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訓民正音) 속에 배인 민족혼(民族魂)
우리 학계에서는 단순하게 우리말은 있어도 글자가 없어서 우리말을 적기위해서 세종 큰 임금께서 훈민정음(訓民正音)을 만드셨다고 가르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잘못된 것이다.
훈민정음(訓民正音)에는 우리 민족혼(民族魂)이 담겨 있으며 세종 큰 임금께서 지니신 애국ㆍ애민정신과 자주독립 정신이 흠뻑 배어 있는 글자이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은 대외적으로는 명(明)나라에 대한 문화선전포고문(文化宣戰布告文)인 동시에 대내적으로는 양반세력으로 이루어진 극도로 폐쇄된 신분봉건사회(身分封建社會)에 대하여 사회혁명을 위한 도전장이었다.

대외적으로 우리 민족은 신라 김춘추가 당(唐)나라에 굴복하여 복속을 자처한 이래로부터 누대에 걸쳐 중국대륙 세력에 지배되어 왔다.
역사는, 김춘추가 백제를 멸망시켜 신라가 삼국통일을 이룩할 수 있는 기틀을 만들었다고 평가하고 있으나 그것은 잘못된 평가이다.
김춘추는 순전히 백제에 대한 개인적인 감정을 가지고 근대사에서 나타난 오적(五賊)에 버금가는 민족 배반자로 평가되어야 한다.
신라가 진정 삼국통일을 이룬 국가로 평가 받으려면 옛 백제 땅을 비롯해서 옛 고구려 땅을 한 치라도 당(唐)나라에게 빼앗기지 않고 통일을 달성했어야 했다.
그러나 옛 백제 땅에는 웅진도독부(熊津都督府)가 설치되었으며, 광활한 옛 고구려 땅에는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가 설치되어 당(唐)나라 지배 아래로 들어갔으며 수년에 걸친 전쟁 끝에 겨우 옛 백제 땅과 옛 고구려 땅의 지극히 일부분인 대동강 이남을 되찾았을 뿐이므로 이것은 형제와 영토를 당(唐)나라에 팔아 자기네 생존을 영위했던 것이나 다름없다.
이로부터 우리 민족은 누대에 걸쳐 중국대륙 세력에 굴종하며 조선왕조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고려가 멸망한 것은 사회적인 혼란도 원인에 하나이지만 무리한 북벌정책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조선왕조에 이르러 세자였던 양녕대군도 명(明)나라의 심한 내정간섭에 대하여 투철한 반명사상(反明思想)으로 북벌을 도모하기 위해 군사력을 키우는 정책을 시행하였던 것이다.
조선왕조 초기 왕실은 반명사상(反明思想)이 강했으며 이러한 사상은 세종 큰 임금도 이어 받았던 것이다.
그러한 사상을 엿볼 수 있는 것은 세종 큰 임금은 신기전(神機箭)이라는 새로운 무기를 만들었고, 명(明)나라 천문(天文)이 아닌 우리 천문(天文)을 가져야겠다는 것이었다.
그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무력으로는 도저히 명(明)나라 굴레를 벗어날 수 없으므로, 우리말은 따로 있으되 글자가 없으므로 우리말을 적을 수 있는 독자적인 글자를 만들어 문화적으로나마 명(明)나라 굴레를 벗어나야겠다는 것이 훈민정음(訓民正音)에 담긴 정신이라 할 수 있다.
명(明)나라 문물을 배척하고 우리 글자를 만든다는 것은 명(明)나라 측에서 볼 때 분명히 반란행위임에 틀림없다.
이런 면에서 보면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는 글자는 단순히 우리말을 적기 위한 글자가 아니라 명(明)나라에 대한 문화선전포고문(文化宣戰布告文)이다.
대내적으로는 양반계급이 지배하고 있는 폐쇄적인 신분봉건사회(身分封建社會) 병폐인 반상계급(班常階級)을 타파하고 원시(元始) 민주주의 사회에로 개혁을 시도하기위한, 양반계급을 향한  도전장이다.
그 당시는 한학(漢學)을 공부한 소수 양반계급에 의해서 지배되던 사회로 대다수 일반 백성들 가운데 아무리 재능이 출중한 사람이라도 출세할 길이 막힌 신분봉건사회(身分封建社會)였다.
