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정이 훨씬 넘은 시간에 / 김영교

2011.12.15 07:06

김영교 조회 수:573 추천:97

- 선배 시인의 병상에 올립니다

그날은 고원문학상 시상식이 있는 날이었다. 플로리다에서 온 수상자 마종기시인을 만나러 그 장소로 향하는 내 발길은 날개를 달기나 한듯  경쾌했다. 그동안 보지 못한 여러 낯익은 얼굴들을 만나 반가움을 나누며 문안을 주고받았다. 소설가 이용우선생의 배려로 시집 한권이 정갈한 사인을 담고 내 품에 안겨진 것은 자리에 앉은 지 얼마 되지 않아서였다.

'김영교 선생께 2012년 늦가을 박만영드림'
내 발등의 불을 끄느라 그동안 골몰했었다. 선생님의 체온이 느껴지는 육필을 대하며 찌잉- 감전되듯 아파왔다.
찾아뵙지 못한 그동안 시집을 펴내시고  치료 입원중이시라니 이 후배의 결례를 용서해주시지요, 하고 빌었다.

지금 병원에 계신 박만영 시인은 92세시다. 다섯 번째 시집 <여기에 살고 있다> 를 펴내셨다. 우선 감축 드린다. 배경이 병상이지만 후배들을 위한 따뜻한 조언과 지혜를 담은 시집이다. 모국어 사랑과 자연사랑, 환경오염등 유언처럼 잔잔하게 풀고 있다. 열정이 대단한 골동품 수집가이자 독서광으로 늘 단정한 차림의 경상도 신사, 터들 스웨터를 즐겨 입으시는 멋쟁이 시인, 장수를 누리시면서 주위의 존경을 받는 점은 자기를 표현하고 들어 낼 수 있는 자신만의 영역을 꾸준히 개발해 온 이유가 아닐까 싶다. 그 나이에 어떻게 건강관리를 철저히 해왔고 (지금에사 병원가료 중) 그 와중에 어찌 시간을 내어 틈틈이 글을 쓸 수 있었는지 그분의 치열한 자기관리와 단촐, 정결했을 내면세계가 보이는 듯 존경스럽게 여겨졌다. 집으로 돌아오는 발길이 많은 상념을 불러왔다. 언젠가 따끈한 황남빵 한 박스를 선물로 안겨주시던 기억이 달갑게 고개를 내민다. 뚫리는 듯 시원한 소통의 현장을 떠나면서 축하박수를 올려드리며 쾌차를 빌었다.

불경기로 직원 수를 줄인 남편 사무실에 도우미로 나가는 일과에다 머릿속은 온통 병원의 시어머니 일로 가득하다. 하루를 비워 글을 쓴다거나 몰두 할 때와는 거리가 먼 상황이다. 녹록찮은 현실이 나를 덮쳐 이대로 양보하고 말 것 같은 위기감마저 든다. 출판기념회나 문학세미나 월례회, 장례식등 피칠 못할 행사장에도 불참이 잦다.

아침에 일어나 밤에 잠자리에 들 때까지 여자는 일에 치여 부단히 지치고 조금도 여유가 없을 때가 많다. 부엌일이며 세탁물, 병원 방문등 거대한 물살에 휩쓸려 함께 흐를 것이냐, 아니면 거슬러 거부와 저항의 몸짓을 할 것이냐의 존재적 갈등 상황을 놓고 고민도 한다. 글쓰기를 업으로 살아가는 사람 말고 일반 생업을 가진 사람이 자신의 자투리 시간에다 자신의 세계를 세워 몰입하는 것을 볼 때 얼마나 힘들고 고귀하고 숭고하기조차 여겨진다. 일상에 찌든 생활인이라는 상투적 외피를 걸치고 헉헉 숨을 몰아쉬는 벅찬 일과와 싱갱이를 하는 내 스스로가 ‘참 자기’라 할 수 있는지 의구심이 일 때가 많다.

나를 경이로 몰고 가는 손아래 친구가 있다. 열무김치 한 병을 건네주고 훌쩍 가 버린다. 매 주말마다 거리선교 섬김에 동참하는 간호사였던 자매님은 지금은 피부관리사, 미용사로 일하면서 뒤늦게 시인의 꿈을 이루었다. 본국 문단의 주목을 받고 있는 주부시인, 집 안팍에서 최선을 다해 일하는 모습이 참으로 아름답게 보인다. 손수 담군 김치를 나누어 주는 기쁨이 이만저만이 아니라고 고백한다. 밤늦게 시를 쓴다. 박만영 선배시인처럼 꿈꾸는 시인이다. 김치담구기와 시 짓기가 씨줄날줄로 아름다운 하루하루 천을 직조하고 있다. 남몰래 얼마나 많은 시간을 습작에 몰두하는지 또 감자탕 같은 집밥 쿡킹을 즐기는지 그 열정이, 그 시간관리가 그저 놀라울 뿐이다. 이 늦가을 이 두 시인을 지켜보며 바쁘고 게으른 나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잠 안 자고 글을 쓰는 일이, 병력이 있어 젊지도 않은 나이에 공연히 몸만 축나지 하는 생각이 압도적일 때가 많다. 시간이 술술 모래알처럼 빠져나가는 것을 더욱 실감하게 되는 요즘, 이대로 상황에 끌려다 닐 수만은 없다는 처연한 다짐이 나를 흔들어 깨운다. 내가 내 하는 일의 주인이 되어야 한다는 각성이야 말로 나를 사랑하고 남은 시간을 사랑하는 일이라고 다그쳐 준다. 피 눈물 나는 글을 쓰는 사람은 분명 치열하게 삶을 껴안고 뒹구는 사람이지 싶다.

한 해의 끝자락이다. 손아래 친구나 병상의 선배 시인이 준 교훈은 보다 깊은 성숙과 불경기에 있는 정서 결핍을 섬세한 진동으로 치열하게 울림 북을 쳐 윈윈 세상에 다가가라고, 감동적인 글을 쓰는 그런 따스한 가슴이 되라고, 타이르고 있는것이다.

한국일보 12월 5일 2011 <삶과 생각> 칼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0 추석얼굴 / 김영교 김영교 2011.09.10 326
509 모정(慕情)미주문학 겨울2006 김영교 2006.10.02 330
508 빨간 흐름 김영교 2003.04.29 333
507 물방울이 되어 김영교 2005.12.26 333
506 형체도 없는 것이 - 2 김영교 2006.01.04 333
505 감사 바다 김영교 2003.04.21 336
504 형체도 없는 것이 - 3 김영교 2006.01.04 337
503 모천/김영교 김영교 2007.10.24 337
502 어디 있나요 김영교 2006.08.28 339
501 마르지 않는 샘 김영교 2003.04.02 340
500 목이 뻣뻣한 나무 심기 김영교 2006.09.07 341
499 이런 날에는 연이 되어 김영교 2007.08.31 341
498 우리집바다 김영교 2005.02.04 344
497 다가가기 (미주문학 여름호) 김영교 2006.07.26 345
496 서있는 미소 김영교 2004.05.21 346
495 보름달만 보면 김영교 2004.12.30 349
494 둥근 문 하나 김영교 2006.03.10 351
493 주말같은 친구 / 김영교 김영교 2011.09.17 352
492 우리들의 이야기 / 김영교 김영교 2011.09.17 352
491 기도의 불씨 하나 김영교 2003.08.22 353

회원:
1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0
어제:
14
전체:
648,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