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이렇게 살았다

2009.08.23 17:31

관리자_미문이 조회 수:874



김영란[-g-alstjstkfkd-j-]하룻 밤에 읽는 미국 첫 이민 이야기 "그들은 이렇게 살았다"

<역사의 소명에 부응했던 미주 이민 선조들>, 한시도 고향과 나라를 잊지 못하고 미지의 땅에서 개척의 삶을 살았던 초기 이민의 삶. <미주 한인의 뿌리와 우리 민족의 정채성을 찾는 길>, 고뇌와 역경을 딛고 일어섰던 초기 이민자들의 희생과 고난 위에 자리한 오늘날 그 후손들의 탄탄한 삶, <민족의 얼과 넋은 기록을 통해서만>, 1875년에 건축된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팰리스 호텔은, 1883년 갓을 쓴 조선인들이 일주일 간 머물며 미국과 친선외교를 벌였던 곳, 1908년 3월 22일 유명한 페어먼트 호텔 로비에서 일어났던 일, 넥타린이라고 부르는 털 없는 천도복숭아를 첫 이민자들이 만들었다는 사실등, 열정과 집념으로 인간의 한계와 시대에 도전했던 분들을 하룻밤에 확실히 다 만나기는 쉽지 않지만 단 한 분 만이라도 색다른 감동을 받고 새 힘과 용기를 얻기를 바라면서 저자 김영란은 2008년 9월 25일에 이책을 여러분께 펴 보입니다.

전 '대한적십자사 총제" 서영훈씨는  미주 이민의 뿌리를 캐며 기록문화에 앞장서서 우리의 정체성 확인에 다리를 담당한 이 책이 우리말과 글 그리고 겨례의 얼을 놓지 않으려 애쓴 미주 교포들에게는 자긍심과 일체감을 주고 지난온 시간을 공정하게 인식하고 반성하는 이민사 연구에 주요 자료가 될 것을 의심치 않는다 한다, 또 전 "대한민국 국무총리"셨던 이수성씨는 이 책에는 초기 이민자들의 삶과 예환, 고뇌와 갈등, 신념과 희망,투지와 집념이 진하게 녹아 있다 한다. 또 "독립기념 관장" 이신 김주현씨는 미주 한인 이민사는 아메리칸 드림의 실현 과정이자 독립운동의 역사라고 말 한다. 이 책은 잊혀져가던 이민 1세들의 미주 한인사회 개척의 노고와 민족의 수난을 극복하고자 분투하는 모습들을 생생히 보여주고 있어 사료적 가치뿐만 아니라 나라와 민족 그리고 자신까지 깊이 뒤돌아보게 한다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주숙녀 시집 <그는 어디에> 출간 file 미주 2023.03.24 101
363 '혹등 고래의 노래' 출간 / 이해우 작가 첫 번째 시집 file 미주 2023.03.17 55
362 수필집 ‘아들의 고향’ 출간 / 유숙자 file 미주 2023.03.01 75
361 대한민국 소설 독서대전 추천도서 [2] file 미주 2023.02.04 103
360 정정숙 시인의 첫 시집 <만남> file 미주 2023.02.01 86
359 소망소사이어티, ‘바람꽃-The Flowers’ 출간 file 미주 2023.01.14 78
358 하늘을 이웃으로 둔 언덕 file 미주문협 2022.12.18 70
357 이윤홍 단편집-손가락 file 미주문협 2022.12.02 180
356 미주경희사이버문학 제2호 file 미주문협 2022.11.14 113
355 전희진 시집-나는 낯선 풍경 속으로 밀려가지 않는다 file 미주문협 2022.10.06 461
354 김은집 시집-우리는 별들 사이로 스쳐가네 file 미주문협 2022.09.18 90
353 이지원 수필집-함께 세상을 날다 file 미주문협 2022.08.29 522
352 연규호 소설집 투탕카문의 녹슨단검 file 미주문협 2022.07.09 458
351 정정인 수필집-당신의 시간은 안녕하십니까 file 미주문협 2022.06.26 79
350 곽설리 소설-칼멘 & 레다 이야기 file 미주문협 2022.05.31 423
349 이경희 시집-사계절을 품어 열두달을 노래하다 [1] file 미주문협 2022.05.19 75
348 이희숙 수필집-내일의 나무를 심는다 file 미주문협 2022.04.25 115
347 4.29 LA폭동30주년 기념 작품집 file 미주문협 2022.04.21 183
346 김명선 소설집-개여울의 빈들에 서서 [1] file 미주문협 2022.03.28 626
345 박경숙 소설-의미 있는 생 file 미주문협 2022.03.14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