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훈 서재 DB

목로주점

| 윤석훈의 창작실 | 내가읽은좋은책 | 독자창작터 | 목로주점 | 몽당연필 | 갤러리 | 공지사항 | 문학자료실 | 웹자료실 | 일반자료실 |

정제된 틀을 위한 진혼곡

2005.11.11 03:52

윤석훈 조회 수:204 추천:10

혼의 정체에 대하여
눈썹달을 보며 생각한다.
내가 바라보는 인식의 넓이
만큼만이 내가 살아가는
영역이라면 삶은 나태해야 하리라.
태만하지 않고서는 견딜 수 없으리라.
어찌 견실한 제정신으로
이 산만한 명제를 추론할 수 있나.
내 인식밖의 세계를 포용한다면
삶은 그럭저럭 절묘하다.
그럭저럭이란 말은 딱히 명쾌하게
집어낼 수 있는 기구가 없다는 말이다.
그러니 자연스레 예리한 칼날을 비낀
생명의 고단한 질주를
이름할 수 밖엔 없으리.
그럼 혼과 영과 육의 관계를 생각해 보자.
그것은 믿음의 체위대로
해석함을 원칙으로 하되
상호보합적으로 가려지는
영토는 배격하도록 한다.
말하자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각각의 의미를
배격하지 말자는 이야기가 된다.
혹자는 그 중간의 것을
언급할 수도 있겠다.이론의 다양성이야 말로
인간을 인간답게 사유하는 유일한 통로가 된다.
그것을 이용하여야만 사물에 대한
유기적 연관성을 상큼하게
도출해 낼 수 있게 되리라.
혼과 영의 무의식적 관념 및 잠재의식의 영역 그리고
물리적인 뇌의 기능으로 대별될 인식 그 자체의 영역을
어떻게 부리고 사용하느냐 따라
사물과 자연과 인간에게 연쇄된 유전인자 같은
신의 속내를 희미하게나마 짐작할 수 있는
창구를 확보하게 되리라.
가을 밤은 깊어가고
모닥불은 꺼져가고
내 부를 수 있는 이름은 멀리있고
가까이 있는 체온은
무관한 언어의 유희처럼
가볍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3 윤 시인님 차신재 2006.12.24 106
292 돋는 해 앞에서 문인귀 2006.12.25 144
291 큰 재목 이용우 2006.12.28 116
290 Happy New Year !! 박영호 2006.12.31 121
289 정해년 새해 복 많이 받기를..... 윤혜진 2007.01.01 128
288 복된 한 해가 되시길빕니다 정찬열 2007.01.02 134
287 늦은인사.. 이필연 2007.01.08 106
286 주소 입력 정문선 2007.01.11 110
285 신년하례 잔치 정해정 2007.01.12 129
284 힘찬 새해되시오소서. 강학희 2007.01.13 117
283 축하와 새해인사와 그리고... 강성재 2007.01.13 123
282 출발 경안 2007.01.14 110
281 나마스테 신영철 2007.01.14 133
280 향기로운 발자국 박정순 2007.01.15 146
279 잘 받았습니다 강성재 2007.01.19 144
278 좋은 시를 쓰기 위한 자기점검 (퍼옴) 윤석훈 2007.01.21 154
277 방문 고마움 달샘 정해정 2007.01.21 144
276 김종회교수와의 번개간담회 김영교 2007.01.24 280
275 확인 강성재 2007.01.28 177
274 여우가 있다면... file 오연희 2007.02.05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