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13 추천 수 3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조화로운 인간 관계란 주는 마음에서부터 시작된다. 받고자 하는 마음이 앞서면 상대는 문을 열지 않는다. 문을 열기는 커녕 경계하는 마음이 된다. 주는 마음은 열린 마음이다. 내 것을 고집하지 않고 남의 것을 받아들이는 마음이다. 그의 말을 들어주고 그의 마음을 받아 주는 것, 그것이 열린 마음이다. 무엇인가를 애써 주려고 하지 않아도 열린 마음이면 그것으로 족하다. 그냥 열린 마음으로 있어라. 가만히 있어도 열린 마음이면 그건 주는 마음이다. 나를 낮추는 것은 열린 마음의 시작이다. 나를 낮추고 또 낮춰 저 평지와 같은 마음이 되면 거기엔 더 이상 울타리가 없다. 벽도 없고 담장도 없다. 넓디 넓은 들판엔 수많은 꽃들이 다투어 피고 뭇 짐승들이 와서 머물고 머물다가는 떠난다. 그러나 거기엔 아무런 시비도 없다. 갈등도 없다. 장애도 없다. 거칠 것이 없기 때문이다. 고로 주는 마음은 열린 마음이요, 열린 마음은 자유로운 마음이다. 울타리가 좁으면 들어 설 자리도 좁다. 많이 쌓고 싶으면 울타리를 넓게 쳐라. 더 많이 쌓고 싶으면 아예 울타리를 허물어라. 넓은 들판엔 아무리 많은 양을 쌓아 놓아도 여전히 빈 자리가 남는다. 열린 마음은 강하다. 아무것도 지킬 게 없으니 누구와도 맞설 일이 없다. 맞서지 않으니 누구도 대적하려 하지 않는다. 그 마음은 곧 허공과 같을 진대 누가 감히 꺾으려 들겠는가. 높이 오를수록 낮아져야 한다. 많이 가질수록 가난해져야 한다. 목에 힘을 빼고 어깨에 힘을 빼라. 나를 낮추고 마음을 열어라. 진정 강해지려면, 어디에도 구속받지 않는 자유인이 되려면, 마음을 열고 끝없이 자신을 낮추어라. 저 광활한 들판이 어떤 것과도 자리 다툼을 하지 않듯이 열린 마음에는 일체의 시비가 끼어들지 않는다. 그리되면 모두가 나와 더불어 살고 아낌없이 나누기를 즐겨 할 것이다. 거기에 자유인의 길이 있다. 세상에 제 아무리 높은 것이라도 세우지 않은 것과 높이를 다툴 수는 없다. 그래서 낮은 것이 높은 것이고 열린 마음이 강하다는 것이다. 손은 두 사람을 묶을 수도 있지만 서로를 밀어 낼 수도 있다. 손가락은 두 사람을 연결시키기도 하지만 접으면 주먹으로 변하기도 한다. 많은 사람들이 어색하게 두 손을 내린채로 서서 서로를 붙잡지 못하고 있다. 지혜와 어리석음이 모두 손에 달려있다. 그런데 그 손을 움직이는 것은 마음이다. 준비되지 못한 내마음 준비되지 못한 어리석은 내손.. 남에게 손가락질 할 때마다 세개의 손가락은 항상 자기 자신을 가리키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1. No Image 11May
    by 김영교
    2007/05/11 by 김영교
    Views 111 

    * 나눔에 대한 묵상기도 *

  2. No Image 10Apr
    by 김영교
    2005/04/10 by 김영교
    Views 75 

    ** 멋있는 사람 **

  3. No Image 20Oct
    by 김영교
    2008/10/20 by 김영교
    Views 206 

    A poem for you

  4. No Image 06Sep
    by 김영교
    2007/09/06 by 김영교
    Views 142 

    The Diamond Ring

  5. No Image 06Nov
    by 김영교
    2007/11/06 by 김영교
    Views 113 

    낮추면 비로소 높아지는 진실 *

  6. No Image 05May
    by 김영교
    2007/05/05 by 김영교
    Views 96 

    <어떤 좋은 저녁> 그 다음

  7. No Image 09Jan
    by 김영교
    2005/01/09 by 김영교
    Views 151 

    '어머니는 늙지 않는다.' -정호승님의 수필

  8. No Image 08Nov
    by 김영교
    2007/11/08 by 김영교
    Views 112 

    *돼지 死亡 보고서*

  9. No Image 04Jul
    by 김영교
    2006/07/04 by 김영교
    Views 70 

    - 마음에 무엇을 담겠습니까? -

  10. No Image 27Sep
    by capistrano
    2006/09/27 by capistrano
    Views 85 

    10 Daily Commendments

  11. No Image 25Apr
    by 김영교
    2005/04/25 by 김영교
    Views 211 

    10신

  12. No Image 25Nov
    by 김영교
    2007/11/25 by 김영교
    Views 236 

    10행시/3목양 산상 기도원에서 / 미발표

  13. No Image 08Nov
    by 김영교
    2007/11/08 by 김영교
    Views 332 

    17년의 세월 매미

  14. No Image 31Jul
    by 애천
    2009/07/31 by 애천
    Views 402 

    1분 묵상/시인 프로스트

  15. No Image 29Aug
    by 애천
    2009/08/29 by 애천
    Views 333 

    1분 묵상/열매

  16. No Image 25Apr
    by 김영교
    2005/04/25 by 김영교
    Views 125 

    1신

  17. No Image 24Dec
    by 김영교
    2004/12/24 by 김영교
    Views 124 

    2004년을 보내면서

  18. No Image 23Mar
    by 김영교
    2007/03/23 by 김영교
    Views 218 

    2007년 3월 권사회 3월 월례회

  19. No Image 07Jun
    by 김영교
    2004/06/07 by 김영교
    Views 91 

    20통 편지 다발에 가슴도 울고

  20. No Image 30May
    by 김영교
    2008/05/30 by 김영교
    Views 137 

    21세기의 해프닝 광우병 소동-박종문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0 Next
/ 30

회원:
1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27
어제:
28
전체:
648,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