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76 추천 수 3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퉁소소리>라는 김원길님의 수필을 접 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무척 감동을 받았습니다. 혼과 한을 쏟아부어 퉁소부는 사람이 퉁소와 하나가 될 때 그 때가 감동의 경지, 완전 몰입의 순간이 아닌가 싶습니다. 수필은 무엇보다도 감동이 생명, 나 나름대로의 관이 있어서 좋은 수필이었다고 감히 의견을 내놓습니다. <한>을 모르면 혼을 울리는 투명한 소리를 내기 어렵다는 퉁소철학이 제시되기도 했습니다. 시도 마찬가지, 수필가로 등단하셨으니 수필도 그러하겠습니다. 한으로 시의 그믈을 짜는 이여 한을 노래하는 이국의 국산시인이여 모국어 문화권이 아닌 타국 그것도 알래스카에서 이글루와 개썰매에 익숙하나 원형질적인 토속 정서를 고스란히 지니고 있는 한국의 서정시인이여 <거미집> 집짓기 위하여 길을 만든다 그 길에 집이 따로 있지 않고 길이 집이요 집이 길이다 거미가 살아가는 법은 독불장군 내가 가야 할 길 같은가 허공에 길만들어 집을 짓고 그 길에서 기다리는 시간은 삶인가! 때로는 운명인가! 허공 속에 자기 땅을 차지한 뻥뻥 뚫힌 거미집에 바람도 세월도 걸러 지나서 뻥뻥 뚫린 구멍으로 걸린 것이 거미는 길에서 살아가는 법을 기다린다. 유한근 소설가는 말한다 "삶에 대한 깊은 통찰력없이는 가능하지 않은 시행이다. 인생무상, 허무의식등 삶에 대한 공(空)사상이 그것이다. 이 시에 있어서 거미는 허공에 매달려 있는 중간자이다. 하늘과 땅에 부초처럼 떠도는 중간자이며 고독한 단독자일 뿐이다" 거미집, 가슴에 와 닿는 시였습니다. 보내주신 책, -이세상에- 감사함을 전하며 좋은 글 성실한 글 많이 기대하겠습니다. 축하합니다. 3/9/08 샬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0 혹씨 바로 내가 김영교 2005.01.23 79
489 다이돌핀 김영교 2005.02.10 79
488 부모라는 거울 고도원 2005.11.14 79
487 습관 김영교 2004.04.27 80
486 좋은 글 김영교 2004.06.24 80
485 남정 2004.12.20 80
484 용서 (4월 마음의 양식) 북어11 2004.12.27 80
483 그곳에 가면 김영교 2005.10.08 80
482 이유 없는 고난은 없는것을 김영교 2006.07.26 80
481 7 reasons not to mess with children. 김영교 2006.08.20 80
480 네가 그리우면 나는 울었다 김영교 2007.04.10 80
479 사랑차 끓이기 김영교 2004.05.06 81
478 Thank you very much John Yoon 2005.02.06 81
477 하루하루 김영교 2005.08.15 81
476 죽음, 그 미지의 세계 김영교 2006.01.22 81
475 아름다운 사람 김영교 2007.02.07 81
474 고고학자들의 카리스마를 클릭하라 김영교 2007.03.23 81
473 고부6/6-7 김영교 2003.06.08 82
472 평화의 기도 김영교 2003.07.04 82
471 여자친구들 김영교 2003.12.18 8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0 Next
/ 30

회원:
1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10
어제:
16
전체:
648,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