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어 표기법을 논한다. <13>

2007.04.08 14:31

뿌리깊은나무 조회 수:291 추천:4

외래어 표기법을 논한다. <13>
외래어 표기법 제 3항은 “외래어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적는다.”라고 되어 있다.
이에 근거하여 “단모음 다음의 어말 무성음은 받침으로 적는다는 규정이 있다. 예를 들어 tip[tip]은 [티프]가 아닌 [팁]이고, Jack은 [잭]이다. 그러나 그 어말 무성음이 [t]이고 1음절어일 경우에는 ‘으’를 붙여 새 음절을 만드는 게 자연스럽다. net, set. mat, bit, dot, mitt 등은 [네트], [제트], [세트], [매트], [비트], [도트], [미트] 등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우리말 우리글 바로쓰기> 120쪽)

위 설명의 모순을 지적해 보면, net, jet, set, mat, bit, dot 등은 tip이라는 낱말과 다름없이 모두 단음절의 낱말인데 tip은 [팁]으로 표기하고, net, jet, set, mat, bit, dot 등은 [네트], [제트], [세트], [매트], [비트], [도트] 표기해야 된다는 것에 있다.
이런 까다로운 규정으로 인해서 모든 백성들이 한글을 어렵다고 한다.
제3항의 규정은 훈민정음 창제정신에 크게 위배되는 동시에 한글의 과학성을 무시하는 조항이다.
한글은 비단 우리말뿐만 아니라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소리를 글자로 적을 수 있을 정도로 정밀하게 만들어 놓은 가장 완벽한 소리글자다.
우리말 속에 없는 어떤 새로운 소리라도 거침없이 대처할 수 있도록 병서(竝書)와 연서(連書)라는 규칙을 만들어 놓았다.
병서(竝書) 규칙만 따지더라도 한글은 실로 천문학적인 숫자에 달하는 소리글자를 만들어 쓸 수 있다.
더구나 세종대왕께서는 어제 훈민정음(御製訓民正音)에서 “終종聲성復복用용初초聲성”이라 하여 무릇 17개의 모든 첫소리글자를 끝소리글자로 쓰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외래어를 표기함에 있어서 끝소리글자를 단지 7개의 글자만 사용해야 된다는 현행 <외래어 표기법> 제 3항의 조항은 17개의 첫소리글자는 전부 끝소리글자로 쓸 수 있다고 한 훈민정음의 창제정신을 말살한 조항임에 틀림없다.
이는 또한 net, jet, set, mat, bit, dot 등을 [넽], [젵], [쎝], [맽], [빝], [돝] 등과같이 비록 서양 말소리라도 완벽하게 표기할 수 있는 한글의 과학성을 부정한 조항이다.
특히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할 문제는 net, jet, set, mat, bit, dot 등을 [네트], [제트], [세트], [매트], [비트], [도트] 등으로 표기하는 것은 일본식 표기법이라는 것이다.
일본말에는 끝소리가 거의 없어서 대체로 모든 말소리가 열린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모든 소리가 열린 소리로 되어있어서 net, jet, set, mat, bit, dot를 [ネット(넫또)], [ジェット(젣또)], [セット(섿또)], [マット(맏또)], [ビット(빋또)], [ドット(돋또)] 등으로 발음할 수밖에 없는 언어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모두 열린 소리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의 영어 낱말들은 분명히 닫힌 소리다.
우리의 언어구조는 자유자재로 열린 소리는 열린 소리대로, 닫힌 소리는 닫힌 소리로 발음할 수 있다.
그런데도 일본 사람들처럼 모두 열린 소리로 쓰고 발음해야 되는 이유를 이해할 수가 없다.

