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무당(巫堂)들

2010.11.14 11:34

최성철 조회 수:444 추천:1

한글무당(巫堂)들



세계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지금 세계 각처로부터 유입되는 빌린 말들에 대해서 발음상 많은 불편을 격고 있기 때문에 뜻있는 사람들은 빌린 말 표기에 있어서 원산지 발음을 살려서 표기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날로 높여가고 있다.



그러나 정작 이 일을 솔선해서 추진해야할 국문학계나 국어 정책 담당자들은 이러한 사실에 대해서 전혀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있다.



그 이유는 빌린 말을 원산지 발음으로 올바르게 표기하자면 세종대왕의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정신과 원리를 살려서 새로운 글자를 쓸 수 있도록 제도를 뜯어 고쳐야 하는데 그들은 자신들의 우상인 친일파 이 희승과 최 현배 일당이 만들어 놓은 “한글 맞춤법”과 “외래어 표기법”이라는 것을 금과옥조(金科玉條)로 섬기며 기득권 사수에만 정신이 팔려있어 전혀 개정할 의사가 없기 때문이다.



더구나 그들은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소리과학인 훈민정음(訓民正音)을 활용할 수 있는 지혜를 발휘할 수 없는 멍청이 집단들이기 때문이다.



국문학계나 국어 정책 당국자들의 무관심 속에서 목마른 사람이 우물을 판다는 옛말과 같이 뜻있는 일반 지식인들이 새 글자에 대하여 나름대로 연구하여 발표하고 있다.



일단 이 사람들의 노고에 찬사는 보낸다.



그러나 이 사람들 역시 세종대왕의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정신과 창제원리를 잘 알지 못하고 있기는 국문학자들과 국어 정책 당국자들과 별반 다를 바가 없다.



이 사람들의 공통점은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이해하지 못하고 창제정신과 창제원리를 마구 훼손하며 마치 무당(巫堂)같은 행위를 저지르고 있다는 점이다.



필자는 이런 부류의 사람들을 한글무당(巫堂)이라 부른다.



한글무당(巫堂) 가운데는 30여년 이상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연구하였다는 국문학 교수와 현직 대학교수들도 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



이 사람들의 공통점은 세종대왕이 만들어 놓은 기본 스물여덟글자를 훼손하거나 사용원리를 자기 마음대로 바꾸어 제2, 제3의 세종대왕을 꿈꾸며 세종대왕을 능멸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f]나 [v]의 소리글자로 ‘ㅍ’과 ‘ㅂ’자 위에 점이나 ‘-’ 같은 기호를 첨가하거나 왼편 아래에 ‘^’과 같은 기호를 첨가하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아예 이상한 모양을 도안하여 [f]와 [v]의 소리글자로 쓰자는 등등 별별 희한한 진풍경을 벌리고 있다.



한글무당(巫堂)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김 모 교수로서 소위 누리 글이라는 것을 창안했다는 사람이다.



김 교수는 30년 이상이나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연구하였다고 말하면서도 정작 훈민정음(訓民正音)의 가장 기초상식인 “凡字必合而成音(범자필합이성음)”이라는 이론조차 알지 못하고 스물여덟글자를 음소문자(音素文字)로 인식하고 풀어쓰기를 주장하고 있다.



더욱 한심스러운 것은 꿈속에서 하늘로부터 두루마리를 받아서 누리 글을 만들었다며 사뭇 샤머니즘 냄새를 짙게 풍기고 있는 것을 보면 마치 전형적인 무당(巫堂)처럼 여겨진다.



하늘로부터 두루마리를 받은 사람은 자기뿐이라는 말도 서슴지 않는다.



누리 글에 대하여 예를 들면 ‘sure’를 [ㅅㅠㅓ]라는 방법으로 표기하는 것이다.



즉 ‘ㅅ’, ‘ㅠ’, ‘ㅓ’는 각각 [스], [유], [어]라는 독립된 소릿값을 가지고 있는 음소(音素)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세종대왕은 어제훈민정음(御製訓民正音)에서 ‘ㅅ’, ‘ㅠ’, ‘ㅓ’의 소릿값이 [스], [유], [어]라고 하지 않았다.



