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호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4
전체:
281,081

이달의 작가

시편정해 시편 2편

2016.12.04 16:48

최선호 조회 수:286

 

 

                                                    시편 2편

 


 

다윗이 등장하고 있는 삼하7:8∼16을 배경으로 쓰였다. 하나님을 대적하러드는 군왕들을 권계하며, 그들의 마지막은 파멸임을 경고하고 있다. 왕권을 가진 분은 오직 "여호와의 기름 받은 자" <메시야(히)·그리스도(헬)>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왕권을 노래한 시로는 18, 20, 21, 45, 72, 89, 101, 132, 141편 등이 있다. 그리스도가 최고 주권의 왕으로 다스림을 노래한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왕국에 거역하는 군왕들에 대한 하나님의 분노하심과 그 뜻을 경고하고 있다. 메시야가 다시 오실 때, 그는 철장으로 악인의 세력을 다스릴 것임을 알리고(계2:27;12:5;19:15) 있다. 권선징악(勸善懲惡)과 인과응보(因果應報) 사상이 엿보인다.  

 

주제: 여호와를 의지하는 자는 다 복이 있도다.
소재: 하나님의 통치에 반역하는 세상(열방, 군왕, 관원).
배경: 삼하7:8∼16. 하나님을 대적하려는 군왕 권계와 왕권을 가진 그리스도. 
수사: 영탄, 열거, 직유, 반복, 인용, 경구, 의인, 미화, 대구, 점층.
경향: 제왕시, 권계, 예언, 구도, 교훈, 상징, 묘사적.
구성: 4단. 기(1∼3절), 승(4∼6절), 전(7∼9절), 결(10∼12절). 미괄식.
작자: 다윗이 저자라는 견해가 지배적임(행4:25).
핵심어(구): 여호와를 의지하는 자(복 있는 자).


기(起): 하나님 통치에 대한 반역

 

1 어찌하여 열방이 분노하며 민족들이 허사를 경영하는고
2 세상의 군왕들이 나서며 관원들이 서로 꾀하여
  여호와와 그 기름 받은 자를 대적하며
3 우리가 그 맨 것을 끊고 그 결박을 벗어버리자 하도다

 

1∼3절: 묘사체(描寫體)로 쓰였다. "어찌하여"(히, 라마 lama)는 부사(의문부사)이다. 지상의 왕들이 하는 일을 따지고 있다. "어째서", "왜"를 강조하기 위해 한탄조(恨歎調)로 앞에 내세웠다. 그러므로 다음에 오는 내용을 강조하는 의도가 매우 강하게 나타난다. "열방이 분노하며 민족들이 허사를 경영"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가 강조되어 있다. 열방의 분노와 민족들의 허사는 하나님의 뜻이 아니다. "열방"은 유대민족 이외의 이방 국가들, "민족"은 택하여 세우신 유대 민족, "군왕"은 헤롯 임금, "관원"은 로마의 총독 빌라도를 가리킨 듯하나, 그 후 그리스도에 대항하는 모든 세력도 포함될 수 있다.


행4:25∼26에도 "또 주의 종 우리 조상 다윗의 입을 의탁하사 성령으로 말씀하시기를 어찌하여 열방이 분노하며 족속들이 허사를 경영하는고 세상의 군왕들이 나서며 관원들이 함께 모여 주와 그 그리스도를 대적하도다 하신 이로소이다"고 말씀하고 있다.

 

"열방", "민족", "군왕", "관원" 등은 하나님을 대적하러 드는 대상들의 열거(列擧)이며, "분노하며", "경영하는고"는 강조를 위한 반복이다.
"기름"은 예수 그리스도를 예표하는 말로써 제유(提喩: synecdo- che)에 해당된다. 과거에는 제유(提喩)와 환유(換喩) 두 기법을 포 함시켜 대유법(代喩法 또는 거우법: 擧隅法)이라 일컫기도 했다. 제유법은 사물(事物) 본체(本體)의 명칭(名稱)을 직접 말하지 않고, 다른 말로 대칭(代稱)하는 방법의 하나로 사물의 일부분을 표출(表 出)시켜 사물 전체를 표현(表現)하는 기법(技法)이다.

 

"나서며", "꾀하여", "대적하며", "하도다"는 반복을 통하여 강조와 운율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3절에 나타난 "것"과 "결박"이란 표현은 원관념(原觀念)을 대신하여 표현된 단어들이다.

 

1∼3절: 점층적(漸層的) 묘사로 강조 효과를 돋보인다.

 

승(承): 하나님의 분노와 치리(왕을 세우심)

 

4 하늘에 계신 자가 웃으심이여
  주께서 저희를 비웃으시리로다
5그 때에 분을 발하며 진노하사
  저희를 놀래어 이르시기를
6내가 나의 왕을 내 거룩한 산
  시온에 세웠다 하시리로다

 

