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호의 창작실
| 최선호의 창작실 | 내가 읽은 좋은 책 | 독자창작터 | 비밀글쓰기 | 회원신간 | 추천도서 | 문학자료실 | 일반자료실 |
시편 136편
절마다 “그 인자하심이 영원하심이로다”를 반복(26회)하여 구성의 특수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영원한(변함없으신)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감사의 강조 표현이다. 인자하심이 영원하시므로 여호와께 감사하도록 권면하고 있다. “인자”(히, 허세드)는 “인애”와도 통하는 말로 구약에 약 250여 회 나온다.
주제: 여호와께 감사하라.
소재: 여호와의 행사.
배경: 이스라엘 순례자들이 예루살렘 성전에 모여 예배드릴 때.
수사: 명령, 열거, 반복(후렴), 의인(신인동형).
경향: 찬양. 회상. 135편과 비슷한 주제의 내용으로 나타나 있으며 대 할렐(Great Hallel)로 불림. 예배드릴 때 레위 인 또는 제사장과
함께 부른 교창(交唱)으로 추측됨.
구성: 병렬. 절마다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의 반복을 특징으로 인자하신 여호와의 속성(성품)을 강조하고 있다.
서시-감사에의 초대(1~3절)
창조-자연계에 대한 하나님의 행사(4~9절)
인도-출애굽(10~15절)
정복-가나안(16~22절)
권면-하나님께 감사(23~26절)
작자: 미상.
핵심어: 인자하심.
* 서시(序詩)-감사에의 초대
1 여호와께 감사하라
그는 선하시며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2 모든 신에 뛰어나신 하나님께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3 모든 주에 뛰어나신 주께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1~3절: 4절 이하는 (26절을 제외하고) 여호와의 행적에 대한 구체적 사실이 열거된 반면, 1~3절에는 구체적인 사실보다는 전체성이 나타나 있으므로, 이 시의 총체적 서시(序詩) 구실을 하고 있다. “선하심”, “인자하심”, “뛰어나심”을 열거, 반복하고 “영원함이로다”와 “감사하라”를 반복함으로써 여호와의 속성과 감사할 인간의 의무를 더욱 강하게 강조하고 있다. “여호와”와 “하나님”과 “주”가 동의어로 반복되어 있다. “여호와”(히, 예호와: 지존하신 분)는 “하나님”(히, 엘로힘: 지극히 높으신 자) “주”(히, 아도나이: 구원자)의 이름으로 모세에게 처음 알려진 명칭이다(출3:15;6:3).
* 창조(創造)-자연계에 대한 하나님의 행사
4 홀로 큰 기사를 행하시는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5 지혜로 하늘을 지으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6 땅을 물 위에 펴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7 큰 빛들을 지으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8 해로 낮을 주관케 하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9 달과 별들로 밤을 주관케 하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4절: “큰 기사”는 5~25절까지 열거된 하나님의 행적들을 말한다.
5절: “지혜”는 곧 ‘말씀’이다. 하나님께서 말씀으로 천지창조를 성취하셨다.
6절: “땅”과 “물”의 조화를 이루신 하나님의 신묘(神妙)함이 드러나 있다.
7~9절: “큰 빛들”은 “해”와 “달”과 “별들”이다. 이들은 주관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주관’을 하려면 공통적으로 빛의 속성을 가져야 함을 열거, 반복으로 분명히 강조하고 있다.
* 인도(引導)-출애굽
10 애굽의 장자를 치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11 이스라엘을 저희 중에서 인도하여 내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12 강한 손과 펴신 팔로 인도하여 내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13 홍해를 가르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14 이스라엘로 그 가운데로 통과케 하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15 바로와 그 군대를 홍해에 엎드러뜨리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10절: 하나님의 심판이 나타나 있다(출6:6).
11절: 하나님 계획의 실현이다. 즉 인도자 되시는 하나님이시다.
12절: 의인법(신인동형)으로 “손”과 “팔”의 표현을 통하여 하나님의 능력을 감각화(感覺化)하여 생동감을 북돋고 있다.
13절: 하나님의 초자연적 능력이 나타나 있다.
14절: 하나님의 인도, 보호하심의 자비에 대한 감사이다.