다만 ‘ㅅ’은 “如戌字初發聲(여슐자초발성)”이라하여 “戌자에서 처음 퍼져 나오는 소리”라 하였고, ‘ㅠ’는 “如戌字中聲(여슐자중성)”이라 하여 “戌자에서 가운뎃소리”라 하였으며. ‘ㅓ’는 “如業字中聲(여업자중성)”이라 하여 “業자에서 가운뎃소리”라고 하였을 뿐이며 각각의 글자에 [스], [유], [어]라는 소릿값을 정해준 적이 없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음소문자(音素文字)가 아니고 음성문자(音聲文字), 즉 소리글자이다.



세종대왕은 소리를 만들어내지 못하는 것은 글자가 아니라고 다음과 같이 분명히 밝혔다.



“凡字必合而成音(범자필합이성음)”이라 하여 “무릇 모든 글자는 합해져야 소리를 이룬다.”고 하여 소리를 이루지 못하는 것은 글자가 아니라고 했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의 가장 기본적인 특성은 최소한 첫소리글자와 가운뎃소리글자가 정해진 규칙에 따라 합해져서 하나의 소리를 이루어야 비로소 글자로서 그 구실을 하는 것이다.



합해지는 방법에 대해서는 “ㆍㅡㅗㅜㅛㅠ, 附書初聲之下(부서초성지하)”라 하여 “ㆍㅡㅗㅜㅛㅠ는 첫소리글자 아래에 붙여 쓴다.”하였고, “ㅣㅏㅓㅑㅕ, 附書於右(부서어우)”라 하여 “ㅣㅏㅓㅑㅕ는 첫소리글자 바른 편에 붙여 쓴다.”라고 하였다.



따라서 최소한 첫소리글자와 가운뎃소리글자가 위에서와 같은 규칙에 따라 반드시 붙여 써야 하나의 소리를 만들어 내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ㅅㅠㅓ]라는 표기는 이 원칙을 벗어난 것으로 소리를 이룰 수가 없으므로 글자 아니라 기호의 나열에 지나지 않는다.



김 교수는 훈민정음(訓民正音)의 기본 원칙을 깨뜨리고 누리 글이라는 것으로 새로운 체계를 세워 훈민정음(訓民正音)을 훼손하고 세종대왕을 능멸한 사람들 가운데 가장 으뜸가는 한글무당(巫堂)이라고 볼 수 있다.



세종대왕은 우리말 속에 없는 새로운 소리를 적기 위한 글자는 합용병서(合用竝書)라는 규칙을 활용하라고 했다.



따라서 [f]나 [v]에 상당하는 글자는 적당한 첫소리글자를 합용병서(合用竝書)로 골라서 쓰면 창제정신과 창제원리에 부합하므로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훈민정음해례(訓民正音解例)는 고사하고라도 어제훈민정음(御製訓民正音)만이라고 올바르게 인식했다면 이러한 엉뚱한 잘못은 저지르지 않았을 것이다.



세종대왕은 훈민정음(訓民正音)을 무당(巫堂)같은 사람들이 마구 장난할 수 있을 정도로 허술하게 만들지 않았다.



세상에서 둘도 없이 가장 완벽한 이론으로 만들어진 소리글자가 바로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한글 연구회