4절: "하늘에 계신 자"와 "주"를 동의어로 열거하여, 강조와 운율의 효과를 보이고 있다. "웃으심이여", "비웃으시리로다"는 반복, 점층, 운율의 효과로 강조하고 있으며, 의인법(神人同形)의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늘에 계신 자"는 누구일까? 물론 하나님(주)이시다. 여기에 "하나님이 웃으심이여"라는 표현은 의인(擬人) 또는 신인동형(神人同形)의 표현이다. 하나님은 신(神)이시기 때문이다. 물론 하나님께서도 웃으실 수 없는 바는 아니나, 우리가 느끼는 웃음이란 웃는 표정이 눈에 보이거나 웃음소리가 귀에 들릴 때 비로소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 말고 또 무엇이 웃는가? 그러므로 하나님이 웃으신다는 표현은 하나님에게 인성(人性)을 포함시킨 표현이라고 보아도 좋겠다. 그러므로 하나님이 인간들에게 더욱 가깝게 느껴지도록 부각된다. 더구나 이 웃음은 "비웃음"이기에 더욱 그렇다. 싸늘한 웃음(冷笑)이다. 진노의 웃음, 조롱의 웃음인 동시에 해학적(諧謔的)이기까지 하다. 인간(열방, 군왕, 관원)이 얼마나 황당한 대상이었으면 비웃으셨을까? 그러나 이 웃음은 긴 웃음이 아니다. 곧 이어 위엄을 보이시며, "내가 나의 왕을 거룩한 산 시온에 세웠다"고 하시기 때문이다. 그의 웃음이 변하여 분노와 진노로 바뀌어 무지를 책망하고 있다. "웃으시며", "비웃으시리로다", "분을 발하며", "진노하사", "놀래어 이르시기를", "하시리로다" 등은 의인법의 수사이다.

 

5절: "분을 발하며"와 "진노하사"는 동의어의 반복, 강조이다.

 

6절: "나의 왕"은 다윗과 그 후예이지만, 그리스도를 나타낸다(삼하7:13∼14;슥9:9). "내가 나의 왕을 내 거룩한 산에 세웠다"는 인용(引用)의 강조이다.

 

전(轉): 왕권(예수 그리스도)의 선포

 

7 내가 영을 전하노라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너는 내 아들이라 오늘날 내가 너를 낳았도다
8 내게 구하라 내가 열방을 유업으로 주리니
  네 소유가 땅끝까지 이르리로다
9 네가 철장으로 저희를 깨뜨림이여
  질그릇같이 부수리라 하시도다

 

7절: 그 분이 하늘로부터 들었던 음성에는 시2:7에서 나오는 즉위식의 단어들이 반영되어 있다. 이것은 예수님의 사역이 우주적인 왕의 사역으로 접어들고 있음을 강조한다.

 

7∼8절 문장은 도치법 사용("전하노라", "내게 구하라"를 강조).

 

7∼9절: "너는 내 아들이라… 부수리라"는 여호와께서 하신 말씀의 강조를 위한 인용이다. 그리스도의 초림(Incarnation)과 재림(Reincarnation)의 예언이 엿보인다. 9절의 "질그릇같이"는 직유(直喩)로, "질그릇"은 보조관념이다.


결(結): 세상 통치자들에게 경고

 

10 그런즉 군왕들아 너희는 지혜를 얻으며
    세상의 관원들아 교훈을 받을지어다
11 여호와를 경외함으로 섬기고 떨며 즐거워할지어다
12 그 아들에게 입맞추라 그렇지 아니하면 진노하심으로
    너희가 길에서 망하리니 그 진노가 급하심이라
    여호와를 의지하는 자는 다 복이 있도다

 

10∼12절 "군왕들아", "관원들아", "지혜", "교훈", "얻으며", "받을 지어다"는 열거, 반복으로 강조, 운율의 효과를 내고 있다. "입맞추라"는 '주와 동행'을 통한 순종, 강조로써 미화법을 이용한 명령이다. "여호와를 의지하는 자는 다 복이 있도다"는 주제이다. 군왕과 관원들뿐만 아니라, 온 천하가 그에게 절대 순종하도록 경고하고, 결국 "여호와를 의지하는 자는 다 복이 있도다"를 강조하고 있다. 주제가 끝 부분에 있음으로 미괄식(尾括式) 구성이다.

 

12절에 나타난 "아들"은 원문상 '발'의 단어형태와 유사하다. 학자들 중에는 '발'의 오역으로 '아들'이라 기록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그렇게 보면 "그 발에 입맞추다"가 복종의 의미를 강조하는 표현으로 "그 아들의 발에 입맞추다"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8 <표지> 시편정해 최선호 최선호 2016.12.11 195
157 하나님께 영광을 최선호 2016.12.04 82
156 성경의 바른 이해 최선호 2016.12.04 116
155 일러두기 최선호 2016.12.04 41
154 시편 편별 주제 최선호 2016.12.04 285
153 여는 말 최선호 2016.12.04 336
152 닫는 말 최선호 2016.12.04 60
151 참고문헌 최선호 2016.12.04 646
150 시편 1편 최선호 2016.12.04 348
» 시편 2편 최선호 2016.12.04 286
148 시편 3편 최선호 2016.12.04 217
147 시편 4편 최선호 2016.12.04 170
146 시편 5편 최선호 2016.12.04 215
145 시편 6편 최선호 2016.12.04 437
144 시편 7편 최선호 2016.12.04 260
143 시편 8편 최선호 2016.12.04 325
142 시편 9편 최선호 2016.12.04 7124
141 시편 10편 최선호 2016.12.04 352
140 시편 11편 최선호 2016.12.04 225
139 시편 12편 최선호 2016.12.04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