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른색 동그라미 아이콘을 클릭 하셔요.
유익한 자료가 될거라고 봅니다.
흔들리는 화살표 클릭해보세요
|
|
⊙ 복소무완란(覆巢無完卵) |
⊙ 복수불반분(覆水不返盆) |
⊙ 복차지계(覆車之戒) |
⊙ 부기미(附驥尾) |
⊙ 부마(駙馬) |
⊙ 부중지어(釜中之魚) |
⊙ 부화뇌동(附和雷同) |
⊙ 분서갱유(焚書坑儒) |
⊙ 불구대천지수(不俱戴天之讐) |
⊙ 불로장생(不老長生) |
⊙ 불수진(拂鬚塵) |
⊙ 불식태산(不識泰山) |
⊙ 불요불굴(不撓不屈) |
⊙ 불초(不肖) |
⊙ 불혹(不惑) |
⊙ 붕정만리(鵬程萬里) |
⊙ 비견계종(比肩繼踪) |
⊙ 비육지탄(脾肉之嘆) |
⊙ 비익연리(比翼連理) |
⊙ 비조(鼻祖) |
⊙ 빈계지신(牝鷄之晨) |
⊙ 빈자일등(貧者一燈) |
⊙ 빙탄불상용(氷炭不相容) |
⊙ 병위사지(兵爲死地) |
⊙ 반식재상(伴食宰相) |
⊙ 사면초가(四面楚歌) |
⊙ 사반공배(事半公倍) |
⊙ 사분오열(四分五裂) |
⊙ 사석위호(射石爲虎) |
⊙ 사이비(似而非) |
⊙ 사자후(獅子吼) |
⊙ 사지(四知) |
⊙ 사족(蛇足) |
⊙ 사취(私聚) |
⊙ 상가지구(喪家之狗) |
⊙ 상분(嘗糞) |
⊙ 상사병(相思病) |
⊙ 살신성인(殺身成仁) |
⊙ 삼고초려(三顧草廬) |
⊙ 삼인성호(三人成虎) |
⊙ 삼년불비 우불명 |
⊙ 삼십육계 주위상계 |
⊙ 삼령오신(三令五申) |
⊙ 살풍경(殺風景) |
⊙ 상궁지조(傷弓之鳥) |
⊙ 상산사세(常山蛇勢) |
⊙ 선각자(先覺者) |
⊙ 선시어외(先始於외) |
⊙ 새옹지마(塞翁之馬) |
⊙ 서시빈목(西施嚬目) |
⊙ 석권(席卷) |
⊙ 선입견(先入見) |
⊙ 선즉제인(先則制人) |
⊙ 성혜(成蹊) |
⊙ 소년이노학난성 |
⊙ 송양지인(宋襄之人) |
⊙ 수락석출(水落石出) |
⊙ 수서양단(首鼠兩端) |
⊙ 수어지교(水魚之交) |
⊙ 수즉다욕(壽則多辱) |
⊙ 수주대토(守株待兎) |
⊙ 수적천석(水滴穿石) |
⊙ 수청무대어(水淸無大魚) |
⊙ 수석침류(漱石枕流) |
⊙ 수구초심(首邱初心) |
⊙ 순망치한(脣亡齒寒) |
⊙ 승당입실(升堂入室) |
⊙ 시오설(視吾舌) |
⊙ 시위소찬(尸位素餐) |
⊙ 시자조슬(視子蚤蝨) |
⊙ 식언(食言) |
⊙ 식자우환(識字憂患) |
⊙ 식소사번(食少事煩) |
⊙ 식지동(食指動) |
⊙ 신출귀몰(神出鬼沒) |
⊙ 심복지환(心服之患) |
⊙ 사목지신(徙木之信) |
⊙ 아비규환(阿鼻叫喚) |
⊙ 아수라장(阿修羅場) |
⊙ 안도(安堵) |
⊙ 안서(雁書) |
⊙ 안자지어(晏子之御) |
⊙ 안중지정(眼中之釘) |
⊙ 암중모색(暗中摸索) |
⊙ 야단법석(野壇法席) |
⊙ 야합(野合) |
⊙ 약롱중물(藥籠中物) |
⊙ 양금택목(良禽擇木) |
⊙ 양두구육(羊頭狗肉) |
⊙ 양상군자(梁上君子) |
⊙ 양약고구(良藥苦口) |
⊙ 양포지구 (楊布之狗) |
⊙ 양호유환(養虎遺患) |
⊙ 어부지리(漁父之利) |
⊙ 엄이도령(掩耳盜鈴) |
⊙ 여도지죄(餘桃之罪) |
⊙ 여산진면(廬山眞面) |
⊙ 여세추이(與世推移) |
⊙ 역린(逆鱗) |
⊙ 연리지(連理枝) |
⊙ 연목구어(緣木求魚) |
⊙ 오리무중(五里霧中) |
⊙ 오손공주(烏孫公主) |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
⊙ 오월동주(吳越同舟) |
⊙ 오유선생(烏有先生) |
⊙ 오합지졸(烏合之卒) |
⊙ 옥석혼효(玉石混淆) |
⊙ 온고지신(溫故知新) |
⊙ 와각지쟁(蝸角之爭) |
⊙ 와신상담(臥薪嘗膽) |
⊙ 완물상지(玩物喪志) |
⊙ 완벽(完璧) |
⊙ 요령부득(要領不得) |
⊙ 요동지시(遼東之豕) |
⊙ 요원지화(燎原之火) |
⊙ 우공이산(愚公移山) |
⊙ 우도할계(牛刀割鷄) |
⊙ 운용지묘(運用之妙)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