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자료실
| 김태수의 창작실 | 독자창착터 | 목로주점 | 몽당연필 | 작가갤러리 | 문학자료실 | 일반자료실 |
환경호르몬으로부터 가족을 지키는 7가지 생활요령
2011.12.22 16:29
환경호르몬으로부터 가족을 지키는 7가지 생활 요령
1. 유기농산물을 먹읍시다.
- 환경호르몬인 18개 농약성분이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일반농산물 대신 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유기농산물을 먹는 것이 환경호르몬으로 부터 우리 모두를 보호하는 최선의 길입니다.
2. 아기에게 모유를 먹입시다.
- 모유는 아기에게 최상의 식품입니다.
- 플라스틱 분유 병은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A를 원료로 하는 포리카보네이트로 만듭니다.
- 아기에게 분유대신 모유를 먹이는 것이 환경호르몬의 위험으로부터 아기를 지키 는 최선의 방법입니다.
3. 플라스틱 제품 사용을 줄입시다.
- 플라스틱 도시락, 컵, 접시 등 플라스틱 용기의 사용을 피하도록 합시다. 플라스 틱 용기에 뜨겁고 기름기가 있는 음식을 담으면 환경호르몬 물질이 나올 수 있습 니다.
- 어린이들이 가지고 노는 장난감이 발암성물질 또는 환경호르몬 물질로 만들어지 기도 합니다.
- 어린이들은 장난감을 입에 넣어 물거나 씹기도 하기 때문에 더욱 큰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 플라스틱 장난감 대신 천연목재 등 다른 재질로 만든 장난감을 골라줍시다. 나무 로 만들었다해서 무조건 안전한 것은 아닙니다. 혹시 왁스칠, 코팅, 페인팅을 했 는지 확인합시다.
- 심지어 고무젖꼭지 등 영·유아용품도 환경호르몬 물질로 만들어진 경우가 있으니 제품을 선택할 때는 무엇으로 만들었는지 꼼꼼히 확인합시다.
- 불가피하게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할 경우 재활용이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안전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든 제품을 선택합시다.
4. 쓰레기를 최소화 합시다.
- 쓰레기 특히 플라스틱 쓰레기를 태우면 환경호르몬 물질인 다이옥신이 나오게 됩니다.
- 가능한 한 적게, 오래, 다시쓰기, 쓰레기의 분리수거와 부피 줄이기가 쓰레기를 최소화하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5. 플라스틱 용기를 전자렌지에서 사용하지 맙시다.
- 분유 수유가 불가피하다면 플라스틱 대신 유리젖병을 선택하십시오.
- 기름기 있는 음식을 데울 때 식품포장용랩 대신 유리뚜껑을 사용합시다.
- 컵라면을 전자렌지에 넣고 끓여먹지 말고, 끓인 채 용기에 오랜 시간 놔두지 맙 시다.
- 음료수캔의 내부코팅제에서도 비스페놀A가 나옵니다.
음료수캔을 뜨겁게 데워먹는 것은 피하십시오.
6. 염소표백제가 든 가정용 세정제, 위생용품의 사용을 줄입시다.
- 염소제가 많이 든 하얀 휴지보다 표백이 덜 된 제품이 소비자의 건강에 이롭습니 다.
- 우리가 사용하는 플라스틱 제품 등에 염소제가 들어가면 소각할 때 다이옥신이 검출되어 해롭습니다. 염소제가 뜬 제품의 사용을 피합시다.
7. 환경호르몬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캠페인에 적극 동참합시다.
- 제품 구입시 용기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 확인합시다.
- 소비자, 환경단체, 언론, 정부 등이 제공하는 환경호르몬 정보에 귀를 기울입시 다.
- 국회, 정부에 환경호르몬으로부터 국민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 및 정책을 수립하도록 촉구합시다.
- 제조업체가 안전한 대체상품 및 기술개발을 통해 생산형태를 바꾸어 나가도록 촉구합시다.
인류의 지속적인 번영발전을 위협하는 소리 없는 폭탄을 환경호르몬이라고 하는 바, 현재까지 어슴푸레 잡히고 있는 환경호르몬은 67종에 이르고 있으며, 그 중 43종이 농약(살충제 26종, 제초제 12종, 살균제 5종)입니다.
따라서 앞으로 암과 기형아 발생을 막아내는 유일한 길은 깨끗한 물과 유기농산물을 먹는 것뿐입니다.
※ 자료제공 :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전화 : 02-739-5441)
1. 유기농산물을 먹읍시다.
- 환경호르몬인 18개 농약성분이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일반농산물 대신 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유기농산물을 먹는 것이 환경호르몬으로 부터 우리 모두를 보호하는 최선의 길입니다.
2. 아기에게 모유를 먹입시다.
- 모유는 아기에게 최상의 식품입니다.
- 플라스틱 분유 병은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A를 원료로 하는 포리카보네이트로 만듭니다.
- 아기에게 분유대신 모유를 먹이는 것이 환경호르몬의 위험으로부터 아기를 지키 는 최선의 방법입니다.
