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2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구구탁 예설라(矩矩托 禮說羅)‘

 

2016년은 문자 그대로 나쁜 뜻의 한 해로 변해 온 나라가 들끓으며 꼬리를 내렸던 '병신년은' 갔고 다시 해가 밝은지 반달이 넘었다. 그리고 오는 1월28일은 우리 고유명절이며 '설'날인 명실공한 丁酉年이 시작된다. 생각해 보면, 날마다 일상적으로 해가 지고 다시 떠오르는 게 무슨 큰 의미가 있겠나만그래도 새해가 되면 한번쯤 그 해의 유래와 운세를 챙겨보는 것도 사람의 마음이다.


2017년은 정유년으로 붉은 닭(;)의 해라 한다정유(丁酉)는 육십 간지 중 34번째로 닭은 인간들에게 알과 고기로 보시(布施)를 하며수탉은 새벽이면 목을 길게 빼 울음으로 여명을 알리는 신통력을 지닌 서조(瑞鳥)로 여겨져 왔다닭 울음은 시보(時報)의 역할을 하였고 옛날 시계가 없던 시절엔 밤이나 흐린 날에는 닭의 울음소리로 시각을 알았다또한 닭의 울음소리는 벽사(辟邪)의 기능을 가진다고 하여 닭이 제때 울지 않으면 불길한 징조로 여겼다.


일테면닭이 초저녁에 울면 재수가 없다고 하고 밤중에 울면 불길하다고 생각했으며수탉이 해진 뒤에 울면 집안에 나쁜 일이 생긴다고 했다특히 제사를 지낼 때면 닭의 울음소리를 기준으로 하여 제사를 거행했다새벽 닭의 울음소리를 들으면 산에서 내려왔던 맹수들이 돌아가고잡귀들도 모습을 감춘다고 믿어 왔기 때문이다이런 닭은 선조들의 삶의 일부요온 가족이 함께하도록 돕는 덕금(德禽)으로 전해지고 있다.


시경(詩經)에 따르면닭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BC 1,400년대에 이미 중국에서 닭을 키웠다는 기록이 있다고 한다인도자바말레이 반도 등지에 서식한 꿩에 가까운 닭을 양계(養鷄)로 키운 데서 비롯되어 그것이 서방으로 전해지면서 바빌로니아와 페르시아를 거쳐서 여러 나라로 전해졌다는 것이 정설이다우리나라의 닭에 관련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서진시대에 작성된 중국의 정사 삼국지에서 전해진다정사(正史삼국지에 의하면 한나라에 꼬리가 가는 닭(細尾鷄)이 있었는데그 길이가 다섯 자로 지금으로 따지면 115cm 정도가 되었다고 전한다.남북조시대에 작성된 후한서에서 이것을 꼬리가 긴 닭(長尾鷄)으로 고쳐놓았다는데아마 이것은 전설의 새인 봉황(鳳凰새의 미화가 아닐까 싶다.


삼국유사에도 닭의 얘기가 빠지지 않는다그 4권에 따르면인도에서는 신라를 구구탁 예설라(矩矩托 禮說羅)’라고 불렀다고 한다. ‘구구탁은 닭이고 예설라는 귀하다는 말이라고 한다즉 닭을 귀히 여기는 나라’ 라는 뜻이다신라는 닭 신을 공경하여 높이기 때문에 관에 깃을 올려서 장식했다이것은 절풍(折風)에 새 깃을 꽂아 장식하는 조우관(鳥羽冠)이나 조미관(鳥尾冠)을 가리키는 것이었다


또한 우리나라 창세 신화 중에 전하는 무속(巫俗)모음인 천지왕본풀이‘ 서두에 보면태초 혼돈 속에서 천황 닭이 목을 들고지황 닭이 훼를 치고인황 닭이 꼬리를 치며 크게 우니 동방에서 해가 떠오르며 세상이 열렸다는 전설이 있다이는 아침에 우는 닭의 특성에서 기인한 일종의 토템 신앙으로우리나라에서도 역시 닭을 조류 숭배신앙에서 받들던 하늘 새(봉황)와 동일시 한 신앙적 유래라고 보기도 한다.

 

하지만이런 닭에 대한 옛 신화적 서술보다는실제적인 것은 중국 노()나라 애공(哀公)의 신하 권요가 쓴 계5(鷄五德)이 표상적으로 상당히 설득력이 있는 닭에 대한 풀이였다예컨대첫째는 문(-머리에 있는 붉은 볏은 관()으로 선비의 표상인 벼슬을 나타 냄). 둘째는 무(-날카로운 발톱은 싸움의 무기를 나타 냄). 셋째는 용(-적을 만나면 죽기 살기로 싸우는 기백을 나타 냄). 넷째는 신(-새 시간새 날새 세상이 밝아 옴을 알려주는 시의성). 다섯째는 인(먹이는 발견 모두를 불러 서로 나눠먹는 배려를 나타 냄)을 나타내고 있다고 풀이한다.


거두절미신화적이든 실제적이든 관계없이 다가오는 올 2017년 닭 해에는 제발 그 5덕이 온 나라에 골고루 퍼져 나가길 기대하며특히 그중에서도 신()과 인()의 덕목만큼은 꼭 지켜졌으면 좋겠다.

 

(:절풍 [折風]/고구려에서 쓰던 관()의 하나그 모양은 고깔)].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66 미리 써본 가상 유언장/안세호 김학 2005.01.27 520
2065 고래 풀꽃 2004.07.25 517
2064 옛날에 금잔디 서 량 2005.11.26 516
2063 내 가슴에 비 내리는데 강민경 2009.04.13 514
2062 늦가을 빗길 / 성백군 2 하늘호수 2022.11.08 514
2061 6.25를 회상 하며 김사빈 2006.06.27 511
2060 (동영상시) 아무도 모르는 일- 차신재 The Affair No One Knows 차신재 2015.09.01 511
2059 10월의 시-육친肉親/손택수 오연희 2015.10.01 511
2058 수필 레이니어 산에 가는 길 풍광 savinakim 2016.07.06 511
2057 아웅산 수지 여사의 가택 연금이 풀리기를 갈망하며 이승하 2007.09.28 510
2056 부부표지 file 김우영 2009.05.16 509
2055 秋江에 밤이 드니 황숙진 2007.08.06 508
2054 야자나무 쓸리는 잎에 흔들리는 머리카락 하늘호수 2016.05.02 508
2053 언제까지나 지워지지 않는 노래를 만들고, 새는 곽상희 2007.08.31 506
2052 낙관(落款) 성백군 2011.01.07 506
2051 수필 김우영 작가의 한국어 이야기-29 김우영 2015.06.28 505
2050 듬벙 관람요 / 성백군 하늘호수 2023.01.10 505
2049 한국전통 혼례복과 한국문화 소개(library 전시) 신 영 2008.06.17 503
2048 골반 뼈의 추억 서 량 2006.01.10 501
2047 꿈속으로 오라 관리자 2004.07.24 500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