15절: 교만한 자들(“바로와 그 군대”)의 낮아짐이 하나님의 공의로 이루어진다.
* 정복(征服)-가나안
16 그 백성을 인도하여 광야로 통과케 하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17 큰 왕들을 치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18 유명한 왕들을 죽이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19 아모리 인의 왕 시혼을 죽이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20 바산 왕 옥을 죽이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21 저희의 땅을 기업으로 주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22 곧 그 종 이스라엘에게 기업으로 주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16절: 하나님의 인자하심은 보호와 인도하심으로 나타나는 영원함이다. 이에 대한 감사 역시 영원한 감격이다.
17~20절: “왕들”은 악의 세력을 대유(代喩)하고 있다. 이들(유명한 왕들: 시혼, 옥)을 죽이심으로 백성들이 하나님의 은혜를 받게 된다.
“아모리 인의 왕 시혼”- 이스라엘이 가나안을 정복할 때 아모리 족을 다스리던 왕이다. 그는 모압 인을 구축(驅逐)하고 그 땅을 점령했으며 미디안의 5 족도 부속하였다. 그가 통치한 지역은 요단 강과 얍복 강과 아르논 강 중간이었다(삿11:22). 그는 출애굽한 이스라엘이 지경을 통과하는 것을 거절하였으므로 이스라엘과 전쟁을 벌였으며 야하스에서 패하였다(민21:21~24;신2:26~36;시 135:11). 그의 땅은 바산 왕 옥의 땅과 더불어 르우벤, 갓, 므낫세 반 지파에게 분배되었다(신29:8;수12:6;13:15).
“바산 왕 옥”- 요단 강 동편에 있는 바산의 왕이다. 그는 키가 장대하여 4 m 정도의 큰 철제 침대를 가졌었다. 그는 60여 성읍을 통치하였으나(신3:11;수13:12) 에드레이 전쟁에 패함으로써 멸망하였다. 그의 영토는 시온의 영토와 같이 르우벤, 갓, 므낫세 반 지파에게 분배되었다(민21:33~35;수13:12,32,33;신1:4;3:1~13;4:47;시135:11).1)
21~22절: “땅”은 ‘약속의 땅’(창12:7)으로써 ‘축복의 상징’이다. 22절은 21절의 동의, 반복이다. ‘운율의 조화’와 강조를 위한 ‘기교’(技巧)이다.
* 권면(勸勉)-하나님께 감사
23 우리를 비천한 데서 기념하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24 우리를 우리 대적에게서 건지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25 모든 육체에게 식물을 주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26 하늘의 하나님께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23절: 예수 그리스도의 겸손을 예감케 한다.
24절: 대적으로부터의 구출의 실례를 노래하고 있다.
25절: “육체”는 물질적이라기보다는 영적 생명을 의미하고, 식물도 음식이라기보다는 영적 양식을 의미한다. ‘육체와 식물’(시145:15) 그대로 이해해도 무리는 아니다. 이는 분명한 현세적 축복이다.
26절: 감사에 대한 권고이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 시편 136편 | 최선호 | 2016.12.02 | 71 |
14 | 시편 137편 | 최선호 | 2016.12.02 | 21 |
13 | 시편 138편 | 최선호 | 2016.12.02 | 24 |
12 | 시편 139편 | paulchoi | 2016.12.02 | 41 |
11 | 시편 140편 | 최선호 | 2016.12.02 | 12 |
10 | 시편 141편 | paulchoi | 2016.12.02 | 31 |
9 | 시편 142편 | paulchoi | 2016.12.02 | 15 |
8 | 시편 143편 | 최선호 | 2016.12.02 | 40 |
7 | 시편 144편 | 최선호 | 2016.12.02 | 28 |
6 | 시편 145편 | 최선호 | 2016.12.02 | 52 |
5 | 시편 146편 | 최선호 | 2016.12.02 | 24 |
4 | 시편 147편 | paulchoi | 2016.12.02 | 66 |
3 | 시편 148편 | paulchoi | 2016.12.02 | 19 |
2 | 시편 149편 | paulchoi | 2016.12.02 | 19 |
1 | 시편 150편 | paulchoi | 2016.12.02 | 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