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우영 작가의 한국어 이야기 ] 글 고치기와 띄어쓰기



                                                                           김 우 영 (작가. 한국해외문화교류회)

siin7004@hanmail.net
    
승인 2014.05.21  07:44:34        







                                                                             2014.5.21(수)

  [서울=동북아신문]



돈과 문장은 깎을 수 록 좋다. 스커트는 짧을수록 보기좋고, 주례사는 간결할 수 록 듣기 좋다. 글 고치기는 대략 3가지로 나뉜다. 글 쪼갬질은 긴 단락을 자르고, 깎음질은 군살깎기, 쪼크림질은 뒤치기이다. 아래의 예문을 보자.



① 강도짓을 하는 나쁜 사람들이 그 피해자에게 손실을 가해자에게 처벌을 해주어야 한다.

  → 강도짓을 하는 가해자는 그 정도에 따라 처벌하라.



② 인명을 살상하는 전쟁에 참여하고 이를 찬성 사람은 훗날 역사가 심판하리라.

→ 인명을 살상케하는 전쟁에 참여한 사람은 훗날 전범으로 평가된다.



③ 우리나라가 정치적 경제적으로 사대주의에 편승하는 것은 좋지못한 약소국의 사례이다.

   → 사대주의에 편승하는 건 약소국의 수치이다.



예전에 영국인들이 ‘인도는 내놓아도 셰익스피어는 못내논다’ 고 했다. 세계적인 문장가인 셰익스피어는 말을 빼고는 글 고치기에 무척 힘들어 했다. 헤밍웨이의 <무기여 안녕> 끝장은 17번, 프랑스의 자연주의 문학가 졸라의 습작 원고는 자신의 키를 넘었다.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도 30년간이나 수정했다고 한다. 약초 1,882종의 분류로 이름난 명나라 명의 ‘이시진’은 홀로 산야에 뒹굴며 독초를 캐 먹으며 약초의 독약 유무(有無)를 확인하다가 그 독에 묻어 숨졌다.



이래서 옛 선비들은 문장의 퇴고(推敲)와 추고(追考)를 살을 에이고 뼈를 깍는 겨울 빙판에 비유했다. 오늘날의 교정(校正)과 교열(校閱)을 살을 피울음의 고름같은 고통으로 표현하였다. 글을 쓰기도 힘들지만 깍고 다듬는 것도 그 이상으로 힘들다. 오호라, 우리말 우리글 몇 줄 고치기가 이렇게 힘들 줄이야?



우리말 우리글이 어렵다고 한다. 전문적으로 글을 쓰는 우리들도 글을 쓸 때 마다 어렵다고 한다. 특히 띄어쓰기의 구분과 범례이다. 예를 들어 ‘그런 만큼’이냐, ‘그런 만큼’이냐. 지금까지의 말글 규정이나 국어사전에는 ‘그런 만큼’으로 띄어 적었다. ‘만큼’은 ‘그만큼, 너만큼, 사람만큼, 하느님만큼’들에서는 붙여 쓴다.



이 ‘만큼’은 앞말과 비슷한 정도나 한도를 보인다. 그러나 ‘-(느)ㄴ, -(으)ㄴ, -(으)ㄹ, -던’ 다음에서는 띄어 쓴다. ‘걷는 만큼, 한 만큼, 먹은 만큼, 참을 만큼, 살 만큼, 했던 만큼’ 들은 띄어 쓰는 것이다. 이 경우의 ‘만큼’은 그 앞말의 내용에 걸맞은 수량을 나타낸다. 그런데 ‘-(느)ㄴ, -(으)ㄴ, -(이)ㄴ’들이 ‘-느니, -니, -으니, -이니’들의 준 꼴인 경우에는 그 다음에 오는 ‘만큼’을 붙여 쓴다.



과거 1964년 당시 문교부 <교정 편람>에는 ‘-이니 만큼(-인만큼)’을 언급하였다. ‘만큼’이 “가느니 만큼, 하니 만큼, 먹으니 만큼, 보물이니 만큼”들에서는 붙어 쓰인다. “가느니보다는 안 가는 것이 낫겠다”고 할 때 ‘가느니보다’의 ‘보다’를 붙여 쓴다. ‘니’의 ‘ㅣ’가 줄고 ‘ㄴ’만 남아서 윗말에 붙어 쓰이면 “가는 만큼, 한만큼, 먹음만큼, 보물인만큼” 들처럼 붙여 써야 한다.



이 경우 ‘만큼’은 ‘가므로, 하므로, 먹으므로, 보물이므로’들의 ‘므로’와 같이 ‘그런 만큼’은 ‘그렇게 한 만큼’이다. 오, 한글이여! 도대체 어디서 붙여야 하며, 어디서 띄란 말 인고오?





    
  김우영 작가는 우리말 달인으로 화제가 되어 중도일보에 소개되기도 했다.







스메타나의  나의 조국



  1. No Image 31Dec
    by 이승하
    2006/12/31 by 이승하
    Views 887 

    새해 새 아침의 작은 선물

  2. No Image 09Mar
    by 김사빈
    2010/03/09 by 김사빈
    Views 884 

    할머니의 행복

  3. No Image 01Sep
    by 강민경
    2010/09/01 by 강민경
    Views 882 

    티끌만 한 내안의 말씀

  4. No Image 01Mar
    by 황숙진
    2010/03/01 by 황숙진
    Views 881 

    깡패시인 이월란

  5. No Image 03Oct
    by 황숙진
    2010/10/03 by 황숙진
    Views 879 

    바다로 떠난 여인들

  6. No Image 31Jul
    by 성백군
    2009/07/31 by 성백군
    Views 877 

    눈 안에 든 별

  7. No Image 12Feb
    by 김우영
    2011/02/12 by 김우영
    Views 875 

    김학송 수필집 작품해설(200자 원고지 22매)

  8. No Image 28Dec
    by 박영호
    2006/12/28 by 박영호
    Views 873 

    고대 시학(詩學)을 통해서 본 시의 근원적 이해

  9. No Image 15Jun
    by 강민경
    2010/06/15 by 강민경
    Views 871 

    모닥불도 처음엔

  10. No Image 12Jun
    by 유성룡
    2010/06/12 by 유성룡
    Views 865 

    시인의 가슴

  11. No Image 08Oct
    by 문인귀
    2004/10/08 by 문인귀
    Views 855 

    과거와 현재를 잇는 메타포의 세월, 그 정체 -최석봉 시집 <하얀 강>

  12. 김우영 작가의 한국어 이야기 ] 글 고치기와 띄어쓰기

  13. 김우영]한국어, 세계에 수출하자

  14. No Image 09Mar
    by 강민경
    2010/03/09 by 강민경
    Views 845 

    가슴이 빈 북처럼

  15. No Image 31Jul
    by 강민경
    2010/07/31 by 강민경
    Views 845 

    공수표로 온것 아니다

  16. No Image 07Mar
    by son,yongsang
    2010/03/07 by son,yongsang
    Views 844 

    세월 & 풍객일기

  17. No Image 11Aug
    by 황숙진
    2007/08/11 by 황숙진
    Views 836 

    비듬나물에 대한 추억

  18. 곽상희7월서신-잎새 하나

  19. No Image 24Jul
    by 관리자
    2004/07/24 by 관리자
    Views 832 

    김신웅 시인의 시세계(문예운동) / 박영호

  20. No Image 24Oct
    by 김우영
    2011/10/24 by 김우영
    Views 829 

    김우영 작가 독서노트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