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훈 서재 DB

목로주점

| 윤석훈의 창작실 | 내가읽은좋은책 | 독자창작터 | 목로주점 | 몽당연필 | 갤러리 | 공지사항 | 문학자료실 | 웹자료실 | 일반자료실 |

정제된 틀을 위한 진혼곡

2005.11.11 03:52

윤석훈 조회 수:204 추천:10

혼의 정체에 대하여
눈썹달을 보며 생각한다.
내가 바라보는 인식의 넓이
만큼만이 내가 살아가는
영역이라면 삶은 나태해야 하리라.
태만하지 않고서는 견딜 수 없으리라.
어찌 견실한 제정신으로
이 산만한 명제를 추론할 수 있나.
내 인식밖의 세계를 포용한다면
삶은 그럭저럭 절묘하다.
그럭저럭이란 말은 딱히 명쾌하게
집어낼 수 있는 기구가 없다는 말이다.
그러니 자연스레 예리한 칼날을 비낀
생명의 고단한 질주를
이름할 수 밖엔 없으리.
그럼 혼과 영과 육의 관계를 생각해 보자.
그것은 믿음의 체위대로
해석함을 원칙으로 하되
상호보합적으로 가려지는
영토는 배격하도록 한다.
말하자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각각의 의미를
배격하지 말자는 이야기가 된다.
혹자는 그 중간의 것을
언급할 수도 있겠다.이론의 다양성이야 말로
인간을 인간답게 사유하는 유일한 통로가 된다.
그것을 이용하여야만 사물에 대한
유기적 연관성을 상큼하게
도출해 낼 수 있게 되리라.
혼과 영의 무의식적 관념 및 잠재의식의 영역 그리고
물리적인 뇌의 기능으로 대별될 인식 그 자체의 영역을
어떻게 부리고 사용하느냐 따라
사물과 자연과 인간에게 연쇄된 유전인자 같은
신의 속내를 희미하게나마 짐작할 수 있는
창구를 확보하게 되리라.
가을 밤은 깊어가고
모닥불은 꺼져가고
내 부를 수 있는 이름은 멀리있고
가까이 있는 체온은
무관한 언어의 유희처럼
가볍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정제된 틀을 위한 진혼곡 윤석훈 2005.11.11 204
52 수고 많으셨습니다 정국희 2006.08.27 197
51 능숙한 사회 오연희 2005.12.07 198
50 풀어가기 문인귀 2005.12.03 150
49 그 크신 하나님의 사랑 나암정 2005.10.23 179
48 늦은 인사 박영호 2005.10.22 132
47 가을 한낮의 단상 윤석훈 2005.10.17 171
46 모밀꽃 필 무렵 나암정 2005.09.25 119
45 모여 흐르는 것이 강물 뿐이랴 최석봉 2005.09.17 146
44 보름달 경안 2005.09.17 159
43 즐거운 추석 되세요. 한길수 2005.09.16 118
42 못다한 이야기 오연희 2005.09.14 181
41 잠시 들렀습니다.... 시하 2005.09.06 121
40 Palos Verdes file 이은상 2006.08.23 176
39 새로운 멋을 발견하고---. 조만연 2005.08.23 255
38 모닥불 같아 나암정 2005.08.17 138
37 천연색 경안 2005.08.17 180
36 시인(詩人) / 김광섭 문해 2005.08.11 110
35 내 마음은/김동명 문해 2005.08.11 108
34 잡을 수 없는 꼬리 경안 2005.07.28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