더구나 훈민정음 창제정신과 과학성을 무시하는 처사는 겹받침을 쓰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외래어 받침에는 물론 겹받침을 써서도 안 된다. ‘맑스’와 같은 표기는 옳지 않다. ‘마르크스’라고 적어야 한다.” (<우리말 우리글 바로쓰기> 115쪽)

Marx의 영어 발음기호는 [mɑ:rks]이고, 독일 발음기호는 [marks]로 소리는 같으나 영어는 긴소리로 발음하는 것이 다르다.
즉 영어 발음은 [마앍쓰]이고 독일 발음은 [맑쓰]로 소리는 같으나 길고 짧음의 차이다.
여기에서 주의 깊게 관찰해야할 것은 [r]의 소리다.
영어 발음에서는 [r]이 기울어져 있지만 독일 발음에서는 [r]로 되어 있다.
그러나 양쪽 모두 [r]은 반모음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일본 사람들은 이것을 자음의 소리로 처리하였기 때문에 [ル(루)]로 발음하는 것이다.
그 결과 영어 발음이든 독일 발음이든 모두 [マルクス(마루꾸스)]로 발음한다.
또한 그들은 우리처럼 겹받침의 말을 하지 못하는 언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マルクス(마루꾸스)]의 소리와 현행 표기법에 따라 표기된 [마르크스]의 소리를 비교해 보면 알겠지만 [마르크스]라는 소리는 일본의 [マルクス(마루꾸스)]의 소리를 완전히 모방한 것이다.
“외래어 표기는 국어의 특성을 지켜서 표기해야 된다.”고 역설하고 있다.(<우리말 우리글 바로쓰기> 114쪽)
즉 [네트], [제트], [세트], [매트], [비트], [도트] 등으로 표기해야 우리말 특성을 지키는 것이고, [넽], [젵], [쎝], [맽], [빝], [돝] 등과같이 표기하는 것은 우리말의 특성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일본식 발음을 따라야 한다는 뜻이 된다.
과연 일본식 발음을 따르는 것이 우리 국어의 특성을 지키는 것인가?
우리말이 어째서 일본식을 따르지 않으면 안 되는가?
이런 상황을 보면 일제의 쇠사슬을 벗어 난지 반세기가 넘었어도 우리나라 국어학계는 여전히 일제의 쇠사슬에 얽매어 있다.
우리말과 일본말은 특성이 근본적으로 다르다.
그런데 학자들이나 정책 당국자들은 일제 때 배운 일본 말법을 무조건 우리말에 접목시키고 마치 우리 말법인양 행패를 부리고 있다.

더욱이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한다.”(<외래어 표기법 제5항)는 규정은 일제의 잔재라 할지라도 바꾸지 못한다는 규정이다.
역시 대한민국은 일본의 언어 식민이라 하지 않을 수 없는 현실을 개탄한다.

