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84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여태까지 심상치 않은 의식상태는 일단 정신이상으로 보고

무조건 치료의 대상으로 여겨졌다.

전통적인 서구 의학의 기계론식 사고방식에서 탈피하여

자기초월의 현상을 새롭게 이해하고 그 현상의 다른 국면을

살펴보는 것은 대단히 의미 있는 일이다.

편견없는 관찰을 통해 우리는 심상치 않은 의식상태라는 것이

결코 제거해야만 할 정신적 종양이 아니라 풍부한 인성으로

도약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영혼의 성장 고비임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초월의 위기는 영혼이 성숙할 수 있는 디딤돌이다.

그러므로 예기치 못한 정서적 난관이 생길 경우는 이를

비극적 사태인 것으로 받아들이거나 두려워할 것이 아니라

적절한 정신요법을 통해 잘 소화시킴으로써 정신건강과

인성발달에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유익한 기회로 충분히

활용해야만 한다.



그럼 정상적인 의식상태, 즉 정상인의 의식은 무엇일까.

정상인은 보통 자신의 육체 안에 갇혀 있다. 지금 여기에서

내 몸으로 지각하는 것만이 내 경험의 전부이다.

과거는 기억으로만 떠올릴 수 있으며 미래는 아직 경험할 수가

없다.



하지만 심상치 않은 의식상태, 즉 정신이상으로 보여지는 상태는

더이상 내 몸뚱아리에만 얽매이지 않고 다른 사람 혹은 여러 사람

내지 인류 전체가 다 나일 수 있다. 내 영혼은 때로 동물이나

식물 그리고 무생물체 속으로도 파고들 수 있으며 우주 전체,

그러니까 은하계의 차원까지 다 감싸 안는 그런 상태의 자기초월도

가능하다.

-----------------


정신분열의 두 가지 증상은

망상(Delusion)과 환각(Hallucination)이다.



망상 - 있지도 않은 사실을 상상하여 마치 사실인양 굳게 믿는 일

환각 - 실제로는 자극이나 대상이 없는데도 그것이 실재하는 듯이

          감각적으로 느끼거나 느꼈다고 생각하는 감각



이런 망상과 환각이라는 용어의 정의는 정상인의 눈으로

비추어진 것이다.

감각과 의식이 제한된 정상인은 비정상인의 초월상태를

그렇게 규정할 수 밖에 없다.

정상인이라도 어떤 신비적 종교적 체험에 들어가면

있지도 않는 향 냄새를 맡는다던지 천사의 찬양소리를 듣는다는지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다던지 할 수 있다.

성경에도 예언자 사무엘은 어릴적에 사무엘아 사무엘아 하는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스승의 음성으로 오해한적이 있다.



우주는 기계가 아니다. 유기적으로 하나의 생명체와 같은 것이다.




참고도서: 신과학 산책 - 김영사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68 (동영상시) 어느 따뜻한 날 One Warm Day 차신재 2016.12.01 74609
2267 화가 뭉크와 함께 이승하 2006.02.18 2337
2266 (낭송시) 사막에서 사는 길 A Way To Survive In The Desert 차신재 2016.02.25 1948
2265 불러봐도 울어봐도 못 오실 어머니 이승하 2010.08.26 1554
2264 봄의 왈츠 김우영 2010.03.03 1431
2263 희곡 다윗왕가의 비극 -나은혜 관리자 2004.07.24 1423
2262 희곡 다윗왕과 사울왕 -나은혜 관리자 2004.07.24 1422
2261 가시버시 사랑 김우영 2010.05.18 1405
2260 리태근 수필집 작품해설 김우영 2010.07.11 1342
2259 김천화장장 화부 아저씨 이승하 2009.09.17 1312
2258 아버님께 올리는 편지 -이승하 관리자 2004.07.24 1276
2257 플라톤 향연 김우영 2010.02.24 1229
2256 김우영 작가의 산림교육원 연수기 김우영 2012.06.25 1219
2255 중국 김영희 수필 작품해설 김우영 2011.06.18 1195
2254 우리 시대의 시적 현황과 지향성 이승하 2005.02.07 1158
2253 코메리칸의 뒤안길 / 꽁트 3제 son,yongsang 2010.08.29 1152
2252 미당 문학관을 다녀 오면서 file 김사빈 2010.06.23 1085
2251 노벨문학상 유감 황숙진 2009.10.11 1081
2250 돌아가신 어머니, 아버지가 남긴 편지 이승하 2011.04.30 1076
2249 잊혀지지 않은 사람들 박동수 2010.07.26 106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