3. 플라스틱 제품 사용을 줄입시다.
- 플라스틱 도시락, 컵, 접시 등 플라스틱 용기의 사용을 피하도록 합시다. 플라스 틱 용기에 뜨겁고 기름기가 있는 음식을 담으면 환경호르몬 물질이 나올 수 있습 니다.
- 어린이들이 가지고 노는 장난감이 발암성물질 또는 환경호르몬 물질로 만들어지 기도 합니다.
- 어린이들은 장난감을 입에 넣어 물거나 씹기도 하기 때문에 더욱 큰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 플라스틱 장난감 대신 천연목재 등 다른 재질로 만든 장난감을 골라줍시다. 나무 로 만들었다해서 무조건 안전한 것은 아닙니다. 혹시 왁스칠, 코팅, 페인팅을 했 는지 확인합시다.
- 심지어 고무젖꼭지 등 영·유아용품도 환경호르몬 물질로 만들어진 경우가 있으니 제품을 선택할 때는 무엇으로 만들었는지 꼼꼼히 확인합시다.
- 불가피하게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할 경우 재활용이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안전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든 제품을 선택합시다.
4. 쓰레기를 최소화 합시다.
- 쓰레기 특히 플라스틱 쓰레기를 태우면 환경호르몬 물질인 다이옥신이 나오게 됩니다.
- 가능한 한 적게, 오래, 다시쓰기, 쓰레기의 분리수거와 부피 줄이기가 쓰레기를 최소화하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5. 플라스틱 용기를 전자렌지에서 사용하지 맙시다.
- 분유 수유가 불가피하다면 플라스틱 대신 유리젖병을 선택하십시오.
- 기름기 있는 음식을 데울 때 식품포장용랩 대신 유리뚜껑을 사용합시다.
- 컵라면을 전자렌지에 넣고 끓여먹지 말고, 끓인 채 용기에 오랜 시간 놔두지 맙 시다.
- 음료수캔의 내부코팅제에서도 비스페놀A가 나옵니다.
음료수캔을 뜨겁게 데워먹는 것은 피하십시오.
6. 염소표백제가 든 가정용 세정제, 위생용품의 사용을 줄입시다.
- 염소제가 많이 든 하얀 휴지보다 표백이 덜 된 제품이 소비자의 건강에 이롭습니 다.
- 우리가 사용하는 플라스틱 제품 등에 염소제가 들어가면 소각할 때 다이옥신이 검출되어 해롭습니다. 염소제가 뜬 제품의 사용을 피합시다.
7. 환경호르몬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캠페인에 적극 동참합시다.
- 제품 구입시 용기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 확인합시다.
- 소비자, 환경단체, 언론, 정부 등이 제공하는 환경호르몬 정보에 귀를 기울입시 다.
- 국회, 정부에 환경호르몬으로부터 국민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 및 정책을 수립하도록 촉구합시다.
- 제조업체가 안전한 대체상품 및 기술개발을 통해 생산형태를 바꾸어 나가도록 촉구합시다.
인류의 지속적인 번영발전을 위협하는 소리 없는 폭탄을 환경호르몬이라고 하는 바, 현재까지 어슴푸레 잡히고 있는 환경호르몬은 67종에 이르고 있으며, 그 중 43종이 농약(살충제 26종, 제초제 12종, 살균제 5종)입니다.
따라서 앞으로 암과 기형아 발생을 막아내는 유일한 길은 깨끗한 물과 유기농산물을 먹는 것뿐입니다.
※ 자료제공 :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전화 : 02-739-5441)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3 | 강의: 나의 동양 고전 독법/신영복 | 동아줄 | 2013.05.04 | 702 |
12 | 오얏이[李],이[夷]의 참뜻은 무엇일까? | 동아줄 | 2013.04.30 | 697 |
11 | 天 符 經 천부경 (구름 이경숙님 해설) | 동아줄 | 2013.03.25 | 320 |
10 | 일제 침략과 통치 역사 용어 바로잡기 | 동아줄 | 2012.07.21 | 544 |
9 | '싱겁게 먹어라'는 말은 건강의 적 | 동아줄 | 2012.11.13 | 336 |
8 | 밀가루 음식 먹지 말아야하는 까닭 | 동아줄 | 2012.10.25 | 759 |
7 | 죽음을 뜻하는 낱말 모음 | 동아줄 | 2012.10.20 | 716 |
6 | 원전은 담배다… 내일 죽더라도 오늘은 피우자? | 동아줄 | 2012.08.11 | 362 |
5 | 전자레인지를 쓰면 안 되는이유 | 동아줄 | 2012.04.13 | 294 |
4 | 기후변화, 극복의 문제가 아니라 순응의 문제다 | 동아줄 | 2012.03.12 | 239 |
3 | 생리대 정말 안전한가요? | 동아줄 김태수 | 2011.12.22 | 707 |
2 | 농약의 오염과 그 실태 | 동아줄 김태수 | 2011.12.22 | 968 |
» | 환경호르몬으로부터 가족을 지키는 7가지 생활요령 | 동아줄 김태수 | 2011.12.22 | 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