바"라는 소리를 내어 시작과 끝을 알렸던 것이 다른 노래에서 볼수 없는 특이한 점이다.

  

4. 김시라라는 극작가(타개)가 품바라는 연극에서 옛날 각설패들이 부르고 구전되던노래를 각색하여 연극으로 재구성 함.

  

5. 가사 내용:

얼씨구씨구 들어간다 절씨구씨구 들어간다.

작년에 왔던 각설이가 죽지도 않고 또 왔네

내란 놈이 이래봐도 정승판서 자재로서

팔도 감사 마다하고 돈 한푼에 팔려서 각설이로 나섰네

각설이라 역설이라 동설이를 짊어지고 지리구 지리구 돌아왔네

  

동삼먹고 배운공부 기운차게도 잘헌다.

초당짖고 배운 공부 실수없이 잘헌다.

논어맹자 읽었는지 자왈자왈 잘헌다.

목구멍에 불을 켰나 훤하게도 잘헌다.

인심좋은 양반님네 심청전을 읽어 봤냐?

난 골백번도 더 봤다.

  

맘씨고운 심청아씨 삼백석에 몸을 팔어 맹인아빠 눈을 떴소.

심술궂은 뺑덕어미 남에 것만 탐 내더니 용케 죽어서 자옥 갔소

아기아기 울지마라 열흘 굶은 나도있다

올 저녁만 참아다오

복스러운 주인마님 먹다남은 찌꺼길랑 없다말고 보태줘여~

  

앉은귀신은 깍귀,두발가진 까마귀

세발가진 통노 귀 네발가진 당나귀

먹는 귀신은 아귀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유튜브 박영숙영 영상'시모음' 박영숙영 2020.01.10 162
공지 박정희/ 외국학자들의 평가 박영숙영 2018.03.01 940
공지 AP종군기자의 사진을 통해 다시 보는 1950~53년 韓國戰爭 박영숙영 2015.07.26 2182
공지 박정희 대통령의 시 모음 박영숙영 2015.07.06 1667
공지 이순신 장군의 어록 박영숙영 2013.02.22 1593
공지 세계의 냉정한 평가 ㅡ박정희 박영숙영 2012.03.14 864
공지 저작권 문제있음 알려주시면 곧 삭제하겠습니다. 박영숙영 2009.09.02 827
공지 슬픈역사 ,기억해야 할 자료들 박영숙 2009.01.26 963
공지 박정희 대통령의 명언 박영숙 2009.01.26 2727
공지 박정희와 맥도널드 더글라스사 중역의 증언 박영숙 2009.01.26 1298
153 고시조 모음 박영숙영 2014.06.18 19226
152 [시조모음 ]<백설이 자자진 골에> 묵은 이색 박영숙영 2014.06.24 11158
151 인생무상에 관한 시조 박영숙영 2012.10.21 9973
150 長恨歌(장한가) - 백거이 박영숙영 2014.09.07 9818
149 가마귀 검다하고/ 이직 박영숙 2009.01.14 8312
148 이순신 장군의 시조 모음 박영숙영 2013.02.22 7176
147 신부 /서정주 박영숙영 2014.02.10 5789
146 간밤의 부던 바람에 / 유응부 박영숙 2009.01.14 4920
145 [스크랩]황진이 시모음 박영숙영 2013.07.05 4189
144 (이 몸이 죽어 가서) - 성삼문 박영숙영 2013.02.22 3868
143 가마귀 싸호는 골에 ~ - 정몽주 어머니 - 박영숙 2009.01.14 3711
142 遊子吟(유자음)-맹교 (중국명시) 박영숙영 2014.05.08 3176
141 내 마음 버혀내여- 정 철 - 박영숙 2009.01.14 2660
140 파초우 /조지훈 박영숙영 2014.05.08 2618
139 가마귀 눈비 마자 ~ 박영숙 2009.01.13 2601
138 간밤에 우던 여흘 /원호 박영숙 2009.01.14 2498
137 靜夜思(정야사) - 이백 (중국명시) 박영숙영 2014.05.08 2402
136 [스크랩]황진이의 삶과 사랑과 시 박영숙 2010.02.14 2209
135 나그네 /박목월 박영숙영 2012.03.12 2171
134 국토서시 / 조태일 박영숙영 2012.03.12 2148
133 서산대사 해탈 시 박영숙 2009.01.14 2060
132 금생여수(金生麗水)라 한들 - 박팽년 - 박영숙 2009.01.14 2035
131 나주,김씨 외 박영숙영 2011.11.08 2028
130 야설/ 서산대사 박영숙 2009.01.14 1990
129 벽(壁)/ 서정주 박영숙영 2014.05.08 1839
128 이순신장군의 시모음 박영숙 2009.01.26 1839
127 화비화(花非花) - 백거이 박영숙영 2015.05.12 1785
126 (가노라 삼각산아) - 김상헌 박영숙영 2013.02.22 1728
125 도연명~귀거래사 /펌글 박영숙 2010.02.02 1700
124 개성 김씨 외 박영숙영 2011.11.08 1645
123 한산섬 달 밝은 밤에 - 이순신 <우국가> 박영숙영 2010.11.30 1608
122 귀거래사- 도연명 박영숙 2010.02.02 1565
121 스크랩] 시조짓기 첫걸음 (장순하 "시조짓기 교실") 박영숙영 2010.12.22 1509
120 蘭溪 朴堧(난계 박연1378-1458) 박영숙영 2011.11.08 1474
119 최초의 조선 유학생의 비극 /아시안의 서부 개척사 -한국인 유학생- 박영숙 2009.11.05 1456
118 충무공 이순신장군의 명언/ 펌 박영숙 2009.01.26 1371
117 (청산은 나를 보고) - 나옹선사 박영숙영 2013.02.22 1354
116 왕방연/영월로 유배당한 단종에게 사약을 전했던 금부도사 박영숙영 2012.01.21 1340
» [스크랩]각설이(리)의 진정한 의미를 아십니까? 박영숙 2009.08.11 1298
114 장부가 / 안중근 박영숙 2008.08.20 1260
113 낙화 / 조지훈 박영숙영 2012.03.12 1221
112 금신전선 상유십이 /이순신장군 박영숙영 2010.11.30 1216
111 노래 삼긴 사람- 신 흠 - 박영숙 2009.01.14 1206
110 이순신장군 전사 소식~선조의 반응 박영숙영 2013.02.20 1184
109 어버이 살아신제 - 정철 - 박영숙영 2013.02.22 1178
108 불멸의 이순신 명랑해전 中 "필생즉사 필사즉생" 박영숙영 2013.02.20 1079
107 성씨유래 설명 박영숙영 2011.11.08 1077
106 진중음 1,2,3,/이순신장군 박영숙영 2010.11.30 1058
105 도산월야영매 / 李滉 이황 박영숙영 2012.07.18 1056
104 녹양이 천만사ㅣ들 / 이원익 - 박영숙 2009.01.14 1054
103 (마음이 어린 후이니) - 서경덕 박영숙영 2013.02.22 1045
102 음악의 귀재, 박연 박영숙 2010.02.14 1032
101 꿈에 뵈는 님이 - 명 옥 - 박영숙 2009.01.14 1019
100 (이화에 월백하고) - 이조년 박영숙영 2013.02.22 988
99 (청초 우거진 골에) - 임 제 박영숙영 2013.02.22 986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54
어제:
90
전체:
885,7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