세종 큰 임금은 이러한 모순된 신분계급사회를 타파하고 재능이 있는 사람이라면 상민이든 노비이든 신분을 가리지 않고 등용하여 부강한 나라를 만들기 위한 사회혁명을 시도하려고 배우기 쉽고 쓰기 쉬운 훈민정음(訓民正音)을 만들게 된 것이다.
즉 상민이든 노비이든 가리지 않고 이 나라 백성이라면 모두 글을 깨우치도록 하여 널리 숨은 인재를 발굴하여 균등하게 출세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려고 했던 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당시 노비 출신 과학 기술자인 장영실(蔣英實)을 등용한 것이다.

이와 같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은 그저 단순하게 우리말이나 적기 위해서 만든 글자가 아니라 정치적으로 명(明)나라에 대해서는 문화전쟁을 의미하는 문화 선전포고문(文化宣戰布告文)인 동시에 사회적으로는 수구 양반계급 세력에 대한 사회혁명을 위한 도전장인 것이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는 글자는 이처럼 오늘날 핵폭탄(核爆彈)과도 같은 것이었기에 고도의 위장전술로 명(明)나라와 양반세력의 눈을 가리려 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연막전술은『어제 훈민정음(御製訓民正音)』서문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國之語音국지어음, 異乎中國이호중국, 與文字不相流通여문자불상유통.”, 즉 「나랏말씀이 중심이 되는 나라와 달라서 글자[한자(漢字)]로는 서로 흘러 통하지 않도다.」
명(明)나라와 우리나라는 말이 서로 다른 문화권에 있으므로 한자(漢字)로서 자유롭게 소통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이 말은 우리민족은 결코 명(明)나라 언어에 동화되지 않겠다는 의지를 나타는 것이기도 하여 자주독립정신(自主獨立精神)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대제학(大提學) 정인지(鄭麟趾)가 쓴 훈민정음해례(訓民正音解例) 서문(序文)에서 “象形而字倣古篆상형이자방고전”, 즉 「글자 모양은 옛 진(秦)나라 이 사(李 斯)라는 사람이 만들었다는 글씨체를 본떴다.」라고 하는 문구(文句)도 명(明)나라와 국내 반대세력들 눈을 속이기 위한 전술이지 실제로 옛 전자(篆字)를 본떠 만든 것이 아니다.
이 문구(文句)로 인해서 오늘날 학계에서는 훈민정음(訓民正音) 스물여덟글자 모양에 대하여 여러 가지 모방설이 난무하고 있는데 모두가 이 고차원적(高次元的)인 연막전술(煙幕戰術)에 현혹되어 올바른 시각(視覺)으로 꿰뚫어 볼 수 없기 때문이다.

한글날을 맞이하여 지금까지 그릇되게 인식되어온 훈민정음(訓民正音)에 대하여 다시 한 번 깊이 반추(反芻)해 보고 올바른 연구를 해아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한글 연구회
회장 최 성철
※ 월간 “문학 공간” 한글날 특집 기고문. [문학 공간 227호 참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허경옥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3.09.17 566
공지 '차덕선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2.05.21 632
공지 김준철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2] 미주문협 2021.03.18 40737
공지 정종환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3.17 15914
공지 민유자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2.24 911
공지 박하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2.24 52548
공지 ZOOM 줌 사용법 미주문협 2021.01.04 811
공지 줌 사용법 초간단 메뉴얼 미주문협 2021.01.04 818
공지 안규복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9.10 930
공지 박복수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6.26 1365
공지 김원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2.26 1018
공지 하정아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9.01.21 1283
공지 안서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9.01.21 1042
공지 '전희진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9.01.09 1112
공지 김하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8.09.26 1033
공지 신현숙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8.09.26 1021
공지 최은희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8.06.16 1199
공지 '이신우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8.04.27 963
공지 이효섭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14 1232
공지 이만구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7.12.14 1844
공지 양상훈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04 1056
공지 라만섭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04 1003
공지 김태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7.08.01 1209
공지 '조형숙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7.07.07 1168
공지 '조춘자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7.07.07 1137
공지 '이일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5.08 1096
공지 '이산해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4.10 1100
공지 강화식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2.24 1130
공지 최선호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11.30 1636
공지 강신용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7.21 1073
공지 정문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6.23 1053
공지 강창오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4.04 1204
공지 '이원택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9.08 1215
공지 '장선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9.08 1071
공지 '강성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8.07 1111
공지 '김영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8.07 1048
공지 '박무일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21 1095
공지 '임혜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8 1065
공지 '백남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8 1016
공지 '최익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47
공지 '오영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38
공지 '이기윤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1015
공지 '윤금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73
공지 '구자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59
공지 '신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977
공지 '박정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05
공지 '박경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18
공지 '김혜령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57
공지 '조정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34
공지 '김사빈의 문학서재' 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25
공지 '배송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45
공지 '지희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42
