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 016.JPG동창 이태영 작품


고바우가 그리울 때 3-16-2020 / 김영교


이곳 LA에는 먹을 만한 음식점이 꾀 많다. 음식점은 교통도 주차도 편리해야 하고 뭐니 뭐니 해도 맛으로 승부를 건다. 죽기 아님 살기식으로... 내 발길이 잘 가는 식당 중에는 한 주인이 30년 넘게 영업하는 곳이 여럿 있다. 강남회관, 동일장, 길목, 그리고 고바우 등이다. 그 외에도 여럿 있겠지만 내가 잘 안가는 식당이라 언급을 피한다. 모두가 그 식당 나름대로 특미를 걸고 친절과 정성으로 손님을 맞는다.


코너 풀레이스는 길목국수를 즐기신한 어머니의 단골 식당이다. 어디 먹집이 한두군데랴만 ‘길목동침이 국수집은 LA공항에 내리면 가는 직행 연장노선이다. 얼마 전에 영국에서 온 민정이와 혜민이만 봐도 그랬다. 장시간의 비행 피로는 온데간데없다. 동침이 국수 한 그릇이 처방약이었다. 리프레쉬 해주는 동침이 국수, 금방 생기 팔팔한 사람 배추가 되었다. 신기했다. 느끼함을 없에주는 이 개운한 동침이의 고마움은 엄지 짱이다. 계속 읊어댔다. 이제는 살 것 같다고 기염을 토하던 그때 그 모습이 아직도 눈에 선하다. 결혼, 첫애기 산후 지금 무척 힘들 텐데 정신 바싹 나게 하는 이 신선한 동침이 국수 한 그릇, 영국에 택배할 수는 없을까? 식당 홍보 광고처럼 들릴까 저어된다.


고바우는 예약을 받지 않는 바쁜 식당이다. 오는 순서대로 빈자리를 배당받는다. 식당평가에서 별 5개를 받았다. 늘 북적댄다. 오래 기다리는 것도 상관 않는 단골들이다. 보쌈과 쟁반국수, 된장찌개 맛을 늘 기억하는 손아래 안선혜시인은 신장 투석환자이다. 오랜 투석환자인 송석증시인도 소원이 고바우에서 보쌈을 먹는 것이라고 했다. 예약은 식당 방침에 어긋나 거절당한 얘기를 나에게 들려주었다. 기다릴 수 없는 두 시인 다 신장 투석 스케줄 때문이라는 고백을 듣고 속이 답답해 왔다.


자초지종 끝에 드디어 예약을 받아냈다. 약속된 날 우리 식탁은 선물과 덤의 감자전과 빈대 부침이 나와 두 투석환자를 눈부시게 해줬다. 나는 눈보다 마음이 더 부셨다. 오랜 세월 성업 중인 성공비결이 바로 음식 맛 풀러스 이런 감동을 주는 친절 비방이 숨어있었구나 싶었다.


고바우를 모르는 사람도 있을까? 내 또래의 사람치고. 나는 고바우란 이름이 좋았다. 초지일관 변덕없는 든든한 바위다. 옛날에 금잔디 시절 우리는 김성환이란 화가를 좋아했다. 고바우란 시사만화를 신문에 연재하면 통쾌도는 극치였다. 그 시원한 인기를 공감, 절감한 그 고바우를 평생 잊을 수가 없다. 이곳 고바우 식당에 가기만 하면 그 옛날이 떠오른다. 1950년에서 2000년을 살아온 사람들은 고바우 향수병이 있을 법하다. 고바우 탄생 50주년 기념우표까지 발행했을 정도로 생활과 밀접한 정감의 고바우 영감이다.


예쁘게 포장해서 우리 세 사람에게 선물로 준 머그잔으로 차를 마실 때마다 고바우가 생각난다. 그 기업철학과 맛이 오래 오래 LA를 즐겁게 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안선혜시인은 몇 년째 계속 치료 중이고 송석증 시인은 작년에 타계했다. 살아생전에 고바우 별식을 대접할 수 있어서 다행이었다. 식당 측의 배려가 고마웠다. 명복을 빈다. 근간에 안선혜 시인을 불러 함께 된장찌개 먹으러 고바우에 갈 참이다. 건강이 호전되기를 간절히 비는 내 마음도 동행할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0 지상의 인간은 행복하다 김영교 2002.11.29 829
669 눈 내리는 연하장 김영교 2002.12.31 672
668 신년인사 김영교 2003.01.06 488
667 사이버 뚝베기 김영교 2003.01.26 586
666 젖는 것은 눈물만인가 김영교 2003.02.12 448
665 행복한 인연-손녀와의 데이트 김영교 2003.02.12 451
664 둥근 귀 하나 김영교 2003.02.13 499
663 이사가신 시인 목사님께 김영교 2003.02.22 752
662 바다는 시집 김영교 2003.03.05 482
661 사막의 초승달 김영교 2003.03.11 473
660 향(向)죽음의 계곡 김영교 2003.03.11 599
659 작은 그릇 김영교 2003.03.14 479
658 아버지 바다 (영상시) 김영교 2003.03.23 585
657 Clasical Music 동시영상 김영교 2003.03.29 801
656 그 미소 김영교 2003.03.31 436
655 강가에 서서 김영교 2003.03.31 407
654 절벽에서 (접힌 날개) 김영교 2003.03.31 427
653 아버지 바다 (영상시) 김영교 2003.04.02 438
652 마르지 않는 샘 김영교 2003.04.02 340
651 어떤 고백 김영교 2003.04.07 393

회원:
1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12
어제:
16
전체:
648,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