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6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리는 동그라미 한가족  


2013년 02월 27일 (수)  김우영 <작가. 한국문인협회>  webmaster@cctimes.kr  


    
  
    
  
김우영 <작가. 한국문인협회>

얼마 전 지인의 초청으로 중국 북경에 갔다. 마침 한겨울에 가게 되었는데 북경의 겨울이 유난히 추웠다. 넓디넓은 시내에 하얀 눈이 쌓이고 그 위를 차들이 거북이걸음을 하고 있었다. 매서운 찬바람이 도로와 골목에 몰아쳐 중국 겨울대지에 칼바람이 불고 있었다.

그 추운 겨울 우리 일행은 아름다운 만리장성의 설경을 보기 위해 조심스럽게 운전하며 팔달령 산협으로 가고 있었다. 만리장성엔 새하얀 눈이 소나무와 바위에 소복하게 쌓여 바람에 날리고 있었다. 그 설경은 중국이나 한국이나 별다른 게 없었다. 저만치 산허리께로 토끼 한 마리가 달려가는 게 보인다.

“야, 저어기 토끼다아---우리 한국 토끼와 같네에----허허허---”

잠시 내 고향 충남 서천의 어린 시절의 겨울정경이 떠올랐다. 한겨울 하얀 눈이 내리면 우리는 으레 토끼사냥에 나섰다. 뒤 곁 장독에 쌓인 눈을 뭉쳐 휑하니 닭장을 향하여 던진다. 그러면 닭들이 놀라 ‘꼬꼬댁---꼬꼬댁---’ 하고 놀라고, 옆에 있던 누렁이란 놈도 ‘멍멍-- 멍멍--’ 하고 꼬리를 흔들며 눈뭉치를 따라 달려 나간다.

우리는 운동화를 지푸라기로 단단히 매고 털모자를 꾹 눌러쓰고는 한 무리의 동네 형들과 집을 나선다. 앞산 산협에 V자 좁은 계곡에 먼저 그물을 쳐놓고 형들과 우리는 먼 곳의 넓은 지형에서부터 좁은 계곡을 향하여 몰아간다.

“우우---우우----”

겨울 토끼몰이는 넓은 곳에서부터 좁은 아래의 V자 계곡으로 점점 좁혀 가는데 그 영역 안에 있는 토끼나 노루를 잡는 것이다. 이렇게 우우---우우--- 산협을 타며 몽둥이로 나무를 툭툭 치며 함성을 지르고 토끼몰이를 한다. 그날의 수확은 적어도 토끼 서 너 마리와 노루 한두 마리는 그물에 걸린다.

이런 날은 동구 밖 주막으로 몰려가 토끼 탕을 끓이고 노루피를 마시며 횡재를 하는 날이다. 주막집 처마 위로 노란 보름달이 떠오른다. 막걸리에 얼굴이 붉어지기 시작하고 우리는 사랑방에 빙 둘러 앉아 화투를 치기 시작한다.

즐거운 시간을 지내다보면 어느새 들창문엔 여명이 다가온다. 토끼 탕과 노루 피에 에너지를 힘껏 저장한 우리 화투꾼들은 주막집 방죽가에 나란히 서서 헤헤거리며 오줌을 갈겨댄다.

“야, 내 오줌발이 쎄냐? 네 오줌발이 쎈지 시합하자!”

“그래 내 오줌발은 저 방죽을 넘어 동네까지 날아간다아--”

“그래 내 오줌발은 이 방죽을 건너 동네를 돌아 저 읍내로 향한다아 -- 이 녀석들아----”

토끼사냥과 주막집 화투로 긴 겨울밤을 지새우다보면 새날이 밝아오듯 겨울이 동구 밖으로 빠져나간다. 그리고 앞산 계곡 얼음물이 녹아 시냇물로 흐르면서 새 봄이 시나브로 다가온다. 그리노라면 우리들은 부모님을 도와 1년 농사 준비를 하곤 했다.

이제는 지구촌 한 가족이다. 자연이 있고 인류가 오밀조밀 살아가고 있다. 겨울이 가면 봄이 오고, 봄이 가면 여름이, 가을이 오듯 아름다운 산하에서 지구촌 한 가족으로 동그라미를 그리며 더불어 살아가자.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8 외로운 가로등 강민경 2014.08.23 457
587 외연外緣 file 유성룡 2006.08.06 195
586 요단 강을 건너는 개미 성백군 2014.04.12 303
585 시조 용궁중학교 친구들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11.06 100
584 용서를 구해보세요 김원각 2 泌縡 2021.02.28 192
583 우듬지 나뭇잎처럼 / 성백군 하늘호수 2021.04.14 122
582 우리 동네 잼버리 / 성백군 하늘호수 2023.10.03 153
581 우리 둘만의 위해 살고 싶다 / 김원각 泌縡 2020.07.15 88
580 우리 모두가 기쁘고, 행복하니까! / 필재 김원각 泌縡 2019.12.07 69
579 시조 우리 사랑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1.02.26 160
578 시조 우리 사랑 / 천숙녀 file 독도시인 2022.03.05 133
577 우리 시대의 시적 현황과 지향성 이승하 2005.02.07 1158
576 수필 우리가 문학을 하는 이유 김우영 2014.11.23 328
575 우리가 사는 여기 김사빈 2007.03.15 240
574 수필 우리가 사는 이유 son,yongsang 2016.01.13 186
» 우리는 동그라미 한가족 김우영 2013.02.27 263
572 우리는 마침내 똑같다 / 성백군 하늘호수 2018.07.17 87
571 우리들의 시간 김사빈 2007.10.30 178
570 우리들의 애인임을 강민경 2019.01.26 172
569 우리의 상황들 savinakim 2013.07.29 268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