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발음 정복 전략 -5- [f]에 대하여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국제음성기호 [f]와 [p]를 모두 [ㅍ]으로 표기하도록 되어있다.
이로 인하여 우리는 말글살이에서 많은 혼란을 겪고 있으며 요즘 같은 국제화시대에
영어발음에서 많은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다.
오래 전에 글쓴이는 어느 글에서 모 대학 경제학 교수가 강의를 마치고 연구실로 돌아
가다가 학생들끼리 하는 말 가운데 “필이 딱 꽂혔어!”라는 말을 듣고 깜짝 놀랐다고 하는
말과 함께 그 교수는 “필”이라는 어휘를 pill로 알아듣고 학생들이 마약을 복용한 것으로
잘못 알았었다며 국문학자들에게 제발 [f]와 [p]를 구분할 수 있는 글자 하나만이라도
만들라고 호소를 한 기사를 읽었다는 글을 인용한 적이 있는데 그 분이 바로 중앙대학
경제학 교수인 김 영봉 교수임을 이 기회에 밝힌다.
며칠 전에 김 영봉교수는 조선일보 아침논단 “패션(fashion)의 피(p)나 아는가?”라는
글에서 “연예인들이 방송에 나와 필[feel]이 꽂혔다, [팬[fan]에게 감사한다, 포크송[folk
song]을 부르겠다고 하는데, 나에게는 이 사람들이 약[pill]에 취해 냄비[pan]에 감사하고
돼지고기[pork] 노래를 하겠다는 말로 들린다. 일상(日常)을 이렇게 듣고 보고 말하며
보내는 아이들이 영어를 제대로 발음할 수 있겠는가?” 반문하며 또다시 현행 <외래어
표기법>의 맹점에 대하여 매섭게 비판하였다.
(참고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2/11/2008021101676.html)

[팬]이라는 발음은 pan의 영어발음이다.
그런데 우리는 이것을 fan의 뜻으로 쓰고 있다.
나라에서는 [팬]은 국어 어휘이므로 우리끼리 이야기할 때는 [팬]으로 말하고 외국인과
이야기할 때는 외국어인 []으로 말하라고 떼를 쓰니 에지간이 머리가 좋지 않으면
대한민국 백성으로 살아갈 수 없는 곳이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다.
발음은 습관인데 일상생활에서 [팬]으로 말하던 습관이 외국인이나 혹은 시험관 앞에서
자연스럽게 []이라는 발음을 할 수 있는 확률은 과연 얼마나 될까?
반세기동안 이 나라의 국문학계를 친일 성향으로 이끌어 온 수구 국문학자들이나 그들의
홍위병인 국립 국어원의 무능에 대하여 얼마나 답답하면 전혀 분야가 다른 경제학 교수가
그들에게 이와 같은 쓴 소리를 하지 않으면 안 되었겠는가?
지금 이 나라는 어떻게 된 일인지 나랏말의 소리를 적는 글자인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이론(理論)에 대해서 국문학자들이나 나랏말 정책 당국자들보다 전자공학분야의 교수들이
더 잘 알고 있으며, 글쓴이와 같은 무지렁이가 그들보다는 조금 낫다는 평판을
들어야하는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고 있다.
이학박사(理學博士)인 동국대학 컴퓨털학과 변 정용(卞 正龍) 교수는 한글을 “음소(音素) 및
음절문자(音節文字)”로 정의하고, 소리를 만들어 내는 글자임을 창제원리의 중요한 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글쓴이는 한글을 “음성문자(音聲文字)” 또는 “성음문자(聲音文字)”로 정의하고 있어
조그마한 견해 차이는 있지만 <범자필합이성음(凡字必合而成音)>이 한글 성립의 뿌리라는
점에 있어서 변 교수와는 완전히 견해가 일치되고 있다.

글쓴이는 수학 계산능력이 부족하여 훈민정음(訓民正音)에는 천문학적인 숫자에 달하는
소리글자가 있다는 막연한 숫자를 제시하였으나 변 교수는 세종 큰 임금님의 가르침대로
활용한다면 훈민정음(訓民正音)에는 약 400억 개의 소리글자가 들어 있는 소리의 보물
곳간이라는 글쓴이의 주장을 사실로 증명해주고 있는 것이다.
이런 결과를 근거로 하여 김 영봉교수의 “세종대왕의 한글은 이런 불량품이 아니었다.”라는
말이 진리(眞理)임이 완벽하게 밝혀진 것이며 동시에 “세종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한
뜻은 그 후예들이 끊임없이 시대에 맞게 문자를 발전 시켜 한글의 이런 우수한 소통능력을
더욱 개화(開花)시키라는 의도일 것이다. 그러나 지금 우리 한글 관계당국은 글자를 개방해
세계화에 적응할 노력은커녕 있는 글자도 가두어 그 표현능력을 억죄고 있다”고 하는 말로
어리석은 친일 수구 국문학자와 그들의 홍위병인 국립 국어원의 무능을 질책한 것이다.