회장 최 성철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허경옥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3.09.17 566
공지 '차덕선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2.05.21 632
공지 김준철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2] 미주문협 2021.03.18 40721
공지 정종환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3.17 15909
공지 민유자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2.24 911
공지 박하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2.24 52537
공지 ZOOM 줌 사용법 미주문협 2021.01.04 811
공지 줌 사용법 초간단 메뉴얼 미주문협 2021.01.04 817
공지 안규복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9.10 930
공지 박복수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6.26 1364
공지 김원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2.26 1018
공지 하정아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9.01.21 1282
공지 안서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9.01.21 1042
공지 '전희진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9.01.09 1112
공지 김하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8.09.26 1033
공지 신현숙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8.09.26 1021
공지 최은희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8.06.16 1199
공지 '이신우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8.04.27 963
공지 이효섭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14 1232
공지 이만구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7.12.14 1844
공지 양상훈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04 1056
공지 라만섭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04 1003
공지 김태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7.08.01 1209
공지 '조형숙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7.07.07 1168
공지 '조춘자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7.07.07 1137
공지 '이일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5.08 1096
공지 '이산해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4.10 1100
공지 강화식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2.24 1130
공지 최선호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11.30 1636
공지 강신용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7.21 1073
공지 정문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6.23 1053
공지 강창오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4.04 1204
공지 '이원택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9.08 1215
공지 '장선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9.08 1071
공지 '강성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8.07 1111
공지 '김영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8.07 1048
공지 '박무일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21 1095
공지 '임혜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8 1065
공지 '백남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8 1016
공지 '최익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47
공지 '오영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38
공지 '이기윤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1014
공지 '윤금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73
공지 '구자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59
공지 '신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976
공지 '박정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05
공지 '박경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18
공지 '김혜령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57
공지 '조정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34
공지 '김사빈의 문학서재' 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25
공지 '배송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45
공지 '지희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42
공지 '정어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024
공지 '권태성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052
공지 '김동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114
공지 '서용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089
공지 '이상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63
공지 '백선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55
공지 '최향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72
공지 '김인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71
공지 '정해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65
공지 '이영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3 1133
공지 '안선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3 1011
공지 '박효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040
공지 '장정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027
공지 '미미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030
공지 '최영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1038
공지 '이성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998
공지 '정찬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1015
공지 '장효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9 1068
공지 '손용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9 1070
공지 '오연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6 1128
공지 '이윤홍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5 1076
공지 '차신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5 1016
공지 '윤혜석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1 1079
공지 '김명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073
공지 '고대진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080
공지 '최상준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057
공지 '전지은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036
공지 '박봉진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149
공지 '홍인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194
공지 '기영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0 1058
공지 '최문항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5 1040
공지 '김현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4 1067
공지 '연규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2 1093
공지 '홍영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2 17151
공지 '이용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8 1030
공지 '김태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7 1067
공지 '김수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5 1097
공지 '김영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5 1045
공지 '김희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4 1058
공지 '박인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4 1061
공지 '노기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078
공지 '김학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095
공지 '이용우의 문학서재'가 개설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061
공지 '최미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9 1044
공지 '김영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9 1112
공지 '조옥동, 조만연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8 1601
공지 '성민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072
공지 '전상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055
공지 '한길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077
공지 '박영숙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4 1125
공지 '채영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3 1352
공지 '강학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3 1088
공지 '정국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2 1086
공지 '성영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2]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7 1128
공지 '안경라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7 1192
공지 '고현혜(타냐고)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4 36342
공지 "김영교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5 1123
공지 "석정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4 1187
공지 "장태숙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3 1084
공지 "이월란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4]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2 1151
공지 '문인귀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1 22619
공지 '정용진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0 1085
공지 '이주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19 1216
공지 "유봉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18 1209
954 전북중앙신문 보도/김학 수필집 '수필아, 고맙다' 출간 김학 2010.10.11 487
953 졸저 '간송 전형필'을 소개합니다 이충렬 2010.10.12 698
952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실천사례 공모전 씽굿 2010.10.21 458
951 아주, 멋진 성묘/이수홍 김학 2010.10.24 516
950 포기하지 마/김병규 김학 2010.10.26 468
949 훈민정음(訓民正音)과 한글 최성철 2010.10.31 490
948 미주 문인 책 두 권이... 이충렬 2010.11.04 558
947 제1회 통일연구원 통일 UCC/포스터/통일메시지 공모전 씽굿 2010.11.04 418
946 < 추수감사절 송> 11월은 돌아오는 달/정용진 정용진 2010.11.06 386
945 어느 가을날의 상념/신팔복 김학 2010.11.07 569
944 전민일보 보도 김학 2010.11.07 429
943 고원기념사업회 sun ok park 2010.11.07 467
942 [re] <수필아, 고맙다>를 읽고/장생주 김학 2010.11.09 588
941 최락완 시인 동씨침법 특별강의 한길수 2010.11.10 1544
940 방송저작물 저작권보호를 위한 안내자막 공모전 씽굿 2010.11.11 340
» 한글무당(巫堂)들 최성철 2010.11.14 444
938 Play it 상상 창의 공모전 씽굿 2010.11.14 358
937 만남의 詩學/鄭用眞/증보판 정용진 2010.11.16 714
936 국토해양부 홍보공모전 우리 땅ㆍ하늘ㆍ바다 통통통 [네이밍/슬로건] 씽굿 2010.11.22 437
935 수필, 나의 영원한 동반자/이의 김학 2010.11.26 409