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미순 시집-꽃들은 바쁘다

2018.10.01 01:52

미주문협 조회 수:190

배미순 시집-꽃들은 바쁘다.jpg


  •               
  • 부재하는 동시에 현존하는 ‘당신’의 존재
    시인의 오랜 연륜에서 배어 나오는 겸허함


    문학수첩 시인선 110번째 책 [꽃들은 바쁘다]가 출간되었다. 배미순 시인의 다섯 번째 시집인 [꽃들은 바쁘다]는

    곁에는 부재하지만 동시에 일상 곳곳에 현존하는 절대적 대상인 ‘당신’의 존재를 노래하고 있다.
    “도가도비상도(道可道非常道)”는 [도덕경(道德經)] 첫머리에 나오는 구절로, ‘도(道)라고 말할 수 있는 건 도가 아니다’라는 뜻이다. 도는 보거나 듣거나 만질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감각은 진리를 깨우치는 데 방해가 되는 일이 많기에, 오감이 아닌 마음의 눈과 귀를 뜨는 것이 중요하다는 일깨움이다. 마음의 눈과 귀를 뜨라는 것은 세상에 부재하면서 현존하는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깨달으라는 가르침이기도 하다. 배미순 시집 [꽃들은 바쁘다]의 중심은 바로 이와 같이 부재를 통해 감각적으로 그려 내는 ‘당신’의 존재성에 있다. 배미순의 시세계는 오랜 연륜에서 배어 나오는 겸허함으로 ‘당신’을 노래한다.

    바로 서 있지 못하고 몸져 누운 나무
    누워서도 끝내 쓰러지지 못하는 나무는
    당신을 꼭 닮았습니다.
    평범한 사물들도 낯선 것들이 된 지금
    하늘과 땅과 세상도 새롭게 투시하면서
    다른 나무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다른 나무들이 결코 듣지 못하는 것을
    세밀하고 은밀하게 보고 들으며
    혹독한 이승의 한때를 견뎌내야 하는
    당신을 꼭 닮았습니다.
    그렇습니다.
    이제야말로 소중한
    당신의 연대기를 쓸 차례입니다.
    ('겨울나무, 그 직립은' 중에서)

    ‘당신’은 시적 화자 주변에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하는 희망과 빛과 온기와 보살핌의 대상이다. [꽃들은 바쁘다]에 실린 시들은 부재를 통해 현존하는 절대적 ‘당신’의 다양한 변주곡이다. 배미순의 시세계는 감각적으로 보고 듣지 못하는 절대적 ‘당신’을 생활 속에서 자재롭게 인식하고 있다. 세상의 참된 가치와 뜻은 감각적인 눈과 귀가 아닌 마음의 눈과 귀로 감지하고 호흡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65805.jpg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9 이원택의 세상 엿보기-분광경 file 미주문협 2018.12.01 204
    288 홍영옥 소설집-어디에 있든 무엇을 원하든 file 미주문협 2018.11.19 157
    287 김정숙 동시조집-이민학교 일학년 file 미주문협 2018.11.01 206
    286 나삼진 에세이집-샬롬을 꿈꾸다 file 미주문협 2018.10.18 297
    » 배미순 시집-꽃들은 바쁘다 file 미주문협 2018.10.01 190
    284 김수영 시집-그리운 손편지 file 미주문협 2018.09.15 204
    283 박인애 시집-말은 말을 삼키고 말은 말을 그리고 [1] file 미주문협 2018.08.31 209
    282 조윤호 시집-사랑의 빛 file 미주문협 2018.08.16 208
    281 나삼진 시집-배와 강물 file 미주문협 2018.07.31 159
    280 전희진 시집 우울과 달빛과 나란히 눕다 file 미주문협 2018.07.15 262
    279 시와 정신 2018 여름호 file 미주문협 2018.07.01 203
    278 홍용희 평론집-통일시대와 북한문학 file 미주문협 2018.06.14 262
    277 김성진 소설-클라우디 file 미주문협 2018.05.29 201
    276 이신우 시집-소리없이 흐르는 강 file 미주문협 2018.05.14 346
    275 김모수 시집-아름다운 황혼 file 미주문협 2018.05.01 794
    274 김완하 시집-집 우물 file 미주문협 2018.04.13 316
    273 장석윤시집-이것이 인생이다 [1] file 미주문협 2018.04.01 521
    272 김신웅 시집-질 때도 필 때같이 file 미주문협 2018.03.15 210
    271 김은자 시집-비대칭으로 말하기 [1] file 미주문협 2018.03.01 413
    270 이성숙 산문집-고인물도 일렁인다 file 미주문협 2018.02.16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