각설하고, 대부분의 학자들은 [f]의 소리를 한글의 입술가벼운소리로 잘못 인식하는 사람이
많은데 사실 [f]의 소리는 한글의 입술가벼운소리인 [ᅗ]과는 다른 소리다.
한글에서 말하는 입술가벼운소리 [ᅗ]은 윗입술과 아랫입술사이로 가볍게 공기를
불어내면서 [ㅍ]의 소리를 내는 소리인데 반하여 [f]의 소리는 윗니와 아랫입술 사이로
공기를 가볍게 불어내면서 [ㅍ]의 소리를 내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소리는 비슷하지만 소리를 내는 방법이 다르므로 엄밀한 의미에서는 조금 다른
소리가 된다고 보아야할 것이다.
윗니와 아랫입술을 사용하여 [f]의 소리를 낸다는 관점에 원로 교수이신 김 석연 교수와
글쓴이의 견해가 일치하고 있다.
김 석연 교수는 누리글이라는 논문에서 [f]의 소리글자를 [︿ㅍ]의 형태를 취했는데 이것은
훈민정음(訓民正音) 합자원리에 대해서 잘 이해하지 못한 소치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김 석연 교수는 국문학자가 아닌 이학박사(理學博士)가 한글 창제원리의 필수요건으로
인정하는<범자필합이성음(凡字必合而成音)>이라는 열쇠를 인정하지 않고 오로지
음소문자(音素文字)라는 틀에 갇혀서 spray를 [ㅅㅍ 뤠이]로 표기해야한다는
음소주의(音素主義)를 고집하여 [스프뤠이]로 표기하는 음성주의(音聲主義)를 채택하고 있는
글쓴이의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고 반론을 제기함에 대해서는 애석함을 금치 못하겠다.
개인적으로 존경하고 있는 김 석연 교수와의 견해 차이가 좁혀질 수 있는 날을 기대하겠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연서(連書)와 병서(竝書) 규칙은 여러 가지 소리글자를 만드는데
활용되는 규칙이다.
이 규칙에 따라 서양문자를 한글로 나타낸 옛 문헌에서 [f]를 연서(連書)인 입술가벼운소리
[ᅗ]을 쓰지 않고 병서(竝書)인 [ㅍㅎ]를 사용했다는 것은 [f]의 소리가 한글의
입술가벼운소리 [ᅗ]과는 다른 소리임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한편 [f]를 [ㅎ]의 된소리라고 인식하여 [ᅘ]로 쓸 수도 있다.
이렇게 글자를 선택하는 것은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
하루속히 많은 한글학자가 배출되어 이런 과제를 연구하고 정리해야할 것으로 생각한다.
필자는 옛 문헌에 따라 [ㅍㅎ]의 합용병서(合用竝書)를 사용할 것을 주장하지만 지금 <한글
맞춤법>에서 한글의 기본자모의 수를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자유롭게 [ㅍㅎ]의 활자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불가피하게 한글 워(word) 문자표에 많이 있는 [ᅘ]를 선택하였으나
한글의 자모를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날이 오면 모두 [ㅍㅎ]로 바꾸도록 하겠다.
오늘 새 대통령으로 취임하는 이 명박 대통령은 “우리 국어에 [f]를 발음하는 글자
하나만이라도 추가시킨다면 그는 기념비적인 업적을 기록한 문화대통령으로도 오랫동안
백성들이 기억할 것”이라는 김 영봉 교수의 말을 기억하고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기를
바란다.

