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29 추천 수 4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물건과 인연을 맺는다. 물건 없이 우리들의 일상생활은 이루어질 수 없다. 인간을 가리켜 만물의 영장이라 하는 것도 물건과의 상관 관계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내면적인 욕구가 물건과 원만한 조화를 이룰 때 사람들은 느긋한 기지개를 켠다. 동시에 우리들이 겪는 어떤 성질의 고통은 이 물건으로 인해서임은 더 말할 것도 없다. 그 중에도 더욱 고통스러운 것은 물건 자체에서보다도 그것에 대한 소유 관념 때문이다. 자기가 아끼던 물건을 도둑맞았거나 잃어 버렸을 때 그는 괴로워한다. 소유 관념이란 게 얼마나 지독한 집착인가를 비로소 체험하는 것이다. 그래서 대개의 사람들은 물건을 잃으면 마음까지 잃는 이중의 손해를 치르게 된다. 이런 경우 집착의 얽힘에서 벗어나 한 생각 돌이키는 회심回心의 작업은 정신 위생상 마땅히 있음직한 일이다. 따지고 보면, 본질적으로 내 소유란 있을 수 없다. 내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온 것이 아닌 바에야 내 것이란 없다. 어떤 인연으로 해서 내게 왔다가 그 인연이 다하면 가 버린 것이다. 더 극단적으로 말한다면, 나의 실체도 없는데 그밖에 내 소유가 어디 있겠는가. 그저 한동안 내가 맡아 있을 뿐이다. 울타리가 없는 산골의 절에서는 가끔 도둑을 맞는다. 어느 날 외딴 암자에 '밤손님'이 내방했다. 밤잠이 없는 노스님이 정랑엘 다녀오다가 뒤꼍에서 인기척을 들었다. 웬 사람이 지게에 짐을 지워놓고 일어나려다 말고 일어나려다 말고 하면서 끙끙거리고 있었다. 뒤주에서 쌀을 한 가마 잔뜩 퍼내긴 했지만 힘이 부쳐 일어나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노스님은 지게 뒤로 돌아가 도둑이 다시 일어나려고 할 때 지그시 밀어주었다. 겨우 일어난 도둑이 힐끗 돌아보았다. "아무 소리말고 지고 내려가게" 노스님은 나직이 타일렀다. 이튿날 아침, 스님들은 간밤에 도둑이 들었다고 야단이었다. 그러나 노스님은 아무 말이 없었다. 그에게는 잃어버린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 본래부터 한 물건도 없다는 이 말은 선가禪家에서 차원을 달리해 쓰이지만 물건에 대한 소유 관념을 표현한 말이기도 하다. 그 후로 그 밤손님은 암자의 독실한 신자가 되었다는 후문이다. 1970 - 법정 스님의 '무소유' 중에서 -

  1. No Image 27Jun
    by 김영교
    2004/06/27 by 김영교
    Views 83 

    바람부는 산사

  2. No Image 27Aug
    by 나암정
    2005/08/27 by 나암정
    Views 152 

    밝은 미소 듬뿍 안고 온 ( 미미 박 편)

  3. No Image 06Jan
    by 남정
    2006/01/06 by 남정
    Views 104 

    백우석의 줄기세포

  4. No Image 20Feb
    by 김영교
    2005/02/20 by 김영교
    Views 75 

    변화되어 변화시키자 (롬 12:2)

  5. No Image 29Nov
    by 김영교
    2005/11/29 by 김영교
    Views 70 

  6. No Image 15Jul
    by 김영교
    2007/07/15 by 김영교
    Views 149 

    별은 쏟아져 들어오고...

  7. No Image 02Aug
    by 김영교
    2005/08/02 by 김영교
    Views 92 

    병이 없는 인생

  8. No Image 02Mar
    by 김영교
    2005/03/02 by 김영교
    Views 72 

    보기를 원하나이다

  9. No Image 19Jun
    by 김영교
    2003/06/19 by 김영교
    Views 75 

    보이지 않는 손

  10. No Image 14Nov
    by 법정
    2007/11/14 by 법정
    Views 129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

  11. No Image 22Mar
    by 김영교
    2003/03/22 by 김영교
    Views 79 

    봄에 전하는 눈소식

  12. No Image 10Sep
    by 김영교
    2007/09/10 by 김영교
    Views 136 

    봉투벼게에 수놓인 3521

  13. No Image 03Nov
    by 김영교
    2007/11/03 by 김영교
    Views 121 

    봉투편지는 낙엽우표를 달고

  14. No Image 14Nov
    by 고도원
    2005/11/14 by 고도원
    Views 79 

    부모라는 거울

  15. No Image 22Oct
    by 김영교
    2006/10/22 by 김영교
    Views 117 

    부엉이 방으로

  16. No Image 19Nov
    by 김영교
    2007/11/19 by 김영교
    Views 298 

    부재중에 기다려 준 편지한통

  17. No Image 26Dec
    by 김영교
    2007/12/26 by 김영교
    Views 159 

    부재중에 기달려준 편지 2신

  18. No Image 24Feb
    by 김영교
    2008/02/24 by 김영교
    Views 346 

    분수껏 살자(2008/02/08 )

  19. No Image 17Jul
    by 김영교
    2008/07/17 by 김영교
    Views 162 

    비우는 연습

  20. No Image 07Jan
    by 김영교
    2004/01/07 by 김영교
    Views 106 

    빚 진자의 편지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30 Next
/ 30

회원:
1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10
어제:
28
전체:
64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