한글 연구회
최 성철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허경옥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3.09.17 1439
공지 '차덕선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2.05.21 1401
공지 김준철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2] 미주문협 2021.03.18 42410
공지 정종환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3.17 16899
공지 민유자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2.24 1738
공지 박하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2.24 53788
공지 ZOOM 줌 사용법 미주문협 2021.01.04 1675
공지 줌 사용법 초간단 메뉴얼 미주문협 2021.01.04 1698
공지 안규복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9.10 1764
공지 박복수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6.26 2164
공지 김원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2.26 1870
공지 하정아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9.01.21 2122
공지 안서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9.01.21 1872
공지 '전희진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9.01.09 1955
공지 김하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8.09.26 1893
공지 신현숙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8.09.26 1846
공지 최은희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8.06.16 2020
공지 '이신우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8.04.27 1786
공지 이효섭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14 2042
공지 이만구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7.12.14 2646
공지 양상훈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04 1881
공지 라만섭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04 1780
공지 김태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7.08.01 2014
공지 '조형숙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7.07.07 2012
공지 '조춘자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7.07.07 1972
공지 '이일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5.08 1924
공지 '이산해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4.10 1898
공지 강화식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2.24 1914
공지 최선호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11.30 2477
공지 강신용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7.21 1882
공지 정문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6.23 1865
공지 강창오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4.04 2071
공지 '이원택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9.08 2039
공지 '장선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9.08 1865
공지 '강성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8.07 1917
공지 '김영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8.07 1896
공지 '박무일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21 1930
공지 '임혜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8 1904
공지 '백남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8 1831
공지 '최익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847
공지 '오영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840
공지 '이기윤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2043
공지 '윤금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900
공지 '구자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936
공지 '신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808
공지 '박정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835
공지 '박경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840
공지 '김혜령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888
공지 '조정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859
공지 '김사빈의 문학서재' 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850
공지 '배송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871
공지 '지희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918
공지 '정어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834
공지 '권태성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871
공지 '김동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986
공지 '서용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932
공지 '이상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922
공지 '백선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957
공지 '최향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911
공지 '김인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930
공지 '정해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917
공지 '이영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3 1986
공지 '안선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3 1818
공지 '박효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857
공지 '장정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846
공지 '미미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839
공지 '최영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1839
공지 '이성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1813
공지 '정찬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1851
공지 '장효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9 1880
공지 '손용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9 1909
공지 '오연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6 2022
공지 '이윤홍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5 1906
공지 '차신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5 1890
공지 '윤혜석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1 1899
공지 '김명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892
공지 '고대진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911
공지 '최상준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869
공지 '전지은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863
공지 '박봉진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984
공지 '홍인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2005
공지 '기영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0 1865
공지 '최문항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5 1799
공지 '김현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4 1862
공지 '연규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2 1877
공지 '홍영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2 18127
공지 '이용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8 1848
공지 '김태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7 1905
공지 '김수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5 1906
공지 '김영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5 1851
공지 '김희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4 1893
공지 '박인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4 1868
공지 '노기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936
공지 '김학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938
공지 '이용우의 문학서재'가 개설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890
공지 '최미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9 1910
공지 '김영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9 1919
공지 '조옥동, 조만연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8 2543
공지 '성민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899
공지 '전상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882
공지 '한길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862
공지 '박영숙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4 1954
공지 '채영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3 2185
공지 '강학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3 1921
공지 '정국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2 1927
공지 '성영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2]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7 1954
공지 '안경라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7 2009
공지 '고현혜(타냐고)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4 37270
공지 "김영교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5 1950
공지 "석정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4 1962
공지 "장태숙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3 1892
공지 "이월란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4]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2 6503
공지 '문인귀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1 23792
공지 '정용진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0 1937
공지 '이주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19 2007
공지 "유봉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18 2053
256 수정, 일본어 번역 부탁 석류나무 2007.03.18 244
255 큰것을 못보는 소인 석류나무 2007.04.21 220
254 가입 인사 드립니다. 이인범 2007.04.21 92
253 아름다움을 시험하는 시간 제니리 2007.03.14 176
» 외래어 표기법을 논한다. <13> 뿌리깊은나무 2007.04.08 291
251 정확한 시간 환산표 석류나무 2007.03.11 613
250 한글 도~대체 이~게 뭡니까? 석류나무 2007.04.05 164
249 문화의 질과 국력 추가 석류나무 2007.03.08 130
248 종군위안부 사과 여부 투표 요청 (긴급) 한국인 2007.03.07 139
247 문화적 담론과 국력 <3월의 글> 안경라 씀 석류나무 2007.03.07 545
246 어머니의 사랑은 노예의 씨앗 석루나무 2007.03.06 309
245 장수 longevity 연구 석류나무 2007.03.03 126
244 음식 먹을때 소리내면 후진국민 인가 석류나무 2007.03.03 271
243 시와 수필 사이버 공모 Hye Kim 2007.03.02 128
242 문화적 담론과 국력 안경라 2007.03.02 126
241 광기의 시대는 끝났다 안경라 2007.03.02 163
240 연속극 palace 석류나무 2007.03.01 187
239 사랑 칭찬으로 뭉쳐진 교육학, 상담학 석류나무 2007.03.01 170
238 계간<미주문학> 신인상 작품모집 미문이 2007.03.01 154
237 참정권레터(4) 본국 참정권 정진단장이 풀어 주십시오. 세계로 2007.02.26 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