한글 연구회
최 성철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허경옥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3.09.17 566
공지 '차덕선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2.05.21 632
공지 김준철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2] 미주문협 2021.03.18 40720
공지 정종환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3.17 15909
공지 민유자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2.24 911
공지 박하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2.24 52537
공지 ZOOM 줌 사용법 미주문협 2021.01.04 811
공지 줌 사용법 초간단 메뉴얼 미주문협 2021.01.04 817
공지 안규복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9.10 930
공지 박복수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6.26 1364
공지 김원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2.26 1018
공지 하정아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9.01.21 1282
공지 안서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9.01.21 1042
공지 '전희진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9.01.09 1112
공지 김하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8.09.26 1033
공지 신현숙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8.09.26 1021
공지 최은희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8.06.16 1199
공지 '이신우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8.04.27 963
공지 이효섭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14 1232
공지 이만구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7.12.14 1844
공지 양상훈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04 1056
공지 라만섭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04 1003
공지 김태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7.08.01 1209
공지 '조형숙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7.07.07 1168
공지 '조춘자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7.07.07 1137
공지 '이일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5.08 1096
공지 '이산해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4.10 1100
공지 강화식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2.24 1130
공지 최선호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11.30 1636
공지 강신용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7.21 1073
공지 정문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6.23 1053
공지 강창오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4.04 1204
공지 '이원택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9.08 1215
공지 '장선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9.08 1071
공지 '강성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8.07 1111
공지 '김영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8.07 1048
공지 '박무일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21 1095
공지 '임혜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8 1065
공지 '백남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8 1016
공지 '최익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47
공지 '오영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38
공지 '이기윤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1014
공지 '윤금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73
공지 '구자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59
공지 '신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976
공지 '박정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05
공지 '박경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18
공지 '김혜령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57
공지 '조정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34
공지 '김사빈의 문학서재' 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25
공지 '배송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45
공지 '지희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42
공지 '정어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024
공지 '권태성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052
공지 '김동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114
공지 '서용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089
공지 '이상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63
공지 '백선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55
공지 '최향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72
공지 '김인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71
공지 '정해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65
공지 '이영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3 1133
공지 '안선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3 1011
공지 '박효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040
공지 '장정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027
공지 '미미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030
공지 '최영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1038
공지 '이성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998
공지 '정찬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1015
공지 '장효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9 1068
공지 '손용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9 1070
공지 '오연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6 1128
공지 '이윤홍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5 1076
공지 '차신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5 1016
공지 '윤혜석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1 1079
공지 '김명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073
공지 '고대진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080
공지 '최상준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057
공지 '전지은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036
공지 '박봉진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149
공지 '홍인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194
공지 '기영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0 1058
공지 '최문항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5 1040
공지 '김현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4 1067
공지 '연규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2 1093
공지 '홍영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2 17150
공지 '이용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8 1030
공지 '김태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7 1067
공지 '김수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5 1097
공지 '김영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5 1045
공지 '김희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4 1058
공지 '박인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4 1061
공지 '노기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078
공지 '김학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095
공지 '이용우의 문학서재'가 개설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061
공지 '최미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9 1044
공지 '김영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9 1112
공지 '조옥동, 조만연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8 1601
공지 '성민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072
공지 '전상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055
공지 '한길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077
공지 '박영숙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4 1125
공지 '채영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3 1352
공지 '강학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3 1088
공지 '정국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2 1086
공지 '성영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2]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7 1128
공지 '안경라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7 1192
공지 '고현혜(타냐고)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4 36342
공지 "김영교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5 1123
공지 "석정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4 1187
공지 "장태숙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3 1084
공지 "이월란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4]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2 1151
공지 '문인귀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1 22619
공지 '정용진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0 1085
공지 '이주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19 1216
공지 "유봉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18 1209
» 영어발음 정복 전략 - 5 - [f]에 대하여 뿌리깊은나무 2008.02.24 246
1413 [공모전] 2008 KT 디지털 컨텐츠 공모전 씽굿 2008.02.24 84
1412 글마루 모임 안창해 2008.02.25 147
1411 한인회장 선거 campaign 을 보면서 동포 2008.02.29 241
1410 (수정) 정조 이산 과 한중록 한글문학 2008.02.29 546
1409 도~대체 이~게 뭡니까? "오렌지"가 우리말이라니~ 뿌리깊은나무 2008.03.03 151
1408 행사 안내-경제포럼 susie 2008.03.04 80
1407 평양공연'아리랑 변주곡' 청초 2008.03.04 124
1406 3월 글마루 모임 안내 미문이 2008.03.05 66
1405 청한(淸閑) 鄭用眞 2008.03.05 55
1404 왜 한국분들은 하나같이 쌔 (New) 차만 몹니까? 사회주의 2008.03.06 134
1403 "놈현스럽다"와 국립 국어원! 뿌리깊은나무 2008.03.06 104
1402 시인 정용진 선생 문학창작교실 오픈 미주 중앙일보 2008.03.06 126
1401 이달의시/김형오 미문이 2008.03.07 71
1400 대한민국! 그대는 어디로 표류하고 있는가? 뿌리깊은나무 2008.03.09 79
1399 문우님들 감사드립니다. 이인범 2008.03.14 135
1398 시국 토론회를 참관하고~ 뿌리깊은나무 2008.03.17 173
1397 국내외 7천만 겨레에게 아뢰는 글 뿌리깊은나무 2008.03.19 73
1396 수봉자훈(秀峯自訓) 秀峯 鄭用眞 2008.03.20 55
1395 다시는...다시는... 오영근 2008.03.21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