공지 '정어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024
공지 '권태성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052
공지 '김동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114
공지 '서용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089
공지 '이상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63
공지 '백선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55
공지 '최향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72
공지 '김인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71
공지 '정해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65
공지 '이영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3 1133
공지 '안선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3 1011
공지 '박효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040
공지 '장정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027
공지 '미미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030
공지 '최영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1038
공지 '이성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998
공지 '정찬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1015
공지 '장효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9 1068
공지 '손용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9 1070
공지 '오연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6 1129
공지 '이윤홍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5 1076
공지 '차신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5 1016
공지 '윤혜석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1 1079
공지 '김명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073
공지 '고대진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080
공지 '최상준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057
공지 '전지은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036
공지 '박봉진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149
공지 '홍인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194
공지 '기영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0 1058
공지 '최문항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5 1040
공지 '김현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4 1067
공지 '연규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2 1093
공지 '홍영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2 17154
공지 '이용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8 1030
공지 '김태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7 1067
공지 '김수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5 1097
공지 '김영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5 1045
공지 '김희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4 1058
공지 '박인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4 1061
공지 '노기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078
공지 '김학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095
공지 '이용우의 문학서재'가 개설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061
공지 '최미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9 1044
공지 '김영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9 1113
공지 '조옥동, 조만연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8 1601
공지 '성민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072
공지 '전상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055
공지 '한길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077
공지 '박영숙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4 1125
공지 '채영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3 1352
공지 '강학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3 1088
공지 '정국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2 1086
공지 '성영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2]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7 1128
공지 '안경라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7 1192
공지 '고현혜(타냐고)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4 36344
공지 "김영교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5 1123
공지 "석정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4 1187
공지 "장태숙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3 1084
공지 "이월란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4]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2 1151
공지 '문인귀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1 22624
공지 '정용진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0 1085
공지 '이주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19 1216
공지 "유봉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18 1209
1274 이달의 시/정국희 미문이 2008.10.09 96
1273 이달의 산문/조옥동 미문이 2008.10.09 87
1272 김동찬 회장 초청 수필 특강 조만연,조옥동 2008.10.10 98
1271 한글날 특집 기자회견 최성철 2008.10.12 46
1270 국내외 7천만 겨레에게 아뢰는 글 최성철 2008.10.13 72
1269 ‘내 사랑 강남’ 에세이(수필) 콘테스트’ 씽굿 2008.10.15 171
1268 시쓰기 정용진 2008.10.16 84
» 훈민정음(訓民正音) 속에 배인 민족혼(民族魂) 최성철 2008.10.20 92
1266 잘못 평가(評價)된 한글파동사건. 최성철 2008.10.26 142
1265 빌린 말 다듬기 [인프라] 최성철 2008.10.29 33
1264 나는 인생의 밭을 가는 허름한 농부 정용진 2008.10.30 207
1263 “들어온 말”과 “빌린 말” 최성철 2008.11.02 57
1262 11월 샌디에고 "문장교실" 강론안내 정용진 2008.11.03 53
1261 이달의 산문/이재상 미문이 2008.11.04 215
1260 이달의 시/이월란 미문이 2008.11.04 97
1259 김동찬의 좋은 수필 쓰기 박영보 2008.11.05 429
1258 주시경(周時經) 스승과 그 제자들. 최성철 2008.11.09 83
1257 ‘내 사랑 강남’ 에세이(수필) 콘테스트 씽굿 2008.11.09 129
1256 이 사람 문화부장관 자격이 있습니까? 최성철 2008.11.16 229
1255 [공모전] 서울디지털대학교 사이버문학상 공모 씽굿 2008.11.18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